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紫宸殿 在昔豪雄竹帛垂。遺芳千載仰淸儀。對人正好虛舟泛。使我長歎古俗移。擁樹雲深村似失。遷喬鶯語柳能知。時時謝屐耽幽景。步出平林坐小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省壁 初種庭梧望十尋。枝長葉大布淸陰。歧分世上崎嶇積。道在閒中意味深。戒爾靑年充飮復。愧吾白髮未從心。西湖病骨難醫俗。更與梅花友斷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宿府 淸詩願學孟郊寒。坐臥悠悠夜漏殘。論似捕風時俗語。味如啖蔗古書看。撫松便合陶翁趣。行路方知蜀道難。強起酒兵消萬念。胡懷豁處此心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18년 이양래(李洋來) 영수증(領收證) 2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戊午 領收印 李洋來 戊午 李洋來 전북 남원시 [印] 1.0*1.0 1개(적색, 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18년 1월 13일 이양래(李洋來)이 작성한 영수증(領收證) 1918년 1월 13일 이양래(李洋來)가 작성한 영수증(領收證)이다. 84원을 수령한다는 내용이다. 이 돈은 남원군(南原郡) 도룡(道龍)에 있는 답(畓) 8두락지(斗落只)를 사기 위해 이양래가 부담해야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전체 매매 가격은 이보다 더 많았다. 다만 일부는 이미 지급하고 나머지를 이번에 준 것이다. 그런데 위 84원 19량은 백미 1석(石)의 값이라고 적은 점을 보면, 이양래는 본 영수증의 상대방으로부터 쌀로 차용했었다는 사실을 알 수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1913년 신동휴(申東休) 계약서(契約書) 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경제-매매/교역-계약서 大正二年癸丑陰三月十九日 申東休 大正二年癸丑陰三月十九日 申東休 전북 남원시 [印] 1개 1.0*1.0 5개(적색, 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13년 음력 3월 19일에 신동휴(申東休)가 밀린 도조(賭租)를 갚기 위하여 지주(地主) 앞으로 작성한 계약서(契約書). 1913년 음력 3월 19일에 신동휴(申東休)가 밀린 도조(賭租)를 갚기 위하여 지주(地主) 앞으로 작성한 계약서(契約書)이다. 신동휴는 1912년치의 과전(苽田)과 흑운평의 소작답(小作畓)에 대한 도조 17두뿐만 아니라, 신해년, 즉 1911년치의 도조 8냥 7전 3푼도 밀려 있었다. 그 중 얼마를 면제받기는 했지만, 원금을 갚기가 어렵자 남원 적과면(迪果面) 작소리(鵲巢里) 연치평의 5승지 전답을 50냥으로 쳐서 지주에게 방매하였다. 신동휴는 여기에다 또다른 20냥의 빚을 지게 되자 매월 4부 이자로 올 가을까지는 갚겠다고 약속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1922년 김현준(金顯俊) 계약서(契約書) 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경제-매매/교역-계약서 大正十一年陰七月四日 金顯俊 大正十一年陰七月四日 金顯俊 전북 남원시 [印] 2개 1.0*1.0 2개(적색, 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22년 음력 7월 4일에 김현준(金顯俊)이 남원군(南原郡) 보절면(寶節面) 신파리(新波里)의 논을 전당 잡히고 돈을 빌리면서 작성한 계약서(契約書). 1922년 음력 7월 4일에 김현준(金顯俊)이 남원군(南原郡) 보절면(寶節面) 신파리(新波里)의 논을 전당 잡히고 돈을 빌리면서 작성한 계약서(契約書)이다. 김현준은 신파리의 논 3두지(豆只)를 담보로 40원을 빌리면서 이자는 월 4리(利)로 정하여 음력 11월 30일까지 갚기로 하였다. 만약 기일을 넘기면 아무런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 위 논의 소유권을 넘기기로 약속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1916년 김영화(金永華) 계약서(契約書) 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경제-매매/교역-계약서 大正五年丙辰陰二月十九日 金永華 大正五年丙辰陰二月十九日 金永華 전북 남원시 [印] 1개 1.2*1.2 3개(적색, 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16년 음력 2월 19일에 김영화(金永華)가 작성한 계약서(契約書). 1916년 음력 2월 19일에 김영화(金永華)가 도미(賭米)의 납부와 관련하여 지주(地主) 앞으로 작성한 계약서(契約書)이다. 2년 전인 갑인년, 즉 1914년 가을의 도비가 70승이고, 그 이미(移米)가 2부 이자로 14승이어서 모두 84승이 되는데, 이 중 34승은 을묘년, 즉 1915년의 도비 70승과 합쳐 104승을 납부했다. 나머지 50승은 추수 뒤에 갚기로 약속하면서 이 계약서를 작성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0년 김현(金顯) 영수증(領收證) 2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九年 領收人畓主金顯 大正九年 金顯 전북 남원시 [章] 1.0*1.0 1개(적색, 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20년 음력 1월 23일 김현(金顯)이 작성한 영수증(領收證)이다. 1920년 음력 1월 23일 김현(金顯)이 작성한 영수증(領收證)이다. 전북 남원군(南原郡) 보절면(宝節面) 신파리(新波里) 양지평(陽地坪)에 있는 논의 값으로 230원을 수령하였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논의 크기에 관한 언급은 보이지 않는다. 몰수(沒數)라는 단어가 사용된 점으로 미루어 보아 위 230원은 계약금이 아니고 논 값의 전체였던 것 같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1913년 김영일(金永一) 계약서(契約書) 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경제-매매/교역-계약서 大正二年陰十二月五日 金永一 大正二年陰十二月五日 金永一 전북 남원시 [左掌] 1개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13년 음력 12월 5일에 김영일(金永一)이 밀린 도미(賭米)의 납부와 관련하여 지주(地主)와 맺은 계약서(契約書). 1913년 음력 12월 5일에 김영일(金永一)이 밀린 도미(賭米)의 납부와 관련하여 지주(地主)와 맺은 계약서(契約書)이다. 여기에서 지주는 남원의 전주이씨(全州李氏) 문중으로 추정된다. 김영일은 1910년, 1911년, 1912년에 내야 할 도미를 그때까지 내지 못했다. 1910년과 1911년치가 90승(升)이며, 1912년치는 50승으로 모두 140승이 밀린 상태였다. 1910년과 1911년치는 금년 농사가 끝난 뒤에 갚기로 하고, 1912년치는 50승에서 10승을 줄이는 것으로 합의를 보았지만, 마침 금년에 큰 흉년이 든 데다가 토지세까지 납부해야 하는 형편이어서 그 약속조차 지킬 수 없게 되었다. 결국 상환기한을 연장하고 건별로 나누어 매년 또는 매월로 이자를 납부하면서 갚기로 지주와 계약을 맺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契約書右契約事은去<연도>壬子</연도>陰十月二十三日에右前<연도>庚戌</연도><연도>辛亥</연도>兩年賭米新升計玖拾升과<연도>壬子</연도>賭米新升計伍拾升合㱏佰肆拾升을爲自逋와伊日契約書에<연도>庚辛</연도>兩年條玖拾升段은今年作農後只以本米報給次로<연도>壬子</연도>賭米伍拾升段은十升减고以今年七月市魚으로報次로成約이러니當此大凶야今年土稅纔爲輸納是遣<연도>庚辛</연도>條段은升合莫可辦報이고<연도>壬子</연도>條米魚肆拾二兩도分錢을亦且未辦와米玖拾段은以周年四利로米魚條肆拾貳兩內二兩은以蒿器三介價로除고在肆拾兩亦以月四利로隨辦報給次玆에疊成契約홈<연도>大正二年</연도>陰十二月五日契約主 <인명>金永一</인명>[左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16년 고광칠(高光七)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大正五年三月四日 高光七 大正五年三月四日 高光七 전북 남원시 [印] 4개 0.8*0.8 1개(적색, 원형), 1.2*0.8 4개(적색, 타원형), 2.3*2.3 2개(적색, 정방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16년 3월 4일에 고광칠(高光七)이 남원군(南原郡) 보절면(寶節面) 벌촌리(筏村里)에 있는 밭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916년 3월 4일에 고광칠(高光七)이 남원군(南原郡) 보절면(寶節面) 벌촌리(筏村里)에 있는 밭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다. 거래내용은 고광칠이 긴히 돈을 쓸 데가 있어서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남원군 보절면(寶節面) 벌촌리(筏村里) 후평에 있는 홍자(洪字) 59번 목화밭(綿田) 1두락을 53냥에 팔았다. 거래 당시 신문기 1장을 매입자에게 주면서 나중에 만약 다른 말이 있으면 이 문기로 증명하라고 하였다. 매매 당시 밭주인 고광칠과 보증인(保證人)으로 양철호(梁徹鎬)가 참여하여 날인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明月不湏期라고 쓴 遺墨 明月不湏期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癸亥冬 癸亥冬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世傳孝友라고 쓴 遺墨 世傳孝友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摘荷花露寫唐詩라고 쓴 遺墨 摘荷花露寫唐詩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1課(둥근네모, 3.5×3.5), 1課(3.9×3.4)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古聖遠德百蠻라고 쓴 遺墨 古聖遠德百蠻라고 쓴 遺墨. *상태: 전서체, 오른쪽에 원문이 붙어있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1課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瀛海漭瀁 百川朝宗 미수 허목의 척주동해비의 일부를 쓴 遺墨 瀛海漭瀁 百川朝宗 미수 허목의 척주동해비의 일부를 쓴 遺墨. *상태: 전서체, 오른쪽에 원문이 붙어있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奇物譎恠完라고 쓴 遺墨 奇物譎恠完라고 쓴 遺墨. *상태: 전서체, 오른쪽에 원문이 붙어있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석전집(石田集) 4卷 2冊 石田集 石田集 고서-집부-별집류 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문집 표점영인 石田集 李最善 鉛活字本 2 有界 10行20字 한자 上下向2葉花紋魚尾 남평 도래 풍산홍씨 석애문중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조선 후기 학자 이최선(李最善, 1825~1883)의 시문집. 4권 2책의 연활자본으로, 아들 이승학(李承鶴)이 수습한 것을 이건창(李建昌)이 교편(校編)하고, 1963년 손자 이광수(李光秀)가 간행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둔재집(遯齋集) 8卷 3冊 遯齋集 遯齋集 고서-집부-별집류 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문집 표점영인 遯齋集 文達煥 石版本 3 有界 11行25字 한자 上下向2葉花紋魚尾 미상 국립중앙도서관 전남 화순 출신 문달환(文達煥, 1851~1938)의 문집으로 8권 3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詠陸績懷橘 深誠不失賦生初。秋實團團寸草如。甘旨便歡遊子袖。淸香肯載貴人車。躍鯉王祥如契合。遺羹頴叔會心虛。而今有橘還無績。其奈馬牛共一裾。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