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高進士 懸頭惠幅。忽墜於寂寞之濱。載念載荷。久不釋手。謹審至沍。菽水康騭。克庸愜忱。愼候之尙遲惇復。爲之貢慮。而神之聽之。旡五泰來。指日可俟。以此昻祝。鄭公是老練手段也。揆以淺料。則連服其劑似可矣。且調治之道。不可以一散一丸。責其速效也。少俟之如何。弟星星鬂邊絲。無非自世故中得來。頓沒況味。而惟呼祖之孩孫。頗能解乃祖之顔。是可謂差强人意歟。金生。其稟質也才藝也。眞是有源之醴泉可愛。然而有受之之才。無東萊之敎。奈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高進士 乍阻餘。惠墨足使霧眼得明。昻審暮秋。尊府損節。知是隆耊例患。而可卜康復矣。曁湯餘愼節。當歸一朝見晛奏傚矣。且東萊病中看論語。得躬厚薄責一句語。平生受用足焉。吾亦於兄。以此仰祝其速奏旡五。而兼以東萊之得望之耳。弟一是固陋衰殘氣味。而惟妻孥免他警耳。金雅以是心來。顧極庸可掬。而恐有其名而無其實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軍威途中 洛東江水古今流。我行沿行三日留。也識中央多彥傑。滔滔應激不平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鄭進士【孝源】 黃花將開。臨風欽慕。未時不徘徊於軒下。伏不審辰下。靜養體候。一衛萬寧。胤兄怡愉安侍。伏禱區區。實勞卑悃。世生。素是馬卿身勢。無今瘳之日。而況又滄桑之餘。傷心慘目。其不病者鮮矣。言之徒亂方寸。不得不縮之。惟慰眷免大何耳。就先集刊役。告訖年矣。而不肖淺誠。奪於世故。不得廣布。悚忸悚忸。謹以一帙仰呈。鑑納如何。每讀續集中。尊先進士公所撰。請享疏。則郁郁文彩。增光吾道。奚但見堯之羹墻。獨賴此篇之存。而兩家後承。益篤世好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海觀 日前惠函。擎出安友袖中。拜讀且感。久作案上寶。更伏請書後有日。旅養經體。視昔萬寧。仰禱僕僕。弟昔疾無今瘳之日。秋又將暮。古人所謂。秋風病欲蘇之句。無乃文章筆下多虛語也。此則不得不仰質于今之文章海觀先生而後。可決耶。回示之若何。第兄之至淸至廉。昔非不知。而欲作淸廉家計於此山此水。竊爲山水賀其得主人。雖欲勿爲主人。山川其舍諸。仰呵仰呵。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宋沙湖 拜牀承誨。閱幾星霜。但塗越宿舂。時經滄桑。不得源源於衡下。雖云勢使。難掩誠淺。迺者令從抱郞。爲吾門賓。憑探起居。其非喜消息耶。差可慰懷於荒江之濱矣。謹伏問秋仲。靖養體候。湛樂萬寧。寶覃勻休。仰認尊執事。胸藏千古。眼高一世。蘭芬桂辣。到老益壯。正合于吾夫子所謂不知老之將至底氣味矣。爲之拱賀。不任區區。生樗散賤質。忽驚兩鬂之霜。內愧宿心而補塡桑楡無術。秖自咄咄。惟慰弟兄式好。做得江湖生涯耳。玆露寸丹。謹將尺素。得無揮斥於包荒之德量否。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姜睡隱文集刊所 兩家世好。十世如一日。不謂頫狀。尤荷盛念。伏惟春暮。僉體百福。仰慰愜祝。就尊先睡隱先生文集刊所布。是乃斯文陽脈。伏蒙一帙之分惠。再拜伏讀。雖東準之愚獃無似。而庶乎興作。其受賜也。奚啻大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李汝章 月己四矣。不見吾兄。安得不鄙吝萠而懷想切孚。伏維尊體。必查滓日去。淸虛日來。做得無限淸福。而庭不怡愉。奏吉{氵+庠}祝之至。日以勤止。弟昔疾外。幸無添新病。已但懶散日甚。便成一木偶人。是乃病也。而亦不知所以爲病。每思伯玉知非。不覺忸怩。猥將蕪辭仰瀆雙淸軒。郢斤如何。窃惟雙淸之淸至矣。雖汙以俗人語。於淸之本體何損也。恃而敢呈。還庸愧愧悚悚。老人頭曰禿頭。而兄是老而不老。仙髮亦甚長。故木梳一介略呈。領情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李康煥 未知前此相面耶。渺然不記。心交相通。則面不面。奚足爲加損歟。恪詢侍履百福。寶覃勻禎。馳{氵+庠}不些。每因士友公言。聞君器宇卓然。特守故家遺範云。爲之傾耳者久。幸益加勉旃。使吾黨不孤。以副名實焉。準賤齒。積如榴核。而病也。痼之。必無聞而死。自顧憐憐。第鄙先齋。方營蓋瓦。而曩者做瓦時。君之徒勞謀忠。雖不應副其感則深。且聞貴邊鄭參奉。爲名人。善爲蓋瓦云。故爲此專托。卽卽勸送之如何。君之謀忠。必使那人。當倍着精神矣。恃而望望。餘留南老口。不拕長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炳大 寒天遠程。一幅之惠。不啻若朋百。恭惟比辰。菽水安寧。曁省履愼節。天相吉人。自可無五矣。懸{氵+广/屰}憧憧。克副願言。世下昔者賤疾。不言其加。家累免他大何。此足爲愛我者道耳。令允之質美。昔非不知。而於今益可驗矣。噫。今少輩不受變於頹俗者幾希。而惟胤篤守柯則。是乃不徒質美。其詩禮之訓。尤不可誣也。以此做去。自有無限好事。可賀可賀。顧我膚淺。不能助其遠來之勤。愧愧耶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李子一【壽雨】 前書未謝。今又惠墨。其勤慢。懸三十里也。載欣且感。繼之以愧。恪惟新凉。定省餘讀履萬綬。克庸洽慰。第今讀書種子。幾乎殄滅。而君能勵精趲進。方從事于詩傳。儘乎風雨晦夜。鷄鳴不已。傾此聾耳起予者商歟。一念畏懼等語。可以卜長進消息。以此慥慥。期於究竟成就焉。退溪先生贈人詩曰。君看日夜東流水。放海先從一坎中。此於工夫家庭。尤爲深一節。故爲君誦之。世記一是岸塌光景。只自憐憐。而惟家累依分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李子一 雨水懷襄。頗作四塞之關。料襮雙魚入眼。豁若披雲。感不釋手。矧維玆辰。萊衣百福。餘力尋數。着得意味。溢於幅面。馳{氵+庠}之餘。克愜願言。望須使此意味。嚼之又嚼。俾作平生家計如何。蓋嘗聞諸先生長者。如芻豢之悅口。能如芻豢悅口。則可見德潤身矣。顧此老而不知味者。眞昆侖呑喪。不足道不足道。其爲後生之鑑戒則可耶。拙狀。雖不言病。鏡裏鬢霜。添得醜態。益覺桑楡。靡補歎歎。而惟率下無警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인명>朴春三</인명> 米三十二斗<인명>蘇俊明</인명> 米一石<인명>金成八</인명> 米一石 又二斗 盧石奉 獨芸<인명>姜士洪</인명> 米十斗利<인명>鄭東勉</인명> 利米一石 又五斗 姜士洪來<인명>姜成式</인명> 利米一石<인명>柳明軌</인명> 米一石<인명>高岩宅</인명> 米三十二斗 二十斗 李恒采獨芸 米十一斗水南谷 米十四斗<인명>丁成文</인명> 米四十六斗內十斗崔鳳獨芸 十斗德獨芸 五斗二 二今獨芸在一石一斗 十斗內實獨芸 米十斗長利<인명>崔鳳</인명> 十四斗 又十斗 丁成文獨条<인명>柳明軌</인명> 次子 美八斗 庚申賭米条 新成後本米上次<인명>金頤</인명> 七十二斗 又昨条十四斗內十斗二束獨芸 在七十六斗<인명>木洞宅</인명> 二十斗<인명>成祚</인명> 二十四斗<인명>京七</인명> 八斗 又<인명>柿谷宅</인명> 二十斗<인명>李泰永</인명> <인명>達文</인명> 在二斗 再 二十八斗 又昨条二斗 金哥条 三十斗<인명>吳明五</인명> 上在 一同<인명>金命道</인명> 三十四斗 在文二同<인명>柳一鳳</인명> 米十斗 明五處標給利<인명>丁鴨谷</인명> 在十四斗 二升 又米五斗<인명>姜制大</인명> 四斗二升<인명>德洞宅</인명> 二十四斗內 二月減次<인명>金東順</인명> 米二斗 己未 条 米九斗 庚申 条 合十一斗 価七十七兩魯平洞 租十八斗梁堯洞 米十二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17년 양칠모(梁七謨) 영증(領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陸年 領證主 梁七謨 大正陸年 梁七謨 전북 남원시 [印] 1.0*1.0 1개(적색, 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17년 4월 3일 양칠모(梁七謨)가 작성해 준 영수증(領收證) 1917년 4월 3일 양칠모(梁七謨)가 작성해 준 영수증(領收證)이다. 남원군(南原郡)보절면(宝節面) 신파리(新波里) 심곡(深谷) 들판에 있는 지자(地字) 24에 있는 답(畓) 3두락지(斗落只)의 값으로 수령한다는 내용이다. 계약금은 아니고 전체 매매 금액이었다고 생각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22년 소화서(蘇化瑞) 전당문기(典當文記)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壬戌四月一日 蘇化瑞 壬戌四月一日 蘇化瑞 전북 남원시 [印] 3개 1.0*1.0 3개(적색, 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22년 4월 1일에 소화서(蘇化瑞)가 남원군(南原郡) 덕과면(德果面) 만도리(晩島里)에 있는 밭을 전당 잡히면서 작성한 전당문기(典當文記) 1922년 4월 1일에 소화서(蘇化瑞)가 남원군(南原郡) 덕과면(德果面) 만도리(晩島里)에 있는 밭을 전당 잡히면서 작성한 전당문기(典當文記)이다. 소화서는 자신이 매득한 채소밭을 여러 해 동안 농사지어 먹고 살다가 긴히 돈을 쓸 데가 있어서 만도리에 있는 개자전(皆字田)을 40원(円)에 전당 잡히면서 선금으로 6원을 받았다. 거래 당시 빚을 청산할 날은 음력 7월 그믐까지이며 만약에 기한을 넘기면 전당잡은 채소밭은 영원히 채권자의 차지라고 약속하였다. 문서 말미에 구문서도 함께 전당 잡히고, 또다른 계약서를 추가로 작성하였다. 양식 사정이 좋지 않아 백미 2말과 소맥 2말을 차용하되, 7월 2일의 가격으로 계산하여 7월 그믐까지 갚겠다고 하는 내용이다. 전당 물건은 위의 채소밭과 가대(家垈)로 하였으며, 상환 기한을 넘겼을 때에는 환퇴(還退)하지 않겠다고 약속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20년 남원(南原) 전주이씨가(全州李氏家) 추수기(秋收記) 1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경제-농/수산업-추수기 庚申 庚申 1920 南原 全州李氏門中 전북 남원시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20년에 남원(南原)에 거주하는 전주이씨가(全州李氏家)에서 작성한 회계기(會計記) 전북 남원(南原)에 거주하는 전주이씨가(全州李氏家)에서 작성한 경신년 회계기(會計記)이다. 경신년은 1920년으로 추정된다. 어느 누가 얼마만큼의 쌀을 빌려갔는지, 빌려 간 쌀에 대한 이자는 어느 정도인지, 빌려 간 후 얼마를 갚았는지에 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본 회계기에 등장하는 사람은 25명 정도가 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기유) 七日 己酉 맑음. ≪대학≫을 보았다. 내가 보기에 ≪대학≫은 증자(曾子)가 종(宗)을 얻게 된 책이고, 성의장(誠意章)의 '근독(謹獨)'은 증자가 스스로를 닦는 첫 머리이다. 陽。看 ≪大學≫。看來 ≪大學≫。 曾子得宗之書。 誠意章謹獨。 曾子自修之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임자) 二十三日 壬子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임진) 四日 壬辰 흐림. 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을미) 八日 乙未 흐림. 陰。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