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高良汝 徑寸之珠。將墜於九淵之中。若過幾多時。不見其形。岸上觀者。愛莫助之。今丙午年光。其非是歟。此時雲樹之懷。十分於吾兄。而可懷不可親。令人髮盡白。謹問經體萬旺。棐几晴窓。看得好書。究得好義耶。仰溯且祝。只恨筆舌不盡言。弟年同於兄。志亦不可曰不同。而氣質樗散。不堪比於吾兄。每對兄言。尤切一龍一猪之歎。近狀寒呼虫。安能見陽振羽耶。何足道哉。明正之枉。預用祝俟。以兄遠誠。梧里楸行。當先於以外之後孫後學矣。拜祖先訪友朋。非不是好事也。未知於尊意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4년 이금강산(李金剛山) 보절공립보통학교(寶節公立普通學校) 통신부(通信簿) 고문서-증빙류-증서 교육/문화-근대교육-성적표 大正十三年度 寶節公立普通學校 李金剛山 大正十三年度 寶節公立普通學校 李金剛山 전북 남원시 1.2*0.8 4개(적색, 타원형), 0.8*0.5 4개(적색, 타원형), 1.1*0.8 2개(적색, 타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24년에 작성된 이금강산(李金剛山)의 보절공립보통학교(寶節公立普通學校) 통신부(通信簿). 남원(南原)의 보절공립보통학교(寶節公立普通學校) 2학년 학생 이금강산(李金剛山)의 1924년도 통신부(通信簿)이다. 학교에서 학생의 성적, 출결 상황 등 학교에서의 생활을 기록하여 학생의 가정으로 보내는 학생의 성적통지표이다. 1학기, 2학기, 3학기 등 세 학기로 나누어, 학업, 품행, 근태(勤怠) 등을 기록하였다. 학업은 수신(修身), 국어(國語), 선어(鮮語), 산술, 이과, 창가(唱歌), 체조, 도화(圖畵), 평균 등으로 나누었다. 이 중 국어는 일본어를 가리키는데, 다시 독해, 회화, 철방(綴方), 서방(書方) 등으로 구분되었다. 근태는 출석일수, 결석일수, 지참조퇴수 등으로 구분하였다. 이어서 담임교원인(擔任敎員印), 교장인(校長印), 생도부형인(生徒父兄印) 등으로 나누어 도장을 찍어 확인하도록 하였다. 마지막 면에는 통신난(通信欄)을 두어 학교와 가정에서 필요한 사안을 기재하도록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1922년 강여홍(姜汝洪) 계약서(契約書) 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경제-매매/교역-계약서 大正十一年 姜汝洪 이원창(李元暢) 大正十一年 姜汝洪 전북 남원시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22년 11월 초 3일 강여홍(姜汝洪)이 이원창(李元暢)에게 써 준 계약서 1922년 11월 초 3일 강여홍(姜汝洪)이 이원창(李元暢)에게 써 준 계약서(契約書)이다. 강여홍이 이원창으로부터 돈을 빌렸다가 이를 갚지 못하였고, 이후 다시 상환 일자를 정하면서 작성한 것이다. 강여홍이 빌린 돈이 정확히 얼마였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원금과 이자를 합하여 23량이었는데, 강여홍은 이 돈을 이번달, 그러니까 11월 25일까지 갚기로 하였다. 그런데 눈에 띄는 점은 강여홍이 이 약속을 하면서 솥 하나를 담보로 잡힌 사실이었다. 솥은 분명 무쇠로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데, 강여홍에게는 정말 솥 외에는 달리 값 나가는 물건이 없었음이 분명하다. 본 문서는 20세기 초, 가진 것 없이 사는 가난한 사람들의 삶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58년 이기호(李起鎬) 대리모(代理母) 강양여(姜良女)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檀紀 四千二百九十一年 姜良女 檀紀 四千二百九十一年 姜良女 전북 남원시 [印] 1.0*1.3 1개(흑색, 타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58년 이기호(李起鎬) 대리모(代理母) 강양여(姜良女) 영수증(領收證) 1958년 음력 12월 15일 이기호(李起鎬)의 대리모(代理母)인 강양여(姜良女)가 작성한 영수증(領收證)이다. 용원리(龍源里) 뒷산 고갯마루에 있는 정자(亭子) 한 동(棟)의 대금(代金)으로 7만원을 인수하였다는 내용이다. 잔액이라고 표현하였으니 위 정자의 전체 거래 금액은 7만원이 넘었던 것임이 분명하다. 정자란 대개 마을의 공동 재산이었다고 생각하였는데, 개인적으로 매매가 이루어졌다는 점이 조금은 의아하다. 한편 본 영수증을 작성한 사람이 이기호의 대리모로 되어 있는데, 왜 이기호 대신 어머리가 본 계약서를 작성한 것인지 그 이유는 알 수 없다. 아마도 본 계약이 이루어질 당시 이기호가 어떤 사정으로 인해 참여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추측될 뿐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신해) 二十三日 辛亥 맑음. 사위 이대수(李大洙)가 왔다. 陽。女婿李大洙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일(무자) 初吉 戊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임자) 九日 壬子 맑음. 오후에 비가 내렸다. 陽。午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계축) 二十三日 癸丑 반쯤 흐리고 반쯤 맑음. 비가 조금 왔다. 半陰半陽。少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일(병인) 二日 丙寅 맑음. 오현(五絃)의 친산에 성묘를 했다. 陽。行五絃親山省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일(임오) 初一日 壬午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신미) 二十六日 辛未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八陣圖 兵家奇正祖陰符。獨見千秋八陣圖。光明日月隨時照。掃廓風塵鼎峙模。半死黃鬚頻㥘㥘。先生白羽有夫夫。常山蛇尾誰知得。留待知音德不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吟葡萄 昔在寒泉精舍。種得一根。蔭成珠帳。自經甲午。風霜桑海變嬗。不可得以復見。病渴長夏。解渴無術。竊附談河而末聯。特用更種之意。但恐主人心田蕪沒。而徒使葡萄種之。則雖得種之。將安解此熱閙。物微而意可寓。故強效血指。品題合置最長梢。大宛何年八漢朝。圓滑堆盤同玉轉。淸甜沃口見氷消。賜宴特旌陳叔孝。釀醪宜起馬卿痟。草龍如得寒泉帳。慰我襟懷太寂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鍾 鍾爲樂器之首。聽其聲。悲壯慷慨。淸越深遠。昏惰者起警。流散者可檢。昔朱夫子。聽同安之鍾。而戒此心之出入無時。而我後學。常以朱子之聽爲聽。以朱子之戒爲戒。則其得於鍾幾矣。樂云樂云。鍾皷云乎哉。秪殘法界曉蒼蒼。聲大寒鍾徹遠坊。流水精神鳴谷谷。淸霜消息氣堂堂。行人警耳知更點。老釋無言報日長。也識同安餘韻在。願從一路正茫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安東途中【二絶】 時人摠是病於狂。物態紛紛醉倒觴。徃古來今惟一路。朝而農畝夜書床。酒夫韓姓若清狂。臨別慇懃更勸觴。爲言上古兄兮弟。一本清風樂棣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二松偃蓋 澗畔遲遲護此居。盤桓手撫日吟餘。挺然雙秀圓爲蓋。灑落襟懷伴太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十竹筧泉 滴滴泉流枕下迴。眞源一脉此中開。兒奴手法巧於筧。吟渴時時回首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碧梧秋月 未寐良宵步影隨。一般意味少人知。龍門餘韻能推得。太極圖中也不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叢菊史露 東籬扶得一陽微。珠露團團菊上依。寫史淵明知者孰。遺香千載見花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高進士 歲色聿暮。無聊閉關。尤切人遐之悵。謹惟玆辰。省體百福。諸儀奏慶。仰溯靡禁。服弟昔者醜劣。添得一格。鏡裏白髮。非不曰公道。無乃自風霜中得來耶。可呵。竊念吾兄。有看書之癖。而棐几晴窓。學得古人之佳言善行。能使風埃。不入於方寸地矣。爲之羨艶不已。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