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일(병술) 初一日 丙戌 맑음. 청명하고 북풍이 불었다. 陽。淸明北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갑진) 二十日 甲辰 [내용없음] [내용없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갑신) 二十二日 甲申 -알봉군탄(閼逢涒灘)-. 맑음. 혹자가 이(吏)자의 의미에 대해서 물었다. 내가 답하길 "이(吏)에는 세 가지 의미가 있으니, 천리(天吏), 관리(官吏), 부리(府吏)이다. 천리는 천명(天命)을 받들어 행하는 자이고, 관리는 관에 거하며 일을 다스리는 자이며, 부리는 관부(官府)에서 일을 기록하는 자이다."라고 하였다. 【閼逢涒灘】。陽。或問吏字之義。答曰 "吏有三義。 天吏官吏府吏。天吏奉行天命者。 官吏居官治事者。 府吏官府記事者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무자) 六日 戊子 -저옹곤돈(著雍困敦)-. 맑음. 【著雍困敦】。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갑진) 二十三日 甲辰 [내용없음] [내용없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무진) 十九日 戊辰 흐림. -저옹집서(著雍執徐)-. 陰。【著雍執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경자) 二十二日 庚子 -상장곤돈(上章困敦)-. 흐림. 크게 비가 오고 또 뇌성벽력이 있었는데 종일 그랬다. 【上章困敦】。陰。大雨且雷電終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일(갑자) 一日 甲子 임자일기(壬子日記). 개국 521년(1912). -고갑자는 현익곤돈-흐림. 삼양(三陽)1)에 오는 눈이 밤부터 아침까지 내렸다. 신수를 점쳤는데 괘가 〈중수감괘(重水坎卦)〉2)이다. 구이(九二) 효사(爻辭)에 "감(坎)에 험함이 있으나 구함을 조금 얻으리라.[坎, 有險, 求小得]"라고 했다. 상전(象傳)에서는 "구함을 조금 얻음은 험한 가운데에서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求小得, 未出中也]"라고 했고, 대상전(大象傳)에서는 "군자가 보고서 덕행을 항상 하며 가르치는 일을 익힌다.[君子以常德行習敎事]"라고 했다. 연일 세배 온 사람들을 응접했다. 壬子日記。開國五百二十一年。【古甲子。 玄黓困敦】春王正。甲子。陰。三陽雪。 自夜終朝而來。索身數卦。 則重坎水。二爻辭。 "坎。 有險。 求小得。" 象曰。 "求小得。 未出中也。" 大象傳曰。 "君子以常德行習敎事。" 連日應接歲拜人。 삼양(三陽) ≪주역≫에 의하면 11월 복괘(復卦)에 일양(一陽)이 처음 생기고, 12월 임괘(臨卦)에 이양(二陽)이 생기고, 1월 태괘(泰卦)에 삼양(三陽)이 생기므로 삼양은 곧 정월, 또는 입춘(立春) 절기의 뜻으로 쓰인다. 여기에서는 1월 1일을 뜻한 것으로 보인다. 중수감괘(重水坎卦) 주역의 29번째 괘사로, "습감(習坎, 거듭 험함)은 믿음이 있어서 오직 마음이 형통하리니, 행하면 숭상함이 있으리라[習坎, 有孚, 維心亨, 行有尙.]"라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訪後川盧君【泰鉉】 君家獨保大明梅。石逕崎嶇竹下開。五柳村名名尙好。淵明在否引吾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登博山津尹氏無盡亭吟 山齋遠送讀書聲。倚杖徘徊却有情。洋洋江水流無盡。無盡亭名不負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官軍 樂意相關情話悅。懶居未暇整衣裳。淳俗無瑕宜守古。聖人有擇不嫌狂。雲山回合開靈境。車轍誼傳似異鄕。業大靑氊傳勿失。願言扶得一根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江上値水 腐儒衰晚耽章句。願勿助長且不休。三長筆健山川史。杜子詩因花鳥愁。古巷留香蘭結社。坳堂酌水芥爲舟。男兒所尙惟論志。濯洗塵埃賦壯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詩(拈杜律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曉發公安 詩令堂堂午漏罷。病餘拈筆故遲遲。惟吾水竹心千古。笑彼鶯花夢一時。藥襄神方經遠志。桑楡晚計付前期。世情都是滄浪曲。淸濁於斯任取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黃菊 春潭子築小堦。種多少花木。而黃菊爲最。雖然。周濂溪有言曰。菊之愛。陶後鮮有聞。余何敢曰愛。但志陶之志。學陶之學。則菊之愛不期而自愛。見眞黃花開而自不爲眞淵明。則得無黃花羞歟。詩以爲自誡。從前隱逸取其栽。借得餘根闢草萊。德培甘露天姿秀。氣傲嚴霜正色開。尙志堪論千古上。挹香須待九秋來。山人恐作淵明僞。採採東籬泛酒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偶吟 熱閙人間我獨寒。散愁暇日坐層欄。仙花妬寵臨高砌。白鷺忘機遠急灘。爲採藥芽雲裏約。相招漁笛月中觀。願豊憂國晦翁志。悶旱詞臣鐫肚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月山落霞 佳名千載月之東。煙樹茫茫一色同。更上高亭觀勝狀。齊飛孤鷘萬山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日峯返照 紅輪轉轉喜相逢。峯勢嵯峨畵出容。灑淚齊公還可笑。桑楡晚景願言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扶安 樓堞無端毀。玉泉盈復溢。倚杖歔欷嘆。此時非昔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鬪鷄 早成武備又文章。疾視飜身孰敢當。兵器爲精藏距鐵。軍糧多積啄蟲香。凌天氣習如佯走。忽地威風最技長。喔喔鳴聲將奏捷。朱翁庭下首功償。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