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權進士【鼎植】 獻發頗久。向風詹注。自倍於異日。謹伏問新元。服體候茂膺康謐。諸度純迪。伏禱之極。弟樗散之質。又添寒疾。以喉中喀喀聲。爲知己友。此可謂今年所得歟。呵呵。第昨冬歷拜時。俗說誤人。不得入哭於令弟學士公几筵。以洩宿懷。孰知不哭之悲。甚於哭之悲也。第以一笻屐。奮然若飛。圖贖前愆。而匏係此身。其肯從此心也否。玆因阿季行。構數行祭文。使之替告。而但文辭拙澁。不能道得胸中語。悚愧悚愧。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淳昌 處處風光昔樣稀。觀其變者瞬同歸。我名此地輝金榜。再到伊今悟昨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權畏卿【敬植】 東準頓首再拜言。先府君棄後學。已三年矣。而日月不爲孝子少留。終祥奄届。仰惟孝思純篤。哀痛罔極。益復如新矣。不審玆辰。哀體聯棣。無至疚毁否。仰祝區區。東準亂離餘生。重爲疾病所痼。末由趨哭於素帷永撤之日。非徒直誠淺也。卽勢禁也。辜負幽冥。無說可宥。謹將尺素。仰達衷悃。而曷敢望弘度哀恕耶。伏乞節順自愛。勿至致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李起永 東準頓首。不意凶變。先承旨公奄違色養。承計驚恒。不能已已。伏惟孝心純至。思慕號絶。何可堪居。日月不居。奄經小祥。哀痛奈何。罔極奈何。不審哀體。何以支保。以孝傷孝。古人所戒。望須節順自愛。勿之過毁焉。東準蒲柳弱質。爲病所痼。未老先秋。末由造慰。是豈聲氣相感底誼耶。自訟是罪。無說可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渡赤城江。復用皐字韻 今年寒食赤城皐。峽裏行行石逕高。暫入槐亭題鳳字。虛舟泛似剡溪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金何山【圭益】雅筵 翩然謝屐與君同。十裏行行興不窮。履下飛雲多費日。鬢邊盈雪㥘寒風。關心舊雨留湖上。顧影今宵步月中。休說楓林差晚約。更加一簣見山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宿白羊雙溪樓第一曲 境合時宜兩占宜。溪樓一路比肩隨。君與經營笻立促。我來消息楓應知。澗流千曲觀源水。樹立十尋垂茂枝。永夜孤燈成佛坐。纖塵不許染些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偶吟 松逢孤竹不孤隣。又有人中直節臣。樓臺必待文章債。桃李堪憐富貴春。平生素志遊東魯。誓死丹心仰北辰。決決寒泉鳴枕下。塵埃拭盡潔衣巾。一雨今朝忽見晴。林林樹樹倍新淸。鷺飛沙岸欣乾羽。魚戲空潭聽躍聲。年可占豊爲國瑞。時招隣比亦人情。無聊追想佳賓至。起掃蒼笞半畒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共李菊史吟 千里神交又日新。支離十夢在元賓。斯文述祖陶山後。承武肖孫菊史眞。退亦江湖多白髮。居然泉石遠紅塵。蓬門更把班生志。憶昔長安一見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詩(五言古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謾吟 微臣家國憂。不覺雙眉蹙。無瑕人是玉。立志孰爲石。夜歸古人讀。日接嘉賓覿。中心先自定。外物不能迫。謝屐隨幽興。起看萬疊麓。曾聞顔樂亭。更步臥龍礜。爽口終爲疾。揚名且見抑。白酒追伶醉。花朝又月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植齋 七松淸風。十世遺來。足以醫熟閙世界。但來者不拒。徃者莫追。而跫音久遐。妄謂賢從。亦病於世。自外於此在乎。莫追之科。爲之矯首者。頻頻矣。惠翰颯爽。忽墜亭土。仰惟氣像通朗。已爲涵養充腹於涵祖之遺澤。無時無處。非七松淸風。不究其言。我心亦涼。賀賀百倍。從雖曰風乎外。依舊病於內。奈何。海西宗人。炎程遠來。其誠可尙。卄日門會謹悉。而海南三從叔。數日前作武靈行。似違那會。顧此江湖鳧鴈。不足爲有無。而其招甚重。當造齒末計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植齋 支離病枕。不見吾從焉。斯歲餘二日。安得不悵悵耿耿也。不審服體萬寧。病從苦哉。二竪逐逐不去。只自任之而已。聞光長兩門會。同守歲云。眞是稀世美事。自先世講睦典型。頼有肖孫。十世如一日。觀吾譜所者。孝悌之心。油然而生矣。雖然。欲求瑕於不瑕。則先生之心。於是乎巧且險。知我病不能參。故開此南宮之歌。管送北宮之愁。未知古之願爲天下名醫者。亦如是歟。第當以此開爭端。則看他竪降旙乃已。仰呵。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植齋 近日信息。便若合席對討。而起居之安。酬酢之勤。不待叩而已審矣。切惟此際譜所爻象。譬諸駕漏般涉大海。恐或檣傾楫摧。岸上觀者。孰不叫鬱。而以先生把作長年三老。似得利涉。千百其幸矣。族從愚獃宿狀。加以病醜。向所謂叫鬱中。尤爲叫鬱者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李觀察【道宰】 棠陰敷化。南邦生靈。復見召公而通也。亦受賜也多矣。豈意賤名。誤於崇聽。下惠寵翰耶。盥薇莊誦。驚榮汗背。伏承審比熱。台體候旬宣康寧。伏祝區區。實孚下忱。侍生生來闒冗。飽喫四百四病。無所成就。伏歎伏歎耳。謹當趨候。仰沐熏德。而尺素。曷能盡寸丹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景晦 始見面於髧髮。更傾耳於突弁。今開眼於惠墨。色色慰沃。心乎愛矣。瑕不謂矣。非此之謂歟。切想天資溫雅。可期以善繼之譽。先尊府不食之報。其在斯矣。爲之欣悅無比。更願立志勤學。及時勉旃。大放家聲。如何如何。來示才鈍云云。知是撝謙。而盖誠有餘。則才之不足。不必論也。其不曰以魯成功乎。恪惟重省餘。讀履護旺。祝祝慰慰。克孚願言。世下㥘寒擁爐。掩不得醜狀。是乃不學便衰之致。忸怩忸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모년(某年) 김창술(金昌述) 문기(文記) 고문서-명문문기류-가사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가사매매명문 金昌述 등 金昌述 등 전북 남원시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용현리에 있는 김창술(金昌述)과 송산리언(松山理彦) 소유의 가대(家垈)의 규모를 기록한 문기(文記) 용현리에 있는 김창술(金昌述)과 송산리언(松山理彦) 소유의 가대(家垈)의 규모를 기록한 문기(文記)이다. 가대의 매매를 위하여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용현리는 남원(南原)에 있는 지명으로 추정되지만, 어느 곳인지는 알 수 없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04년 박경칠(朴敬七) 세음기(細音記)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경제-농/수산업-추수기 朴敬七 1904 朴敬七 전북 남원시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04년 12월에 박경칠(朴敬七)이 기록한 세음기(細音記). 1904년 12월에 박경칠(朴敬七)이 기록한 세음기(細音記)이다. 이 문서에는 작성연대가 갑진년으로만 나오지만, 관련문서 '1906년 박경칠(朴敬七) 표(標)'를 통해서 갑진년을 1904년으로 추정하였다. 이 표에서는 박경칠이 갑오년 이후부터 밀린 도조(賭租) 484냥 8전과 그동안 연체한 129냥 4전 5푼을 낼 방법이 없어서 가대(家垈)와 시장(柴場)의 일부분을 담보로 하여 전당 잡혔다는 내용이 나온다. 도조의 액수를 고려하면 동일 인물로 추정된다. 이 문서에는 필지별로 연도별로 결가(結價)의 내역이 자세하게 적혀 있다. 아마도 이 세음기의 내역을 토대로 하여 1906년에 가대와 시장을 저당 잡히고 도조를 잡히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위의 표(標)가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2년 이용기(李容器) 담보차입증(擔保差入證) 고문서-증빙류-전당문기 경제-회계/금융-전당문기 昭和拾七年四月貳拾貳日 李容器 獒樹金融組合 昭和拾七年四月貳拾貳日 李容器 獒樹金融組合 전북 남원시 1.0*0.8 5개(적색, 타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42년 4월에 이용기(李容器)가 오수금융조합(獒樹金融組合)으로부터 7백원을 빌리면서 채무의 담보물을 차입하고 작성한 증서(證書). 1942년 4월에 남원군(南原郡) 보절면(寶節面) 신파리(新波里)에 사는 이용기(李容器)가 오수금융조합(獒樹金融組合)으로부터 7백원을 빌리면서 채무의 담보물을 차입하고 작성한 증서(證書)이다. 담보물은 잔고 820원의 정기예금증서이다. 오수금융조합은 이용기가 원금과 이자를 갚지 못할 경우에 대비하여 정기예금증서를 담보물로 차입하고 유사시 이를 통해 변제하기로 하였다. 이용기가 오수금융조합으로부터 7백원을 빌리면서 작성한 문서는 "1942년 이용기(李容器) 차용금증서(借用金證書)" 참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2년 송주익(宋柱益) 문기(文記)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十一年壬戌十二月九日 宋柱益 大正十一年壬戌十二月九日 宋柱益 전북 남원시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22년 12월 9일에 송주익(宋柱益)이 작성한 문기(文記) 1922년 12월 9일에 송주익(宋柱益)이 16원을 가져갔다고 확인하면서 작성한 메모이다.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