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일(임술) 初二日 壬戌 -현익엄무(玄黓閹茂)-. 흐리고 비. 【玄黓閹茂】。 陰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월 四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무진) 初八日 戊辰 -저옹집서(著雍執徐)-. 맑음. 【著雍執徐】。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정유) 十二日 丁酉 -강어작악(疆圉作噩)-. 둘째 손자가 왔다. 【疆圉作噩】。次孫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일(병술) 初二日 丙戌 -유조엄무(柔兆閹茂)-. 흐리고 비. 【柔兆閹茂】。陰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詠高瓊 澶淵之役危如髮。孰能濟得九州畺。有一武夫曰高瓊。可徃其勇神駒驤。爲國正當講六鞱。退虜不合賦一詩。浮橋䇿得輦夫背。干城才略隨處宜。重望蠖伸尺地步。雄圖鵬得九天遊。位至秉鉞奮志節。報國丹忠秋日光。有子十四繼其武。戒以要勢知義方。嗟乎不見卷中人。擊節案頭歌慨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詠嚴子陵。加足帝腹上 心中但知故舊情。我足何如天子腹。塵念無梁白兮玉。霜威不屈黃者菊。宮燈五更照一心。雲樹靑靑河之谷。雉壇舊盟血不乾。今之文叔昔文叔。一脚偃然直如矢。扶得風化箭箭紅。大夫不換處士名。廉頑立懦聞其風。嗟乎富貴客奔走。墦間妻妾羞。滔滔狂瀾甚洪水。障得百川兮東流。九鼎重時已尊周。一竿垂時足安劉。大哉此足醫病俗。噓得炎運千萬秋。達而不貴賤不卑。惟此氣味也相投。高尙其志孰能奪。獨不事兮王侯。桐江一絲正四維。山高水長無與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高直閣【甲寅】 上以奉老。俯以受養。天下何樂加此。今且將行令孫于禮云。無限和氣。藹然於仙庄矣。易係所謂。君子自天佑之。吉無不利者。其不尤驗於斯時歟。弟㥘寒擁爐。如入室蠶。不足作消息語耳。令孫咿唔立課。能耐齏鹽之苦。甚嘉甚嘉。猝言發覲行。其情禮。尤合於此時矣。且好學之誠。必恩義有奪。趁期命送。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訪古禮楊氏家 簇立眉山特出羣。煙霞如繡上䈴紋。伊今復有東坡石。藜杖悠然指點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高直閣 新年日爲二十三。詹誦之懷。無日不徘徊於衡門。古所謂神交意會。非此之謂歟。伏惟令體百福。朞降人孤露殘生。又遭家叔父喪。痛若難忍。而不知中。便在知非之境。回憶四十九年事。無非非非叢林。忸怩忸怩。而若或眞知非。則庶收桑楡矣。而此豈易言哉。悲歎無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高直閣【甲寅】 有便先施金王。一節感於一節。況令體之怡安。寶覃之勻禧。克符夙忱者歟。功服弟病窮二字。終不得送之。韓文公送窮文。先道得此生之十分影子。自顧自呵耳。來示中。日出事還生云云。安得不然。佛子所謂大心衆生者。曷嘗見安閒而無惱苦歟。賢或。似導其課程。而盖先難後獲之訓。凡天下事。莫不皆然。而於工夫上。尤爲格訓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權龍山【魯洙】 昨冬趨候門屛。行色甚忙。未得穩承敎誨。茹恨在心。經年未沫也。伏不審新元。壽德體候。難老康福。伏禱區區。不任遠誠。竊嘗聞衛武蘧玉。九十七十。益修進德。而仰認文丈老年存養。尤合節於千載之下。以爲後學之柯則。每庸欽誦者此也。侍生鹵莾賤質。重以放倒成習。甘自歸於無聞。非不知其如此。是病而不知所以藥之矣。悚恧悚恧。病於內者重。則自外來者不足道。而近日亦參於寒感圈中。伏庸苦苦耳。玆以數行仰探動息。繼以望鞭策盛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吳後石 雪白山中。蒼翠挺然。得之目而思之心。惟兄襟懷。庶幾似之。倍功景仰。謹伏請辰下。德體候撫時觀玩。道勝爲肥。各儀純迪。仰禱之枕。區區無斁。弟三載二竪。當寒益肆。擁爐呼寒。只是冷灰情狀。何足道何足道。聞令族難窩翁遺稿。方爲刊出云。顧此膠擾世界。令人傾耳處。況吾兄赤幟儼立。能使斯翁徽音。錚錚於後世矣。亦足爲世塗賀。玆送姪阿探候。爲賜榘誨。使之書紳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吳後石 昨於計使便修書。想入照矣。今日兄體安康之祝。倍切於昨日祝。弟夙疾與路憊。交攻圉圉。而明當輿疾發程計矣。仰認尊駕啓程。必在今明。而拜於中路則幸矣。而否則拜於喪所矣。第松翁襄禮。吾黨中大事。而陽脈將絶。不無狐狸之跳踉矣。見柳兄書。可見其意。未知何以則可耶。愚意則區區周旋于彼處。斷非吾儕所守之志。否則似有藤葛矣。若之何若之何。嗚嗚耿耿。終宵不寐。惟吾老兄在焉。恃而不恐。仰告衷情。諒示講討之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綠泉亭韻【高承旨鼎柱別業】 田園幽興賦歸來。遭遇明時少試才。退亦江湖懸北闕。居然泉石此中臺。初心不負遐翔鳥。晚節偏香一樹梅。翰院老臣多白髪。山光深秀野紆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仲秋會吟【三首】 半生醉夢歎途窮。這間從來是傑雄。珠着荷心還轉轉。霧披峽角却崇崇。蘇黃健筆從前許。元白幽衿感後通。種菊君家因果在。雪山何日帶和瀜。情話團圞繼以詩。少年昔日易前期。桐藏貞韻尋常立。菊餉淸香不待知。投轄偏宜三夜穩。登樓又賦九秋遲。靑松白石源源地。君入夢時吾有思。一日衿懷勝讀書。共探霽景廣吾居。提壺僮促如馳馬。供饁兒趍愧乏魚。稻合新黃評野細。松含晚翠向人疎。田園蕪穢今如古。草有寄奴勤荷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悅雲亭韻 嶺上多雲半落霞。品題爲悅便成嘉。庭前立課新生葉。室裏聞香不待花。向子深盟山盡秀。陶翁憵興逕三斜。惟君肯搆根於孝。澹澹襟懷被葉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隱棲齋韻 偏愛林邱遠世遊。此心穩處此身休。新新蕉葉庭邊展。㶁㶁泉聲枕下流。物外無營安陋巷。人間堪笑有名樓。一枝借得鷦鷯息。蘭佩荷衣托契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澤村暮煙 江村寂寂細生煙。掠地浮空任意行。散合移時還恠巧。七分如畵却無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野居閒話 詩人氣味也相同。晴景分明霧罷峰。戀草蹇驢鳴斷壑。含泥乳燕尺遙空。一身合置淵氷上。萬事無過界分中。茶竈能扶多病我。至人遠寄藥精通。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