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7일 무신 二十七日 戊申 맑음. 유희적(柳羲迪) 딸 혼례식에 빈객(賓客)이 되었는데, 유리적(柳涖迪)이 "심(心)은 한 가지이다."라고 말했다. 그래서 내가 응하여 말하기를, "심(心)에는 통(通)함과 막힘이 있지만 타고난 성(性)은 하나이다. 성(性)은 곧 심(心) 가운데에 갖춰진 이(理)이다. 심(心)이 통하면 이(理)가 통하고, 심이 막히면 이(理)가 막힌다."라고 했다.혼례 홀기(笏記)114)를 찬술하였다.신랑(新郞)이 말에서 내리고 들어와서 자리에서 기다린다. 찬인(贊引)115)이 읍양(揖讓)하고 신랑을 인도하여 전안청(奠鴈廳)116)으로 들여서 자리에 무릎을 꿇게 한다. 중방(中房, 기럭아비)이 기러기를 바치면, 신랑이 기러기 머리를 왼쪽으로 하고 안는다. 주인(主人) 시자(侍者)가 기러기를 받아 땅에 놓는다. 신랑이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조금 뒤로 물러나 동쪽을 향해 선다. 신부(新婦)가 나와서 예석(禮席) 위에 선다. 신랑이 읍하고 신부는 자리에 선다.관세위(盥洗位)117)를 행하는데, 신랑이 관세하고 수건에 닦으면 신부가 관세하고 수건에 닦는다. 신부가 재배(再拜)하고 신랑이 답으로 일배(一拜)한다. 신부가 재배하고 신랑이 답으로 일배한다. 신랑신부가 꿇어앉아 근배례(巹盃禮)118)를 행한다. 술과 안주를 들고 사배례를 행한다. 신랑신부가 일어선다. 신부는 다시 들어가는데 찬인이 읍양하고 인도한다. 신랑은 매 계단마다 서로 읍양하고 방으로 들어간다.이날 집으로 돌아왔다. 陽。客於柳羲迪女婚宴。 柳涖迪云。 "心同也。" 余應之曰。 "心有通塞。 而天賦性一也。性卽心中所具之理。心通則理通。 心塞則理塞也。"撰婚禮笏記。新郞下馬入竣于次。 贊引揖讓引導新郞。 入奠鴈廳就席跪。中房獻鴈。 新郞抱鴈左首。主人侍者受置鴈於地。新郞俛伏興。 少退東向立。新婦出就禮席上。新郞揖。 婦就席。行盥洗位。 新郞盥洗執巾。 新婦盥洗執巾。新婦再拜。 新郞答一拜。新婦再拜。 新郞答一拜。新郞新婦跪。 行巹盃禮。擧飮擧肴。 行沙盃禮。新郞新婦興。新婦復入。 贊引揖讓引導。新郞每階相揖讓入房。是日歸巢。 홀기(笏記) 혼례나 제례 때 의식의 순서를 적은 글이다. 찬인(贊引) 제향 때에 제사의 진행 절차를 돕고 인도하는 일 또는 그 일을 맡은 사람을 가리킨다. 전안청(奠鴈廳) 전안(奠鴈, 혼인을 치를 때 신랑이 신부의 집에 기러기를 가지고 가서 상 위에 놓는 것)하기 위하여 베풀어 놓는 자리. 대개 마당에 차일 遮日)을 치고 병풍을 둘러놓고, 큰 상 위에 솔・대・과일・음식 따위를 차려 놓아 꾸민다. 관세위(盥洗位) 손을 씻고 잔을 씻는 자리를 말한다. 근배례(巹盃禮) 신랑과 신부가 서로 술잔을 나누어 마시는 의식으로 술을 교환하여 하나가 된다는 의미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 기유 二十八日 己酉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무술) 十七日 戊戌 흐리고 비. 陰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呈吳難窩【繼洙】 世路難於蜀道難。難翁高義處閒安。千金却入魯連笑。海底于今明月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呈吳後石【駿善】 大明洞裏名無窮。一樹梅花立晩風。石老倍來松栢志。挺然獨秀歲寒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族叔省齋 戒省眞工擴異才。堂堂志氣出塵埃。昏衢後學今何頼。痛哭非徒哭我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潭陽臥龍村。拜崔文憲公影堂 海東夫子是豪雄。走卒皆知敎育功。幸有肖孫謹守業。千載遺像春風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到月川是齋講世好 仙境飄然净洗塵。所懷宛在洛之濱。玉能彫琢終成器。酒戒酩酊苦辭巡。千裏里知音鳴孚鶴。一條贈語守氷輪。先賢遺馥春長在。起看庭蕉展展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西峰新月 起拜簾間若識荊。楊州影子十分明。山人唐突何爲罪。灑落淸襟挹彼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東林返照 斜影林間最愛紅。在西消息忽傳東。遠人猶識循環理。不虧爲山一簣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姜巨山韻【二首】 雙魚眷眷眼雙明。玉佩多年君獨鳴。抵死深盟追鵠正。半生托契照犀靈。養鷄種黍爲眞樂。聽鳥看花亦是情。戴子無求琴可破。知音千古遠聞聲。索居久苦未分明。鶴在九臯消息鳴。世路誰能從實地。人心本是最虛靈。白頭今日非新態。黃石何時訪舊情。魚躍鳶飛隨處活。靜中會得瑟希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梅巢會吟【二首】 皓首爲期不負功。許君晚節益時雄。平生厭聽新奇語。抵死猶存尙古風。菊掩羞容繞短砌。桐舍大意埒長空。活看世事皆如許。得失無關視楚弓。跫音空谷喜逢迎。細討襟懷自早期。從古詩談霏玉屑。如今才幹乏金城。世情難辨淸兮濁。義路猶存重且輕。此日違期因雨事。石門山色意中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安東次映湖樓韻【二首】 昔聞勝景此州多。今上湖樓不必加。車馬如山豪士路。園墻依古野人家。前宵王老偏迎月。午日程川幾訪花。坐久悠然忘寵辱。還疑行槖伴浮槎。嶠南勝狀洛江多。上有湖樓占得加。宋倅增修稱巨手。禹翁精采又名家。沙邊雨潤皆明鏡。檻外春深看活花。從古新亭添感淚。河淸何日泛仙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月不寐。憶金盤巖瑞玉【玉鉉】 風榻懷人月又明。悠悠不寐坐三更。一江露白蒼葭水。十里煙晴古木城。窮因男兒耕野日。紛紜天地讀書聲。如令夕死朝論道。到此方知子我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買猪肉而食之 使汝願學孔子道。昨賣疋絹買好書。鍜之鍊之金可器。琢而磨而玉自如。前言戲耳豈忽欺。斯須不失規矩歟。垂垂髧髮頗有知。爲問東家胡殺猪。其云啖汝不是眞。姑息之愛出於虛。幼子無誑古人訓。紡燈前宵反復餘。食之以肉是敎道。招招老婢請買之。元無凡毛聽丹鳳。又得神靈筮玄龜。啖時恐或割不正。手執鸞刀謹於斯。味哉此肉味八眞。吾道正脉念在玆。申申膝前撫頂語。泗洙一派非汝誰。賢哉母也有聖子。萬古斯文大宗師。麤拳大踼斥邪說。豈不昊只之所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外舅【丁未】 問候數月餘。自訟微悃。不能道達一半分也。悚倍於異時。伏惟晚熱。壽體康騭。長胤令洛信種種下。聆其安否。外甥活埋塵裏。透脫不得。而惟家累免他大何耳。就時聞令人心悸。何以則得仲長統所謂。寄憂天上。埋愁地下。使此方寸地。安閒也耶。餘因便探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外舅【癸卯】 新年將晦。慕仰之衷。日日新之。伏未審。履端壽德體候。康福萬寧。正合於吾夫子所謂不知老之將至底意思。而寶覃茂納鴻禧。伏禱區區。不任卑誠。外甥峽居迎歲。老人粗安。兒曹亦不言病。私分稍慰。而七尺賤軀。無端被鄕約之束縳。竊欲職其職。則唇舌可畏。不職其職。則恐負宿心矣。古所謂解金歸山。何等淸福云者。正道得爬着癢處。伏望下惠鞭策榘誨。以爲受用之地。恐未知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鄭遇粲 春間委顧面初。若舊相識。耿耿蘭儀。常在心目之間。非圖伻人惠翰。懃慇懇至。眞朋百。感泐曷斗。謹維窮蜡省餘。棣事怡愉湛旺。馳溯規規。克協願言。準十月初。以陶山先生及門錄事。作嶺之禮安行。中路得病。尙且藥餌。無今瘳之日。樗散本色奈何。第念賢座孝思根天。使尊先府。炳炳節義。大有光於天下後世。眞是父是子。斂衽庸有旣乎。顧此蹇淺之筆。不能揄揚萬一。而承此稱許過當。不覺顔發頳也。惠送五種。何若是其侈。然却之爲不恭。故傚此伸頸之鵝。而無瓊報瓜。還庸歎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吳寢郞 歲新。念到于分厚處。惟令居第一拇。卽因便聞。春堂患候。貢慮且驚。寔出尋常萬萬。雖然。根天孝養。必獲神佑。旡五可卜矣。以是仰慰。繼以祝祝。盖患難時。將此身無致損。亦一道理。幸自愛加餐。如何如何。姻下年來樗散。難掩其醜。而惟諸眷槩安。是爲新年一幸耳。竊欲道左相握。以慰侍湯焦肺。而尊行必罔夜倍馳。我亦畏寒竄衾。願遂而末由。玆替數行伸情。其或猶賢於已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吳寢郞 昨冬造唁。巧値檏駕。只哭几筵。念昔悼怛。有淚傾河。羲鴉彔跳。小祥奄届。昻想痛隕罔極。益復如新矣。謹問玆辰。重堂氣力。天騭康寧。省哀體節。儻勿至柴毁致損。而鐵孫亦充健否。東準宿狀菲劣。如梯益下而已。第當此時奔慰。而瓠係此身。去死壹髮。未克遂忱。辜負幽明。無說可逃。盖傷生。古人所誡。望須節哀俯就。勿之傷孝。上慰重堂。下副賤悃。如何如何。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