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 병신 十五日 丙申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 계사 十二日 癸巳 흐림. 바람이 불고 큰 눈이 왔다. 陰。風大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3일 갑오 十三日 甲午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일 정유 十六日 丁酉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 무술 十七日 戊戌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 기해 十八日 己亥 흐리고 비. 陰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 경자 十九日 庚子 흐리고 비. 크게 바람 불고 눈이 내렸다. 陰雨大風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 계묘 二十二日 癸卯 맑음. 밤에 눈비가 내렸다. 陽。夜雨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 갑진 二十三日 甲辰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 신축 二十日 辛丑 맑음. 족숙 철현(轍鉉)의 딸 결혼식에 갔다. 晴。赴族叔轍鉉女婚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墮淚碑 流澤不斬於萬歲。德以飽之酒以醉。屹然龜頭鎭九州。來人去人一心素。江漢之水深如許。波可渴兮魂不死。泰嶽之山高如許。山可崩兮人仰止。不曰堅乎磨不磷。淚以爲碑爲之者。名傳萬口膾又炙。德冠四海綱而紀。吾其有淚人亦淚。矢死靡他不忘字。輕裘緩帶定一世。彷彿儀形如見耳。沾襟淚貌各人情。擊節秋風敬而起。碑兮立立傳至今。萬古羊公獨有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詠鍾儀 錯節盤根分利器。千秋想像若人裾。歲寒然後知松栢。熟路就時馳馬車。南冠吹作義士風。擊節秋燈驚起余。片言寧作小人態。一飯無忘故國墟。心切寸誠君子道。業無二事先人書。雖在絏也無蔓草。仁以爲耕義以鋤。㥘火崑崗玉不焚。如磨如琢人其如。嗟哉鍾儀鳴於楚。活潑天機同躍魚。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詠趙普 五季以後宋德隆。天生太祖又趙普。在古同歸伊呂倫。如今又見蕭曹伍。在在鼎鐺皆傾耳。社稷臣名雷萬戶。周餘民情望雲霓。用汝人間作霖雨。際遇密勿得水魚。威德彷彿在山虎。天助有宋賚一人。帝得無虞臨九宇。宰相豈不若是哉。拾秦明日更以補。永日槐閣讀論語。一變風化至於魯。息兵安國有何術。文治炳蔚又偃武。三代之治庶幾宋。越自韓王有規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高直閣 向書知入鑑矣。潦炎比劇。倍切逝濯之懷。伏問令體。定省萬寧。且閒中日月。其不以憂世之憂妨我樂天之樂歟。弟尸居冷灰。曷有再燃之望也。兒病近似少效。盖是宿祟。不可以少效弭慮。甚矣。此生之沒廉也。前日所懇蔘淸二品。無日不念念于心。暮暮見褦襶漢。錯認貴穎送藥來矣。此念日長。恐或歸於賈生所謂。孳孳嗜利。同禽獸者矣。雖然。誰執其咎。無乃令兄之澤物也厚。故弟之所爲者。若是甚焉。以是歸除。則咎有所在。仰呵。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高直閣【鼎柱】 貽阻若隔世。翹首東望。不覺心痗。伏請小春。經體定省萬寧。棐几靜窓。擁書講義。必看得已所獨知之味矣。爲之溯祝。孤哀子冥頑一縷。尙爾不絶耳。前此屢承俯枉之敎。君子踐言。必有其日。感先於未拜之前。而繼之以擡眼望望。得無歸於望者欲穿歟。謹此爲探二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高直閣 積歲阻拜。雲泥之判。京鄕之分。固其所也。何幸昨冬。得封章草本讀之。宛然瞻顔。光見肝膽。句句忠義。字字直舌。使我湖省。免他無人之秦。不覺歛衽而敬。仕途淸選。盖是鄒聖所謂。天爵修而人爵自至。所賀也。尤在於上句。伏惟衡軸利稅告寧。而上堂問起居。栗里供情話。天下眞樂。孰勝於此。仰慰愜祝。弟年間所得。無非迍如邅如。而鬢邊秋霜。豈有再春之日也。浩歎而已。自聞兄之鄕駕。竊欲奮飛拜穩。而瓠係七尺。不得自任。倍切瞻悵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李敬會【炳{金+憲}】 新年五日。新瞻仰耿耿。不自知幾萬疉懷也。仰祝靖體膺百福。諸度納純慶。願此新年喜聞。而亦不待卜於詹尹而已卜矣。弟狀一添齒而迷督。似爲次第見蘇。眷不言警可爲慰耳。此去吳寢郞弟之姪女婿也。以其親患。方邀尊兄行。必面初如舊矣。雖或有碍格。掃却之速圖行轄。使他二竪落魄快袪。如何如何。此亦仁人君子之好家法也。何待愚言之贅也。亦區區情。不得不盡吐矣。餘留阿姪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吳後石 數前胤友來顧。敬探安候矣。更伏問未間。經體候燕申康寧。諸儀均禧。仰祝區區無任。弟鹵莾夙狀。無容更評。而仰念文丈以松栢之姿。挺然獨秀。大爲吾黨之模範。而顧此蒲柳之質。加以緇衣。誠淺曠。不造門承誨。偃蹇貌樣。令人可憎。第蘭稿跋。尊有命。不敢違焉。故蓁蕪之筆。强畵葫蘆。不覺顏騂。況我文丈直筆。己揄揚之。古所謂韓文公脚下。非做文字地者。非此之謂歟。望須垂以針砭。化腐新則受賜大矣。本稿二冊。倂付呈。使將命者。完傳之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3)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