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1년 이용기(李容器) 남원군(南原郡) 농회비(農會費)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昭和十六年度 南原郡農會 邑面分區 李容器 昭和十六年度 南原郡農會 邑面分區 李容器 전북 남원시 2.5*2.5 1개(적색, 정방형), 1.2*1.2 2개(적색, 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41년에 이용기(李容器)가 남원군(南原郡) 농회(農會)에 회비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領收證). 1941년에 남원군(南原郡) 보절면(寶節面) 신파리(新波里)에 사는 이용기(李容器)가 남원군(南原郡) 농회(農會)에 회비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領收證)이다. 이용기가 납부한 농회비는 지주(地主)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회원활(會員割) 30전, 지세할(地稅割) 16원 55전 등 모두 16원 85전이었다. 농회는 한말부터 민간에 의해 비영리단체로 운영되기도 하였으며, 일제 강점기에 들어와서는 일본인 관리와 대지주가 주축이 된 관제단체들로 존속하기도 하였다. 일제는 특히 1933년부터 만주침략을 수행하기 위한 발판이자 농촌·농민통제책의 일환으로 촌락단위의 전면에서 농촌진흥운동을 추진하였는데, 조선농회는 바로 그 농촌진흥운동을 전면에서 추진한 관제조직의 하나였다. 농촌진흥운동기의 조선농회는 농업단체라기 보다는 공동 구판사업을 통한 원료 농산물의 공급과 농업용품의 구매 알선단체로서 그 성격이 변질되어 한국 농민들을 수탈하고 일본 자본주의를 회생시키고 식민지 수탈체제인 식민지 지주제를 유지 강화하는데 이용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1년 이원창(李元暢) 남원군(南原郡) 농회비(農會費)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昭和十六年度 南原郡農會 邑面分區 李元暢 昭和十六年度 南原郡農會 邑面分區 李元暢 전북 남원시 2.5*2.5 1개(적색, 정방형), 1.2*1.2 2개(적색, 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41년에 이원창(李元暢)이 남원군(南原郡) 농회(農會)에 회비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領收證). 1941년에 남원군(南原郡) 보절면(寶節面) 신파리(新波里)에 사는 이원창(李元暢)이 남원군(南原郡) 농회(農會)에 회비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領收證)이다. 이원창이 납부한 농회비는 지주(地主)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회원할(會員割) 30전, 지세할(地稅割) 54전 등 모두 84전이었다. 농회는 한말부터 민간에 의해 비영리단체로 운영되기도 하였으며, 일제 강점기에 들어와서는 일본인 관리와 대지주가 주축이 된 관제단체들로 존속하기도 하였다. 일제는 특히 1933년부터 만주침략을 수행하기 위한 발판이자 농촌·농민통제책의 일환으로 촌락단위의 전면에서 농촌진흥운동을 추진하였는데, 조선농회는 바로 그 농촌진흥운동을 전면에서 추진한 관제조직의 하나였다. 농촌진흥운동기의 조선농회는 농업단체라기 보다는 공동 구판사업을 통한 원료 농산물의 공급과 농업용품의 구매 알선단체로서 그 성격이 변질되어 한국 농민들을 수탈하고 일본 자본주의를 회생시키고 식민지 수탈체제인 식민지 지주제를 유지 강화하는데 이용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1년 민병숙(閔丙淑) 남원군(南原郡) 농회비(農會費)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昭和十六年度 南原郡農會 邑面分區 閔丙淑 昭和十六年度 南原郡農會 邑面分區 閔丙淑 전북 남원시 1.2*1.2 2개(적색, 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41년에 민병숙(閔丙淑)이 남원군(南原郡) 농회(農會)에 회비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領收證). 1941년에 남원군(南原郡) 보절면(寶節面) 신파리(新波里)에 사는 민병숙(閔丙淑)이 남원군(南原郡) 농회(農會)에 회비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領收證)이다. 민병숙이 납부한 농회비는 지주(地主)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회원활(會員割) 30전, 지세할(地稅割) 43전 등 모두 73전이었다. 농회는 한말부터 민간에 의해 비영리단체로 운영되기도 하였으며, 일제 강점기에 들어와서는 일본인 관리와 대지주가 주축이 된 관제단체들로 존속하기도 하였다. 일제는 특히 1933년부터 만주침략을 수행하기 위한 발판이자 농촌·농민통제책의 일환으로 촌락단위의 전면에서 농촌진흥운동을 추진하였는데, 조선농회는 바로 그 농촌진흥운동을 전면에서 추진한 관제조직의 하나였다. 농촌진흥운동기의 조선농회는 농업단체라기 보다는 공동 구판사업을 통한 원료 농산물의 공급과 농업용품의 구매 알선단체로서 그 성격이 변질되어 한국 농민들을 수탈하고 일본 자본주의를 회생시키고 식민지 수탈체제인 식민지 지주제를 유지 강화하는데 이용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 경인 九日 庚寅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1년 정덕원(鄭德元) 표(標) 고문서-증빙류-수표 경제-회계/금융-수표 辛酉 標主鄭德元 辛酉 鄭德元 전북 남원시 [印] 1.0*1.0 1개(적색, 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21년 10월 21일 정덕원(鄭德元)이 작성하여 준 표(標) 1921년 10월 21일 정덕원(鄭德元)이 작성하여 준 표(標)이다. 표란 약속문서를 말한다. 어떤 사안에 대한 약속을 확인한다는 의미에서 표를 작성해 주었던 것인데, 정덕원이 본 표를 쓰게 된 이유는 고용가(雇用價) 때문이었다. 타작(打作)할 때 어떤 사람을 고용하였고, 그에게 돈을 비급하겠다고 하면서 본 표를 써 준 것인데, 본 표를 작성한 10월 21일 기준 전체 비용은 6량 9전이었다. 다만 문서 첫 부분을 보면 11월의 고가에 관한 기록도 보이는데, 그것은 본 표를 작성한 이후 추가한 사항이었다고 보아야 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94년 조용운(趙龍雲) 상환토지양도증(償還土地讓渡證) 고문서-증빙류-증서 경제-회계/금융-증서 甲午 讓渡人 趙龍雲 甲午 趙龍雲 전북 남원시 [印] 1.3*0.9 1개(적색, 타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54년 음력 12월 9일 조용운(趙龍雲)이 작성한 상환토지양도증(償還土地讓渡證) 1954년 음력 12월 9일, 조용운(趙龍雲)이 작성한 상환토지양도증(償還土地讓渡證)이다. 전라남도 구례군(求禮郡) 토지면(土旨面) 용두리(龍頭里) 279번지에 있는 답(畓)을 상대방에게 양도한다는 내용이다. 그리고 양도하는 대신 백미(白米) 1두(斗) 백승(百升)을 받는다는 것인데, 여기서 말하는 상환토지는 조용운 이 국가로부터 부여 받아 경작해 왔던 논으로 추측된다. 조용운은 이 토지를 넘기기로 한 것인데, 누구에게 이 토지를 양도하기로 했는지는 알 수가 없다. 받는 사람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18년 이용기(李容器)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大正七年戊午二月十一日 張乃寬 李容器 大正七年戊午二月十一日 張乃寬 李容器 전북 남원시 [印] 5개 1.0*1.0 4개(적색, 원형), 1.0*0.7 1개(적색, 타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18년 2월 11일에 장내관(張乃寬)이 남원군(南原郡) 보절면(寶節面) 원이벌리(元二筏里)에 있는 밭을 이용기(李容器)에게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918년 2월 11일에 장내관(張乃寬)이 남원군(南原郡) 보절면(寶節面) 원이벌리(元二筏里)에 있는 밭을 이용기(李容器)에게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다. 거래내역은 원이벌리 전평(前坪)에 있는 황자원(荒字員) 밭 5승지(升只)로 부수(負數)로는 3속이 되는 곳을 이용기(李容器)에게 4원에 팔았다. 이곳은 장내관 본인이 개간한 곳이었다. 거래 당시 새로운 매매양식이 없어서 옛 양식으로 문서를 작성하였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문서 말미에 장내관이 4원을 받고 써 준 영수증이 첨부되어 있다. 매매 당시 밭 주인인 장내관과 증인(證人)으로 백서홍(白瑞洪)이 참여하여 함께 인장을 찍었다. 문서에는 이름을 장학관(張學寬)으로 하였다가 장내관(張乃寬)으로 정정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金參奉【圭益】 逆理之慘。尙忍言尙忍言哉。欲言而哽塞。罔知所以爲語。盖事到無可奈何處。安之若命。古人已有先見。莊翁達觀。亦可謂排遣之一道。聞有令孫岐嶷。此是逝者之留孝於其親闈。而寬抑哀懷之第一節。爲之貢慰者。在此已。伏請邇間服體。勿至致損。仰禱僕僕。東準宿疾餘生。去未冷屍一間。何足道病也。如是不得造唁。玆以替伸。負負大矣。幸須勿爲西河無益之悲自愛加護。如何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登高敞郡 穰往熙來見市人。路中風景日新新。老腳多勞須草履。世情隨處析毫塵。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自古阜下鰲山向沙浦 邂逅奇緣幷轡行。浮生到此海胡平。訪金上舍沙湖主。盃酒深深說舊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宿柳川向邊山 路柳舍情送遠客。行行藜杖向蓬萊。桃源之說誠云在。這處應驚俗客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宿露積里 石廩峰巒如許屹。留名千載鎭斯皐。也憎時輩徒貪餮。偏享山人志節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廣郊農歌 油然眞澹泰山雲。四野歌謡遠入聞。此世誰能如冀缺。婦而來饁敬夫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長洑牧篴 草色霏迷一色齊。騎牛葉笛散東西。世間爵祿心無八。欲問里奚傍古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牛山樵夫 斧斤日日尋翹薪。僅保牛山一脉春。歸路遺金還不拾。羊裘五月所懷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柳橋行人 第一橋頭第一家。靑靑柳色伴奇花。塵間紅綠還多事。奔走行行謾自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範居士牧齋之孝行。已慣耳矣。今其胤子善中。亦能養其大人。今於六十壽席。飾喜稱慶。此非不匱錫類者歟。居士有原韻。寔出蓼莪之餘意。朋友之從而和者頗溢軸。追次。 花甲重回此地留。善門餘慶納悠悠。東方君子歌中至。南極老人圖上收。彩服翩飜三鳳舞。霞觴洋溢一時遊。伏翁義氣傳家業。食報雲孫不待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范君善中。搆一小亭於竹翠山中。因山名名其亭。以亭名寓其意。蓋不欲隨凡草木萎黃於歲寒者也。苟能益守此義。使此山此亭。更高一層。則幾矣。示我以原韻。忘拙和之。 閒人搆得一茅亭。竹翠山深不改靑。簾外風吹來牛榻。雲間月照步虛庭。迎朋無妨開三逕。遺子不如敎一經。這裏惟爲文酒事。樂時能醉述時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李上舍【命羽】共吟 早年司馬鬱靑霞。始識淸泉掘盡沙。東魯遺風猶古木。西窓聽雨問新花。飄搖塵裏尋常地。點綴林間三數家。我有藏琴君有意。山峩峩者水之涯。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