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領收證一金八拾四円也右은 <지명>道龍</지명>所在畓 八斗落只代金在条中次數領收홈(內現金六十五円과 白米壹石代十九円合算)<연도>戊午</연도>正月十參日領收印 <인명>李洋來</인명>[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3년 이철수(李喆壽) 사매공립보통학교(巳梅公立普通學校) 통신부(通信簿) 1 고문서-증빙류-증서 교육/문화-근대교육-성적표 昭和八年 月 日 巳梅公立普通學校 李喆儔 昭和八年 月 日 巳梅公立普通學校 李喆儔 전북 남원시 0.6*0.4 2개(적색, 타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33년에 작성된 이철수(李喆壽)의 사매공립보통학교(巳梅公立普通學校) 통신부(通信簿). 남원(南原)의 사매공립보통학교(巳梅公立普通學校) 6학년 학생 이철수(李喆壽)의 1933년도 통신부(通信簿)이다. 이철수라는 이름으로 기재된 사매공립보통학교 통신부가 2건 전하고 있는데, 하나는 5학년의 기록이고 다른 하나는 6학년의 기록이다. 이 통신부는 5학년 때의 1학기와 2학기의 상황을 기록하고 있다. 통신부는 학생의 학업성적과 출석 상황 등 학교에서의 생활을 기록하여 학생의 가정으로 보내는 학생의 성적통지표이다. 이 통신부에는 학년의 과정을 수료하였음을 증명하는 증명서(證明書)와 수업증(修業證)이 인쇄되어 있다. 학업성적과 출석상황을 기록한 항목에는 1학기, 2학기, 3학기 등 세 학기로 나누어, 수신(修身), 국어(國語), 조선어(朝鮮語), 산술, 역사, 지리, 이과, 도화(圖畵), 창가(唱歌), 체조, 재봉(裁縫), 실업(實業), 평균, 조행(操行), 판정(判定) 등의 항목에 점수를 갑(甲), 을(乙) 등으로 매겼다. 다음으로 출석일수와 결석일수를 적었는데, 결석일수는 다시 병기(病氣), 사고(事故), 기인(忌引), 지참(遲參), 조퇴(早退) 등의 일수를 기록하였다. 이어 식일(式日)에는 출석, 결석 등을 기록했다. 이어서 주임훈도(主任訓導)와 보호자인(保護者印)의 도장을 찍어 확인하도록 하였다. 학업성적과 출석상황 다음으로는 신체의 상황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5학년, 6학년 등으로 나누어, 검사월일, 연령, 신장, 체중, 흉위, 발육, 영양, 척주, 시력, 색신(色神), 안질, 청력, 치아, 질병, 개평(槪評) 등을 기록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통신부에는 신체의 상황에 대한 기록이 전혀 없다. 마지막 페이지에는 학교가정통신난, 시업시각(始業時刻), 수업료, 자수시간(自修時間) 등의 난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교장과 보호자의 이름을 쓰는 난과 주소를 기입하는 난이 있었다. 보호자의 이름이 이용기(李容器)로 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3년 이철수(李喆壽) 사매공립보통학교(巳梅公立普通學校) 통신부(通信簿) 2 고문서-증빙류-증서 교육/문화-근대교육-성적표 昭和八年 月 日 巳梅公立普通學校 李喆儔 昭和八年 月 日 巳梅公立普通學校 李喆儔 전북 남원시 0.6*0.4 2개(적색, 타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33년에 작성된 이철수(李喆壽)의 사매공립보통학교(巳梅公立普通學校) 통신부(通信簿). 남원(南原)의 사매공립보통학교(巳梅公立普通學校) 6학년 학생 이철수(李喆壽)의 1933년도 통신부(通信簿)이다. 이철수라는 이름으로 기재된 사매공립보통학교 통신부가 2건 전하고 있는데, 하나는 5학년의 기록이고 다른 하나는 6학년의 기록이다. 이 통신부는 6학년 때의 1학기와 2학기의 상황을 기록하고 있다. 통신부는 학생의 학업성적과 출석 상황 등 학교에서의 생활을 기록하여 학생의 가정으로 보내는 학생의 성적통지표이다. 이 통신부에는 학년의 과정을 수료하였음을 증명하는 증명서(證明書)와 수업증(修業證)이 인쇄되어 있다. 학업성적과 출석상황을 기록한 항목에는 1학기, 2학기, 3학기 등 세 학기로 나누어, 수신(修身), 국어(國語), 조선어(朝鮮語), 산술, 역사, 지리, 이과, 도화(圖畵), 창가(唱歌), 체조, 재봉(裁縫), 실업(實業), 평균, 조행(操行), 판정(判定) 등의 항목에 점수를 갑(甲), 을(乙) 등으로 매겼다. 다음으로 출석일수와 결석일수를 적었는데, 결석일수는 다시 병기(病氣), 사고(事故), 기인(忌引), 지참(遲參), 조퇴(早退) 등의 일수를 기록하였다. 이어 식일(式日)에는 출석, 결석 등을 기록했다. 이어서 주임훈도(主任訓導)와 보호자인(保護者印)의 도장을 찍어 확인하도록 하였다. 학업성적과 출석상황 다음으로는 신체의 상황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5학년, 6학년 등으로 나누어, 검사월일, 연령, 신장, 체중, 흉위, 발육, 영양, 척주, 시력, 색신(色神), 안질, 청력, 치아, 질병, 개평(槪評) 등을 기록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통신부에는 신체의 상황에 대한 기록이 전혀 없다. 마지막 페이지에는 학교가정통신난, 시업시각(始業時刻), 수업료, 자수시간(自修時間) 등의 난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교장과 보호자의 이름을 쓰는 난과 주소를 기입하는 난이 있었다. 보호자의 이름이 이용기(李容器)로 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修業證書<인명>李金剛山</인명><연도>大正六年</연도>十一月九日生普通學校第壹學年ノ課程ヲ修了セシコトヲ證ス<연도>大正十三年</연도>三月卄七日 [學校印]寶節公立普通學校第貳九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연도>隆熙二年戊申</연도>六月十六日 明文右明文典當事當此窮節生活無路所買家垈三間伏在<지명>宝玄黃竹村樹字員</지명>卜數三負㐣典執成文是遣右宅白米合二十升得去而待新高価報償爲約是如限以十月晦內爲定而如過限未報則永永次持之意如是成文典當事家垈主 <인명>朴德七</인명>[手決]<연도>戊申</연도>七月二十升価十八兩成文後給債記則三兩 <연도>戊申</연도>七月十二日則九兩九戔 租十斗価<연도>戊申</연도>八月初三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연도>大韓隆熙二年戊申</연도>三月初十日 前明文右明文事段移買次家垈累年居産是多可體舍單三間伏在<지명>宝玄黃竹村樹字</지명>卜數三負㐣價折錢文參拾兩依數捧上是遣右人前永永放賣爲去乎日後如有爻象之說則以此告官卞正事家垈主 幼學 <인명>康基東</인명>[手決]證人 幼學 <인명>崔奉安</인명>[手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契約書右契約事은 以糧債急用所致로 右前則十兩以月利로 得用이고 如是契約홈<연도>大正元年</연도>陰十一月十三日<인명>姜制石</인명> 指章[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연도>光武十一年丁未</연도>十一月六日 前明文右明文事傳來家垈體舍三間庫間二間護邸三間並柿桑木幾株忘字員卜數㐣價折錢文壹佰柒拾兩依數交兩封上是遣以新文記一張右前永永放賣爲去乎日後如有異說以此文憑考事家垈主 幼學 <인명>李泓器</인명>[手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敎科ヲ卒業セシコトヲ證ス<연도>昭和六年</연도>三月二十四日巳梅公立普通學校長 <인명>菱田齊治郞</인명>[校長印]第二二○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賞狀 [學校印]第四學年<인명>李喆壽</인명>右者本學年中精勤ニ付玆ニ之ヲ賞ス<연도>昭和三年</연도>三月卄三日寶節公立普通學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賞狀第四學年<인명>李喆壽</인명>右者本學年中精勤ニ付玆ニ之ヲ賞ス<연도>昭和四年<연도>三月卄三日寶節公立普通學校 [學校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卒業證書 [學校印]<인명>李喆壽</인명><연도>大正六年</연도>十一月九日生普通學校修業年限 四箇年ノ全敎科ヲ卒業セシコトヲ證ス<연도>昭和三年</연도>三月卄三日寶節公立普通學校長 <인명>金東和</인명>[校長印]第六七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修業證書<인명>李金剛山</인명>年 月 日生普通學校第貳學年ノ課程ヲ修了セシコトヲ證ス<연도>大正十四年</연도>三月卄七日 [學校印]寶節公立普通學校第參貳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領收證第六四三號 <연도>昭和十六年度</연도> <지명>新 里</지명> <인명>李元暢</인명> 納 [印]一金 壹円八拾參錢也 地稅(國稅) <연도>昭和十六年度</연도> 第一期分一金 壹円四拾壹錢也 地稅附加稅(道稅) 仝一金 壹円參拾壹錢也 地稅附加稅(面稅) 仝計金 四円五拾五錢也右 領收候也<연도>昭和十六年</연도> 月 日領收ス<관청명>南原郡寶節面</관청명><관직명>會計員</관직명> <인명>李本光器</인명>[印]⊙稅金은必히期限內에納付할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領証一金貳拾圓也<연도>大陰</연도>正月二十二日領証主<인명>丁元百</인명>[指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10년 정달숙(丁達淑)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전북 남원시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10년(융희 4) 12월 8일 정달숙(丁達淑)이 보현면(寶玄面) 장동(將洞)에 있는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910년(융희 4) 12월 8일 정달숙(丁達淑)이 보현면(寶玄面) 장동(將洞)에 있는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다. 논의 주인 정달숙은 돈이 필요한 데가 있어서 자기가 매득하여 여러 해 동안 경작해 왔던 논을 팔게 되었다. 보통 명문(明文)에서는 땅을 파는 이유를 가계가 어렵거나, 장례비용이 없거나, 흉년이 들거나, 다른 땅이나 집을 사려는 등 다양하고 구체적으로 기재하였다. 그러나 조선 후기로 갈수록 대개 요용소치(要用所致)나 절유용처(切有用處) 등으로 간략히 기재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매매의 대상이 된 토지는 보현면 장동 월평(越坪) 영자답(盈字畓) 2두락지(斗落只)이며 부수(負數)로는 7부(負) 8속(束)으로, 3야미(夜味)인 곳이다. 방매(放賣) 가격은 70냥이다. 조선 시대에는 토지의 면적을 표기할 때 수확량, 파종량, 경작시간 등을 기준으로 산출하여 기재하였다. 수확량을 기준으로 했을 때는 결(結), 부(負,卜) 속(束) 등의 단위를 사용하였고, 파종량을 기준으로 했을 때는 두락지(斗落只), 승낙지(升落只) 등을 사용했다. 또한, 경작시간을 기준으로 한 면적 단위는 기일경(幾日耕) 등이 있다. 이 문서에는 파종량과 수확량을 기준으로 면적을 표기하였다. 차후에 이의를 제기한다면 본전(本錢) 즉, 매매금액을 내어줄 거라고 밝히고 있다. 거래참여자에 대한 사항은 문서의 맨 마지막에 기록하였다. 이 거래에는 논의 주인 유학(幼學) 정달숙과 증인(證人) 유학 양치백(梁致伯)이 참여하였다. 그들은 각각 이름을 쓰고 서명을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연도>明治四十三年</연도>庚戌十二月八日 前明文右明文事段自己買得畓累年耕食是多可以要用所致伏在<지명>寶玄面將洞</지명>越坪盈字員卜數七負八束二斗落只三夜味價折錢文七十兩依數交易捧上是遣日後若異說則自本錢出給事畓主 幼學 <인명>丁達淑</인명>證人 幼學 <인명>梁致伯</인명>[着名]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