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계축) 四日 癸丑 -소양적분약(昭陽赤奮若)-. 맑음. 【昭陽赤奮若】。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기묘) 二十四日 己卯 -도유단알(屠維單閼)-. 맑음. 【屠維單閼】。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기묘) 十八日 己卯 -도유단알(屠維單閼)-. 맑음. 【屠維單閼】。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경진) 十九日 庚辰 -상장집서(上章執徐)-. 흐리고 밤에 눈. 【上章執徐】。陰夜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신사) 辛巳 -중광대황락(重光大荒落)-. 흐리고 눈. 【重光大荒落】。陰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병술) 二十五日 丙戌 흐림. 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정해) 二十六日 丁亥 흐림. 저녁에 비가 왔다. 陰。夕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신사) 二十二日 辛巳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7일(무자) 二十七日 戊子 맑음. 천기가 맑았다. 산중에 은둔하여 책력이 없으니, 밤에 다만 북두(北斗)를 보고 시절의 바뀜을 증험한다. 陽。天朗氣淸。遯跡山中無曆日。 夜只看北斗驗時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기축) 二十八日 己丑 맑음.〈안자전수위인지도(顔子傳授爲仁之圖)〉107)約 博禮 文服 擇膺 乎勿 中失 庸復 克禮 己知非非非非不之禮禮禮禮善未勿勿勿勿未嘗動言聽視嘗復 不行 知事之復克 日之復克 功之復克舍 用 三 犯實有多能則 則 月 而若若問問藏 行 不 不虛無寡不違 較 能仁不改其樂如忽忽 鑽仰欲有在在 彌彌罷所後前 堅高不立 能爲邦遠樂服乘行放侫韶周殷夏鄭人舞冕輅時聲 陽。〈顔子傳授爲仁之圖〉約 博禮 文服 擇膺 乎勿 中失 庸復 克禮 己知非非非非不之禮禮禮禮善未勿勿勿勿未嘗動言聽視嘗復 不行 知事之復克 日之復克 功之復克舍 用 三 犯實有多能則 則 月 而若若問問藏 行 不 不虛無寡不違 較 能仁不改其樂如忽忽 鑽仰欲有在在 彌彌罷所後前 堅高不立 能爲邦遠樂服乘行放侫韶周殷夏鄭人舞冕輅時聲 안자전수위인지도〈顔子傳授爲仁之圖〉 박세채가 1693년 후학을 면려하기 위해 지은 〈顔子傳授爲仁圖〉는 ≪남계집(南溪集)≫에 실려 있는데, 원문과 몇 글자가 다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기묘) 二十日 己卯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경진) 二十一日 庚辰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정묘) 十五日 丁卯 -강이단알(彊圉單閼)-. 맑음. 【彊圉單閼】。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일(무진) 十六日 戊辰 -저옹집서(著雍執徐)-. 맑음. 【著雍執徐】。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기사) 十七日 己巳 -저옹대황락(屠維大荒落)-. 맑음. 【屠維大荒落】。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경오) 十八日 庚午 -상장돈장(上章敦牂)-. 맑음. 【上章敦牂】。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일(경오) 十六日 庚午 맑음. 바람과 잔뜩 낀 구름이 나의 서쪽 교외로부터 왔다.57) 밤에 비가 잠깐 내렸다. 陽。風密雲自我西郊。 夜雨暫下。 바람 …… 왔다 ≪주역≫ 〈소축괘(小畜卦)〉에 "구름만 잔뜩 끼고 비가 내리지 않으니 나의 서쪽 교외에서부터 왔기 때문이다.[密雲不雨, 自我西郊.]"라는 구절이 있다. 구름만 잔뜩 끼고 비를 이루지 못한 것은 문왕이 동쪽으로 가지 못하고 오히려 음방인 서쪽의 유리옥에 갇혀 있기 때문이라는 비유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임신) 十八日 壬申 맑음. 비가 갠 후 날씨가 청명해지니 마음이 시원스레 트이고 정신이 흡족하였다. 〈사잠(四箴)〉58)을 보다가 청잠(聽箴)의 '사람이 가진 양심은 천성에 근본한 것이다.[人有秉彛, 本乎天性]'59)라는 내용에 이르러 '시잠(視箴)은 안으로부터, 청잠은 밖에서 안으로 들어온다'는 의미를 깨달았다. 陽。霽後天朗氣淸。 心曠神怡。看四箴。 至聽箴'人有秉彛。 本乎天性'。 覺視箴自內。 聽箴自外入內之意味。 사잠(四箴) 공자의 제자 안연(顔淵)이 '극기복례(克己復禮)'의 조목을 물었을 때 공자가 "예가 아니면 보지 말며, 예가 아니면 듣지 말며, 예가 아니면 말하지 말며,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 말라.[非禮勿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動.]"고 답함으로써 사물(四勿)을 말했는데, 정자가 이 말은 성인을 배우는 데 마땅히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하여 스스로 경계하는 뜻으로 시잠(視箴)・청잠(聽箴)・언잠(言箴)・동잠(動箴)의 〈사잠(四箴)〉을 지었다.(≪논어≫ 〈안연(顔淵)〉) 사람이 …… 것이다 정자(程子)의 〈사물잠(四勿箴)〉 중 청잠(聽箴)에서 "사람이 가진 양심은 천성에 근본한 것인데 앎이 유혹받아 외물에 동화되면 마침내 그 바름을 잃게 된다.[人有秉彜, 本乎天性, 知誘物化, 遂亡其正.]" 구절 중 일부를 인용한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계묘) 十八日 癸卯 –소양단알(昭陽單閼)-. 밤에 비가 내림. 【昭陽單閼】。夜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갑진) (十)九日 甲辰 -알봉집서(閼逢執徐)-. 갬. 【閼逢執徐】。晴。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