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갑진) 十八日 甲辰 -알봉집서(閼逢執徐)-. 맑음. 【閼逢執徐】。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을사) 十九日 乙巳 -전몽대황락(旃蒙大荒落)-. 맑음. 【旃蒙大荒落】。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병오) 二十日 丙午 -유조돈장(柔兆敦牂)-. 흐리고 비. 【柔兆敦牂】。陰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정사) 二十八日 丁巳 -강어대황락(彊圉大荒落)-. 맑음. 바람이 불고 황사가 있었다. 【彊圉大荒落】。陽。風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기묘) 二十一日 己卯 흐림. 가랑비가 내렸다. 陰。微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계유) 十二日 癸酉 -소양작악(昭陽作噩)-. 흐리고 눈. 【昭陽作噩】。陰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3일(갑술) 十三日 甲戌 -알봉엄무(閼逢閹茂)-. 맑음. 【閼逢閹茂】。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임오) 二十二日 壬午 -현익돈장(玄黓敦牂)-. 맑음. 【玄黓敦牂】。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기사) 初八日 己巳 -도유대황락(屠維大荒落)-. 맑음. 이날은 곡일(穀日)이다. 혹자가 '곡(穀)'에 대해 묻기에 답하길, "곡이란 육부(六府) 중의 하나이다. 오곡 백곡 중에 기장이 최고이다. 옛날에 기(棄)를 농관(農官)으로 삼고 후직(后稷)이라고 불렀으며, 이어서 곡신(穀神)이 되었고, 사직(社稷)의 주가 되었다. 백성들이 하늘이라고 여긴 사(社)는 곧 토신(土神) 구룡(句龍)2)을 말한다. 《창려집(昌藜集)》3)에서 말하기를, '구룡(句龍)과 기(棄)4)가 공이 크고, 공맹(孔孟)은 덕이 크다'고 했다. 구룡은 토지신이고, 기는 곡신이다. 나라에 사직(社稷)5)이 있는 것이 이것이다."라고 했다. 【屠維大荒落】。暘。是日穀日也。 或問'穀'。 答曰。 "穀者六府之一也。五穀百穀稷爲長。昔棄爲農官。 號后稷。 因爲穀神。 爲社稷之主。民以爲天者社。 卽土神句龍也。"《昌藜集》云。 "句龍棄以功。 孔孟以德。句龍土神。 棄穀神。國有社稷。 是也。" 구룡(句龍) 토지신을 말한다. 공공씨(共工氏)의 아들 구룡이 수토(水土)를 평정하였는데, 후세에 그를 후토(后土)의 신(神)으로 제사 지냈으니, 곧 사직(社稷)에서 사(社)에 해당한다.(《춘추(春秋)》 〈좌씨전(左氏傳)〉 소공(昭公) 29年) 창려집(昌黎集) 당(唐) 문인 한유(韓愈)의 문집이다. 기(棄) 곡신을 말한다. 기(棄)는 주(周)나라 시조인 후직(后稷)으로, 제곡(帝嚳)의 아들이다. 요(堯) 임금 때 농정(農政)을 담당하는 관리였다. 뒤에 곡식을 주관하는 신이 되었으니, 곧 사직(社稷)에서 직(稷)에 해당한다.(《춘추(春秋)》 〈좌씨전(左氏傳)〉 소공(昭公) 29年) 사직(社稷) 사(社)는 토지의 신 또는 토지의 신에게 제사 지내는 곳을 이르며, 직(稷)은 오곡의 신 또는 오곡의 신에게 제사 지내는 곳을 이른다. 국토(國土)와 곡식이 없이는 백성이 살 수 없으므로 옛날부터 중국의 천자(天子)나 기타 제후(諸侯)가 나라를 세우면 사직단(社稷壇)을 세워 국가와 백성을 위해 복을 비는 제사를 지냈는데, 천자의 사직을 태사(太社)ㆍ태직(太稷)이라 하고 제후의 사직을 국사(國社)ㆍ국직(國稷)이라 했다. 우리나라는 신라(新羅) 선덕왕(宣德王) 4년(783)에 처음으로 사직단을 세웠으며, 그 뒤 고려(高麗)는 성종(成宗) 10년(991)에, 조선(朝鮮)은 태조(太祖) 3년(1394)에 각각 사직단을 세워 제사를 지냈다. 그 뒤 광무(光武) 1년(1897)에 대한제국(大韓帝國)의 탄생과 함께 사직도 승격되어 태사ㆍ태직이라 칭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경오) 初九日 庚午 -상장돈장(上章敦牂)-. 맑음. 손녀딸이 왔다. 【上章敦牂】。陽。孫女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경진) 二十日 庚辰 -상장집서(上章執徐)-. 맑음. 【上章執徐】。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신사) 二十一日 辛巳 -중광대황락(重光大荒落)-. 맑음. 【重光大荒落】。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기유) 十九日 己酉 -도유작악(屠維作噩)-. 흐림. 【屠維作噩】。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신해) 二十一日 辛亥 -중광대연헌(重光大淵獻)-. 흐림. 【重光大淵獻】。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임자) 二十二日 壬子 -현익곤돈(玄黓困敦)-. 갬. 기쁘게도 손자며느리가 아들을 낳았다는 소식을 들었다. 이름을 출중(出中)이라 지었다. 【玄黓困敦】。晴。喜聞孫婦生男。 名出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무술) 九日 戊戌 흐림. 동짓날이다. 陰。冬至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기해) 十日 己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경자) 十一日 庚子 흐리고 눈. 陰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신축) 十二日 辛丑 눈. 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임자) 二十四日 壬子 맑음. 陽。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