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기축) 二十二日 己丑 맑음. 광록(光祿)의 시에 차운해서 주다.배움은 원래 도를 듣는 것부터이니,(爲學元來以道聞)일본(一本)이 만수(萬殊)53)로 나뉨을 점차 알게 되네.(稍知一本萬殊分)하늘의 마음은 일양이 회복된 데서 엿볼 수 있고,(天心闖見初陽復)사물의 이치는 여름날이 찌는 데서 뚜렷이 드러나네.(物理著明夏日薰)즐거움은 고운 산과 아름다운 물에 있고,(樂在佳山兼麗水)생각은 내리는 비와 떠가는 구름에 깊어지네.54)(思深施雨與行雲)남아의 사업은 황중55)이라야 길하니,(男兒事業黃中吉)덕을 길러56) 언제나 임금을 도울까나.(育德何年補袞紋) 陽。示光祿韻。爲學元來以道聞。稍知一本萬殊分.天心闖見初陽復。物理著明夏日薰.樂在佳山兼麗水。思深施雨與行雲.男兒事業黃中吉。育德何年補袞紋. 일본(一本)이 만수(萬殊) 일본만수(一本萬殊)는 곧 '하나의 근본에서 만 가지 다른 것이 생겨난다.'는 의미이다. ≪주자어류(朱子語類)≫에서 충서(忠恕)를 논할 때, "만수가 한 근본이 되는 것과 한 근본이 만 가지로 다르게 되는 것이 마치 한 근원의 물이 흘러 나가서 만 갈래의 지류가 되고, 한 뿌리의 나무가 나서 허다한 지엽이 나오게 되는 것과 같다.[萬殊之所以一本, 一本之所以萬殊, 如一源之水流出爲萬派, 一根之木生爲許多枝葉.]"고 한 데서 비롯된 말이다. 내리는 …… 깊어지네 ≪주역≫ 〈건괘(乾卦)〉 단사(彖辭)에 "구름이 행하고 비가 내리자 만물이 각각 자기 모습을 갖추고 활동하기 시작한다.[雲行雨施, 品物流形.]"라는 말에서 비롯된 것이다. 황중(黃中) 아름다운 덕을 뜻한다. ≪주역≫ 〈곤괘(坤卦)·문언(文言)〉에 이르기를 "군자는 아름다움이 중심에 있어 이치를 통한다.[君子黃中通理]"라고 하였다. 덕을 길러[育德] ≪주역≫ 〈몽괘(蒙卦)·상(象)〉에 "산 아래에서 샘이 나오는 것이 몽이니, 군자가 살펴보고서 과감하게 행하고 덕을 기른다.[山下出泉, 蒙, 君子以果行育德.]"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경인) 二十三日 庚寅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신유) 二十一日 辛酉 맑음. ≪도산급문제현록(陶山及門諸賢錄)≫을 보았다.정구(鄭逑)의 자는 도가(道可)이고, 호는 한강(寒崗)이며, 성주(星州)에 살았다. 가정 계묘년(1543)에 태어났는데, 태어날 때부터 기질이 남다르고 영특함이 뛰어났다. 13세에 오덕계(吳德溪)87)에게 집지(執贄)88)하고, ≪주역≫의 건곤(乾坤) 두 괘를 배워 유추하여 통달하였는데, 일찍이 익혀온 것과 다름이 없었다. 또 조남명(曺南冥, 조식)과 성대곡(成大谷, 성운)89)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일찍이 향시에 뽑혔으나 회시(會試)에는 응하지 않았으며, 마침내 과거공부를 그만두고 옛 성현(聖賢)과 같이 되기를 기약하였다.계해(1563)년 퇴계(退溪)에서 선생을 뵙고, 이어서 ≪심경(心經)≫에 대해 질문하자 선생께서 그 영명한 재주를 매우 칭찬하셨다. 만력 초(1573년)에 학행으로 추천되어 조정의 부름을 여러 번 받아 비로소 이르렀다. 선조께서 "그대의 스승 이황과 조식, 두 사람의 기상과 학문은 어떠한가?"하고 물으니, 대답하여 말하기를 "이황은 덕과 기량이 혼후(渾厚)하고 공부가 순숙(純熟, 완전히 익음)합니다. 조식은 재기가 호매(豪邁)하고, 흔들림 없이 자기 길을 갑니다[特立獨行].90)"라고 하였다. 또 묻기를 "대학 공부중 어떤 것이 가장 중요한가?"라고 하시자, 대답하여 말하길, "삼강령(三綱領)과 팔조목(八條目)은 수기치인(修己治人)하는 방도가 아님이 없지만, 선유(先儒)들이 말하길 '천덕과 왕도에서 그 요체는 다만 근독에 있을 뿐이다.[天德王道, 其要只居謹獨]91)'라고 하였으니, 제왕의 학문도 또한 근독에 있습니다."라고 하였다.또 묻기를 "정전(程傳)과 본의(本義) 가운데 어느 쪽을 우선으로 해야 하는가?"라고 하시니, 대답하기를 "역(易)의 도(道)는 소장영허(消長盈虛)의 이치와 진퇴어묵(進退語默)의 기미를 밝게 알아 시중(時中)을 잃지 않는 것이고, 점치는 것은 역의 말(末)이니 정전을 우선으로 해야 합니다."라고 했다. 陽。 看 ≪陶山諸賢及門錄≫。鄭逑。 字道可。 號寒崗。 居星州。嘉靖癸卯。 生有異質。 英睿秀茇。十三執贄於吳德溪。 受易乾坤二卦。 以類而通。 無異夙慣。又問業於曺南冥・成大谷之門。嘗選鄕解。 不赴會試。遂棄科業。 以古聖賢自期。癸亥謁先生於退溪。 仍質 ≪心徑≫。 先生極稱其英材。萬曆初薦學行。 累召始至。 宣廟問 "爾師李滉・曹植。 二人氣象學問何如?" 對曰。 "李滉德器渾厚。 工夫純熟。 曹植才氣豪邁。 特立獨行。" 又問 "大學工夫。 何者最要?" 對曰。 "三綱八條。 無非修己治人之方。 而先儒言。 '天德王道。 其要只居謹獨'。 帝王之學。 亦在謹獨。" 又問 "程傳本義。 何先?" 對曰。 "易之道。 明消長盈虛之理。 進退語默之機。 不失乎時中也。 占候。 易之末也。 程傳宜先。" 오덕계(吳德溪) 오건(吳楗, 1521~1574)을 가르킨다. 자는 자강(子强), 호는 덕계(德溪), 본관은 함양(咸陽)이다. 31세 때 남명 조식(曺植)의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였고 이후 퇴계 이황(李滉)의 문하에서도 학문을 수학하였다. 1552년(명종 7) 진사를 거쳐 1558년 식년문과에 급제, 1567년 정언(正言)을 거쳐 1571년(선조 4) 이조좌랑(吏曹佐郞)으로 춘추관기사관을 겸하고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듬해 사직하고 고향에 내려가 독서와 집필로 여생을 보냈다. 하지만 그가 사직한 이조정랑 후임자를 두고 김효원과 심의겸이 대립하여 동서 분당의 계기가 되었고 이후 조선 정치사를 뒤흔든 300년 당쟁이 시작되었다. 오건의 학문은 궁리거경(窮理居敬)을 중시하였다. 그의 학문은 퇴계 이황의 이기철학(理氣哲學)과 남명 조식의 경의철학(敬義哲學)을 융합한 것으로 평가된다. 저서에 ≪덕계문집≫, ≪정묘일기(丁卯日記)≫가 있다. 산청(山淸)의 서계서원(西溪書院)에 배향되었다. 집지(執贄) 제자가 스승을 처음으로 뵐 때 예폐(禮幣)를 가지고 가서 경의를 나타내는 것을 이른다. 성대곡(成大谷) 성운(成運, 1497~1579)으로, 대곡은 그의 호이다. 자는 건숙(健叔), 본관은 창녕(昌寧)이다. 을사사화 때 중형(仲兄) 우(遇)가 화를 당하자 속리산(俗離山)에 은거하였다. 여러 차례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출사하지 않았으며, 이지함(李之菡)・서경덕(徐敬德)・조식(曺植) 등 명현들과 더불어 교유하면서 학문에 정진하였다. 저서로는 ≪대곡집(大谷集)≫이 있다. 우뚝 …… 행합니다[特立獨行] ≪예기≫ 〈유행(儒行)〉에서 온 말로, 뜻과 행실이 고결하여 시류(時流)에 휩싸이지 않는다는 뜻이다. 천덕(天德)과 …… 뿐이다 ≪심경부주(心經附註)≫ 〈서문〉에 나온다. 근독(謹獨)은 신독(愼獨)과 같은 말이다. ≪중용장구≫ 제1장의 "숨겨진 것보다 더 나타나는 것이 없고, 미세한 것보다 더 드러나는 것이 없다. 그러므로 군자는 혼자 있을 때를 삼가는 것이다.[莫見乎隱, 莫顯乎微, 故君子, 愼其獨也.]"라는 말에서 나온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0일(갑신) 三十日 甲申 -알봉군탄(閼逢涒灘)-. 맑음. 【閼逢涒灘】。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월 三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일(을유) 初一日 乙酉 -전몽작악(旃蒙作噩)-. 맑음. 이날은 죽은 아내의 기일이라서 애통한 마음을 그만 둘 수 없다. 【旃蒙作噩】。陽。是日亡室忌日也。 悲悼不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정해) 初三日 丁亥 -강어대연헌(彊圉大淵獻)-. 갬. 【彊圉大淵獻】。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무신) 二十六日 戊申 -저옹군탄(著雍涒灘)-. 맑음. 【著雍涒灘】。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7일(기유) 二十七日 己酉 -도유작악(屠維作噩)-. 맑음. 【屠維作噩】。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경술) 二十八日 庚戌 -상장엄무(上章閹茂)-. 맑음. 【上章閹茂】。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9일(신해) 二十九日 辛亥 -중광대연헌(重光大淵獻)-. 맑음. 【重光大淵獻】。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갑인) 五日 甲寅 -알봉섭제(閼逢攝提)-. 맑음. 【閼逢攝提】。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정사) 七日 丁巳 -강어대황락(强圉大荒落)-. 맑음. 【强圉大荒落】。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무오) 八日 戊午 -저옹돈장(著雍敦牂)-. 맑음. 【著雍敦牂】。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기미) 九日 己未 -도유협흡(屠維協洽)-. 맑음. 【屠維協洽】。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임오) 二十三日 壬午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월 三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월 四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갑자) 初八日 甲子 일전에 선산(先山)을 측량했는데, 측량원의 거주지와 성명을 알지 못했다. 그래서 〈지명〉매곡(梅谷)〈/지명〉의 〈인명〉김만택(金萬澤)〈/인명〉 사랑(舍廊)을 방문했다.〈측량원인 고〈지명〉탐라 제주도 제주면 화북리〈/지명〉 〈인명〉양치호〈/인명〉에게 주다〉선조 위한 한 길로 〈지명〉매곡〈/지명〉에 임하니,(爲先一路臨〈지명〉梅谷〈/지명〉)〈인명〉양씨〈/인명〉의 어진 마음이 등한히 여기지 않았네.(〈인명〉梁氏〈/인명〉仁心不等閒)공공한 도리가 지적도에 나타나니,(公公道理著於畵)경계가 분명한 태고의 산일세.(經界分明太古山)〈〈지명〉경상도 선산 옥성면 옥관동〈/지명〉의 〈지명〉밀양〈/지명〉후인 〈인명〉박용진〈/인명〉의 시에 화답하다〉남아가 하필 깊고 궁벽진 곳에 거주하랴만,(男兒何必居幽僻)천명이니 달게 받아 스스로 한가하다네.(天乎命也自爲閒)산림의 도의는 예나 지금 마찬가지니,(山林道義同今古)하나의 경륜도 없이 이 산에 은거한다네.(無一經綸隱此山)그윽한 길을 통하여 가다 서암을 만났더니,(深通幽徑遇棲岩)말 없이 시만 주니 마음이 한가하지 않네.(無語贈詩心不閒)세간의 선비 중에도 청백함이 있으니,(世間儒雅在淸白)훗날에야 공정하게 그었음을 자세히 알리라.(後日詳知公畵山)〈〈인명〉양치호〈/인명〉가 차운하여 짓다〉어찌하여 반드시 은둔을 깊은 벽지에 하랴,(何須避地深於僻)호를 서암이라 하니 은거한 뜻 한가롭다.(號曰棲岩意棲閒)엄자릉 선생의 이름도 은자의 명부에 있으니,(嚴子先生名在隱)지금까지도 푸르름이 〈지명〉부춘산〈/지명〉에 남았네.(至今餘翠〈지명〉富春山〈/지명〉)〈〈인명〉박용진〈/인명〉이 준 시〉 日前。 測量先山。 未知測量員之居住姓名。 故訪問〈지명〉梅谷〈/지명〉〈인명〉金萬澤〈/인명〉舍廊。贈測量員古〈지명〉耽羅濟州島濟州面禾北里〈/지명〉〈인명〉梁致祜〈/인명〉爲先一路臨〈지명〉梅谷〈/지명〉。〈인명〉梁氏〈/인명〉仁心不等閒.公公道理著於畵。經界分明太古山.和〈지명〉慶尙道善山玉城面玉冠洞〈/지명〉 〈지명〉密陽〈/지명〉后人〈인명〉朴鏞振〈/인명〉韻男兒何必居幽僻。天乎命也自爲閒.山林道義同今古。無一經綸隱此山.深通幽徑遇棲岩。無語贈詩心不閒.世間儒雅在淸白。後日詳知公畵山.〈인명〉梁致祜〈/인명〉次何須避地深於僻。號曰棲岩意棲閒.嚴子先生名在隱。至今餘翠〈지명〉富春山〈/지명〉.〈인명〉朴鏞振〈/인명〉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월 五月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