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을묘) 二十六日 乙卯 흐림. 눈이 산천에 많이 내렸는데, 오랫동안 녹지 않은 것은 전에는 없던 일이다. 陰。雪饕山河。 久而不消者。 前未所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갑자) 六日 甲子 가랑비가 내림. 微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을축) 七日 乙丑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정축) 十一日 丁丑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무인) 十二日 戊寅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임신) 五日 壬申 갬. 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4일(계축) 十四日 癸丑 맑고 바람 붐. 陽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갑인) 十五日 甲寅 흐림. 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일(을묘) 十六日 乙卯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병진) 十七日 丙辰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기미) 二十一日 己未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경신) 二十二日 庚申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신유) 二十三日 辛酉 흐리고 비. 陰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임술) 二十四日 壬戌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신미) 四日 辛未 흐리다 저녁에 비가 옴. 陰。 夕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갑오) 二十四日 甲午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을묘) 八日 乙巳 갬. 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병오) 九日 丙午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정미) 十日 丁未 맑음. 포은(圃隱) 선생 〈단심가(丹心歌)〉를 기록한다.이런들 어떠하며,(如此면如何)저런들 어떠하리? (如彼면如何오)죽고 죽어 만 번 죽어도,(死了死了萬死了)일백 번 고쳐 죽어도,(一百番更死了)군주 향한 일편단심,(向主一片丹心)어찌 변할 수 있으랴.(豈可更改了아)〈미능재 상량문(未能齋上樑文)〉 몇 구절을 기록한다. "인산지수(仁山智水)28)는 백대를 전하는 심법이 깃든 곳이요, 제월청풍(霽月淸風)29)은 천년의 진면목이 서려 있는 곳이네. 형형(瑩瑩)한 흉금은 진실로 빙호수경(氷壺水鏡)30)이라고 할 수 있고, 온온(溫溫)한 기상은 곧 화풍경운(和風慶雲)31)과 같다네."라고 하였다.또 〈주렴계가 왕개보[왕안석]를 세 번 사양 한 것에 대해 논함[周濂溪三辭王介甫論]〉 가운데 몇 구절을 기록한다. "학자의 병통은 집요(執拗)보다 큰 것이 없고 학자의 근심은 스스로 어질다고 생각하는 것보다 큰 것이 없는데, 개보는 본래 자기를 비우고 선한 것을 받아들이는 실재가 없어서 성현의 도에 함께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주렴계가 그를 사양한다고 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陽。記圃隱先生〈丹心歌〉。如此면如何。如彼면如何오.死了死了萬死了。一百番更死了。向主一片丹心。豈可更改了아.記〈未能齋上樑文〉數句。"仁山智水。 寓百世之傳心。 霽月淸風。 宛千載之眞面。 瑩瑩襟懷。 眞可謂氷壺水鏡。 溫溫氣像。 卽之若和風慶雲。" 又記 〈周濂溪三辭王介甫論〉中數句。"學者之病。 莫大乎執拗。 學者之患。 莫大乎自賢。 而介甫有之本無虛己受善之實。 而不可與入聖賢之道。 故濂溪辭之云。" 인산지수(仁山智水) ≪논어≫ 〈옹야(雍也)〉에 "인자(仁者)는 산을 좋아하고 지자(知者)는 물을 좋아한다.[仁者樂山, 知者樂水.]"라는 공자의 말이 나온다. 제월청풍(霽月淸風) 제월(霽月)은 광풍제월(光風霽月)에서 온 말로 광풍제월은 '맑게 갠 하늘의 밝은 달과 맑고 시원한 바람'이라는 뜻으로, 흉금이 툭 터지고 인품이 고아(高雅)한 것을 가리킨다. 청풍(淸風)은 ≪시경(詩經)≫ 〈대아(大雅)·증민(烝民)〉에 "길보가 노래를 지으니, 화기롭기가 만물을 길러 주는 맑은 바람과 같다.[吉甫作誦, 穆如淸風.]"라는 구절에서 나온 것이다. 빙호수경(氷壺水鏡) 빙호(氷壺)는 얼음 같은 물병, 즉 추월빙호(秋月氷壺)를 가리키고, 수경(水鏡)은 물 같은 거울, 즉 지수명경(止水明鏡)을 가리킨다. 마음가짐과 행동이 고결한 것을 뜻하는 말이다. 화풍경운(和風慶雲) ≪근사록(近思錄)≫ 관성(觀聖)에, "공자는 천지와 같고, 안자는 온화한 바람 상서로운 구름과 같으며, 맹자는 태산에 바위가 중첩하듯 우뚝한 기상이다.[仲尼天地也, 顔子和風慶雲也, 孟子泰山巖巖之氣象也.]"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기미) 二十二日 己未 맑음. 陽。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