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路博多隅【自白峴五里】 孔路行人少寥寥晝掩門擧家揷秧去計活似郊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三魚石 桂陰庭畔講玄談往事然疑石一潭忽被東風吹細雨分明見得白魚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華嚴臺 迎風移步石稜尖老檜纖疎似下簾說法和像難再遇空留古跡曰華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桂樹 白雲浮動月中香細葉長條鬱鬱蒼料得諸天花雨界四時滋養一春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馬嘴峴【與黑川相接】 叢林削石百層巓其下長川匯作淵牧笛依依方外客烟村漠漠洞中天今年緣業游船沼往日行裝憶瓮遷若使龍眠移畵幅也應高價直千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堂舞雩【自馬嘴峴五里】 四月炎塵裏淸寒一兩家嶺腰窮計活短短耳麰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白峴【與堂舞雩相接】 亭堠何修夐道塗又碻磝堪憐一茅店孤寓似鸎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錦繡峯 百井之上峯也千仞滑壁阧削無路抱崖攀灌匍匐以登左右遐眺尤更快活重重巖巒狀乃萬狀乃萬物草後障云巖路或如壁門石矼或如橋梁又多石泉或圓或方或尖或廣百井之井何其到頭不絶秋風韻士覓仙蹤更上危顚錦繡峯初謂萬軍奔隊隊卽看千佛坐重重層巖頓袪麤頑氣老樹猶存媚嫵容未到金剛眞面目七分先覺壯詩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白龍潭 在黑龍潭下而八潭外又一潭也淸流白石晶瀅可玩八曲將窮眼不窮衝波怒石踏叢叢飜看玉碎珠[王+冘]處白白飛騰又一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洗頭盆 在白龍潭瀑流中而石竇圓穿如碓乃是普德夫人洗頭盆云【普德夫人卽觀世音】其傍又有巨人跡乃法起祖師足踏處云玉女飛何去空留沐髮盆靈區如待主流水石能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金剛門【自萬瀑洞三里】 在表訓寺前卽內金剛門路也兩石對峙一石下壓其中呀然如門雖不如外金剛門之危險奇絶亦足以供一詩料也雙石上交連虛中正豁然未應經禹斧何幸漏秦鞭仄逕通三彿靈區闢八淵軒昻出門去歇惺夕陽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藥師殿 正陽卽表訓屬寺而藥師殿是正陽寺法堂也內外六稜而新構丹靑玲瓏照眼中有大石佛殿後又有大法堂西有十八羅漢殿東有僧房精明可坐吟玩浮甍矗棟碧層層一寺中央殿六稜宏麗施爲何事業空留石佛對龕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泛舟昭陽江【毛津江下流自武陵潭十里】 錦繡江山表裏參錯平原廣野漠漠無涯【卽牛頭坪】周流海山又一壯觀信可謂東都好風水嗟乎古之貊人亦能有眼目也夫但漠漠廣野不能種稻只以黍粟爲業可欠津頭有春川外倉距邑十餘里云江柳瘦疎秋色多輕舠不住疾如梭昭陽亭上歸心急一任篙人蕩槳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宋聖佐又與唱酬宋生在錫亦和 【十首】 待君未敢着鞭先坐惜流光雨後天芳草江南三宿客刺桐花下一爐烟蒼茫驢夢黃泥北怊悵鵑聲畵角前明早那堪分兩袂千金漏刻夜如年短夜留連燭以遊淸凉詩骨又溪樓烟痕淡淡鴉邊樹雨色淒淒鷺後洲牕外信音何忽到盃中宿債未全收風流不盡春歸後濃葉殘花勝似秋桐花未老故人知舊跡磨驢踏不遲饞鬼十年相對裏良媒一雨適來時薄醪頓勝淸茶椀造物應憐禿柳枝觴咏亦吾緣業在休煩後約與前期自笑華翁太不廉酒徒騷友二能兼雨邊玉韻丁楸奕風末波紋漾葦簾四月坐於山屋冷三宵離却市塵纖爲君歷數郊居趣楊柳犀溪上指尖裙屐依山斷市朝碧雲籬落聽禽謠良門携入梅前屋濁酒沽來柳外橋老去詩情痴癖在年來塵事禿頭搖傷心二載田家叟漢上明沙夢裏遙任他詩瘦暗中生天若知心故不晴澹蕩春情餘羽譜寂寥花事問梅兄醉過半世猶痴騃苦索千篇漸老成山水解音非子否一盃留贈短歌行田謠快活聽城南萬木離披雨不堪劇戲留連更漏五狂徒低仰濁盃三烏雲藏鎖溪邊社鯨浪奔喧石下潭朗月少年能起我燭前揮灑墨如嵐綠囱閒掩十秋書與子敲推竹下居蕉葉夢魂殘郭鹿荇花漚沫淺洲魚尋常坐裏盃逋厚半百年來世業疎所賴溪天能雨雨騷人信宿興猶餘溪風洗却熱雲蒸蘊藉詩樓復一層歸臥園田灰念冷坐看山水鏡眸澄相逢濁酒狂如俠不厭香蔬淡若僧珍重奚囊禿驢背恐君前路未堪登濕雲不歛半山靑收拾詩魂步出庭帶犢黃牛歸僻巷背人白鷺下空汀淸風一局朋棊散落日三聲牧笛聽盃炙十年京國客幾時泥醉幾時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登昭陽亭 亭在山腰下臨長江飛甍矗棟縹渺如畵楣上題江山第一亭憑危檻聽江聲飄然有雲外想北望牛頭之野漠漠蒼蒼詩家眼目更覺一層快活所過樓臺之勝殆無過於此者淸陰先生評品儘是着題壁上又多昔賢題咏〇梅月堂詩曰鳥外【缺】將盡吟邊恨不休山【缺】從北轉江自向西流【缺】下沙汀遠舟迴古岸留何時抛世綱乘興此重游〇白洲詩曰扁舟笳鼔下昭陽按使歸裝錦一囊借問水邊觀我者古來曾有此猖狂〇退漁詩曰昭陽江水抱高樓十月樓讀客子游百里郊原臨故國千家山郭背雄州搜羅景物三杯酒滌蕩興亡萬古愁更喜泉甘兼土美移家擬卜瀼西頭〇次楣上韻秋江停棹上危樓借得行人半日游從古沃饒稱貊國至今佳麗在春州平分大野千牛健倦過遙山百鳥愁謝眺不來謫仙去空欄怊悵坐搔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驀花遷【俗音別隅自水抱嶺十里】 屈折石路坐小輿望江上村甍宇如水榭茅簷如篷囱泛泛更奇晴沙明似練寒水碧於藍澁路逢危磴輕輿遞倦驂古松老屋紅葉慰幽巖小卒如山釋迴翔作指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度武陵潭【自花遷十里】 大野茫茫長江滾滾參差林木間無數村店似江村如野屋夾道森羅不徒有繁華物態更兼得幽闃意想赤葉黃花晩色秋百家如畵近江浮迎門駟盖臨長道隔港魚鹽泊小舟老柳光陰堤十里黃梁課業野千疇貊人古國今何在往事傷心易白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約石下蘭皐楓山駝隱景玉海枕入墨溪登老人亭學少年樓五松楹鯈魚閣【以上皆豊恩府浣君趙萬永之亭閣】唱酬 路幽扶策訪溪南小閣如航受兩三老石苔痕留古墨凄風葉意帶微酣行吟明月空秋緖坐愛靑山易夕嵐眞景不須來問主斷雲歸鳥剩淸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璿源殿棠棃 無數棠梨子秋風箇箇珠持來祈茀籙淸頌自伊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朝起 【二首】 春雨晴仍好葱葱見薄雲須臾風掃去爽朗復朝昕綠囱春睡晩百鳥報繁華忽見靑山郭分明杜宇花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