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賀德夫筮仕【孝陵參奉】 熙朝一命官不足爲君賀斗米與東薪勝於寒且餓尙恐求溫飽大志漸歸情齋宇若山房埋頭可工課踵門 多少客未必禱如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朝發廣亭 露纈烟凝嫩草臯宿禽飛動耒全高芒鞋學士閒收拾詩氣猶餘舊日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弓院道上 雌雄雉啄宿烟郊子母鳥啼古木梢愁雨愁風山水屐堂堂幾日到溪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德坪路中 【二首】 圓尖如笠屋落落水舂聲纔到湖山裏村居已有情煖日荒茆屋呢喃乳鷰聲忽傳江國信禽鳥亦多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登車嶺 一路穿山深復深斷雲流水杳然心不如歸鳥何情緖點綴空岡錦繡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代人輓鄭進士鴻耆 公歸有何恨純祜獨能兼白首調琴瑟靑春擧孝廉肖容珠樹菀稀齒海籌添怊悵故人酒山花雨淚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雪消風宿野庄深煖煦遲遲上竹林穉子跳奔書頓忘良朋剝啄酒相尋寒梅欲覺先天夢幽鳥能爲舊日音倦起梳頭仍拂袂老年形殼少年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通家平昔誼執紼意如何黯淡花風曉凄酸薤露歌靑衫豪放老丹旐寂寥阿舊蔭終無艾參差玉樹多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人間最難事壽富與多男此老能兼得又添司馬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輓曺錫胤 【代家兄作】 孝友于于樂一生君家餘事是金籝高堂白髮將何慰不沒人間膾炙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李醫樂獻 僊李枝瑞玉葉春江南竹樹卜爲隣第君丹訣傳來乎華子靑囊現在身宰相勳名違半世佛家緣業活千人而今莫恨東風冷固植將看蓓蕾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代人輓曺老人 白髮東溪里怡愉老太平爲家何所樂與世不相爭荊屋聽仙瑟蘭陔醉壽觥孫桐方茂葉留俟鳳朝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訪來蘇寺 蓬萊仙子有情緣十日裴回別洞天采石月明應後夜來蘇古寺又參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鵲堂峙 雪色風聲馬首環一重滄海一重山行人管領知何事落木窮簷去復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宿宗谷 【主人尹氏名致堯】 陰陰松下白茅村剝啄寒牕月易昏年少主人何姓氏海平之尹草溪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別邊山 層峰捍海雪重重無數低昻渴飮龍背上群仙應笑我半途回轍攝塵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午憩珍富驛【自淸心臺十五里】 山開野濶閭井成樣以大川爲襟帶漠漠水田禾稻秋色差强人意向者所過諸郵不知落下幾層莽蒼平郊十里餘背山臨水驛人居離離爛熟黃雲稻珍富爲名信不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月精洞口口占【自珍富三十里】 昔自髫齔飽聞五臺之名夕陽馬頭忽望山色厚重魁偉有似乎正人君子之容貌頓覺鄙吝之不萠于心洞門穹邃老檜古松紆鬱參天白石淸流悅人耳目雖未見金剛此山亦足爲伯仲也歟山下有一刹名月精洞門平仄馬蹏驕老檜枯松矗九霄山外有山雲寂寂客中爲客路迢迢琳宮跌宕浮冠盖石壁轟騰動皷簫却望五臺峰突兀不虛前夜讀逍遙○十五日癸巳晴○朝【三陟支應】別三陟宰晩發月精十里淸凉館中火仍宿所【自中火以後皆江陵支應江陵倅自史庫先歸本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發月精訪史庫 山行十里淸溪白石如練綃如碎玉如虹之亘如雪之噴者不知爲幾百折遍山丹楓燁爛濃郁如掛錦繡屛幛懸崖夾路都是童童木賊短短叢竹使人經過宛在波斯胡市肆中窮日採奇尙有所未暇焉淸溪白石暎林間草履行尋轉覺閒未到蓬萊三百里先看楓葉五臺山中秋壯觀能如意下界浮生足解顏定是一年今夜月逢迎與我最相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種瓠者說 僑舍主人於庭之南種數三甘瓠生値極備蔓節萎弱裊裊着地其長僅可數三寸稍長者亦不過一尺許是時也且近夏秋之交主人悶其不長而 欲揠去客從傍止之曰瓠之形雖似蚯蚓性旣全體幹猶堅留待暑溽之退以觀究竟何狀秋節縱云不遐露結之候尙殿數朔不可以今日所覩忽而易之也天時有雨暘之相分物性有遲速之不齊今日之極備安知無後日淸爽今日之萎弱不繁者亦安知無他日之蔓莚成就者乎差過十數日可驗客言不誣主人耐到幾朝澇溜不收瓠之長侏儒如昔主人之猛然欲揠者三四客之隨而堅執者亦稱是仍復固其封植刜其傍草把薪牽茅以爲攀援之資主人哂其愚而憐懇任其所爲置之相忘之域矣俄而雨收天晴土氣剛潤漸看一日二日瓠之長每加一二層節未滿旬朔蔓蔓葉葉蔥鬱成林覆墻跨屋有若蒼龍鱗甲現在雲漢花開結子大者如轆轤其次或如盂如盃如顱如拳小大各成其器數三本之所結顆將不記爲幾箇饅頭主人於是怡然曰異哉客也殷七七之花法郭橐駝之樹譜何加於此吾於今不復憂器不贍矣大可以浙米豆小可以挹酒漿客冷然而笑曰子但知瓠之爲器不知人之爲器夫瓠微植也猶且全其性固其封而借與攀援之物則萎弱難持者竟乃蔥藯成實能成其器况有人於斯得天地之全性中 抱無形之器而之器也用之邑則可以爲牛刀用之廟則可以爲瑚璉登於筵席可以啓沃處於喉舌可以出納然而抱藏圭竇待賈固窮譬若潦中之植苦俟天晴誠得栽培汲綆之助則其所成器奚但浙米豆挹酒漿而止哉主人掩口而對曰聽子之言似是有器底人而以言攷行但工於匏之爲器而不能工於自己之爲器也方今聖明在上賢良畢萃小大之器各適其用子若有器何難登庸而胡乃寥寥沁沁堅守窮巷費了許多時辰但索長安米價如古東方先生者乎客曰噫嘻穀所以供飮食而無農則穀不興木所以治宮室而無工則木不萃黍稌菽麥穀之貴者也惟老農相高燥下濕之地而播藝得宜杞梓梗楠木之美者也惟良工度棟闑榱桶之材而長短適中人之爲器何以異於是器在於我用在於人牛溲馬渤世所等棄者而醫和兼畜蟠木龍鍾人所不顧者而匠石先容苟以蔘朮而不見貯於醫籠櫲樟而不見收於匠肆則自惜之寶在於卉樹 不察之失歸於醫匠用與不用在彼而已在我之器固何傷焉釋之不遇袁絲則沒齒於騎署之郞官長卿不逢楊意則混身於酒壚之傭保子爲我試更覩屋上之匏懸於屋上則那箇是團團無用之物而待霜秋摘而 取之繩削爲器然後大受小受用之均宜匏是本然之器歟抑得人而乃成器耶子非匏矣安知匏之爲匏子非我矣安知無口之匏能得深厲淺揭之適時宜也耶主人無言客之友鈍翁紀其言以爲執政者寓目焉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