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魯陽院宇築瀛東此地長存尤老風旣守春秋扶國脈爰承閩洛啓群蒙一身抛置死生外叔世挽回廉恥中適有斗南明性學師生享祀自今同 後學密城朴仁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院宇巍然在海東追思尤斗兩賢風曾學師門聞大道晩居林下啓群蒙炬火孔明魯院裡大星隕落楚山中遠方士友會此地但願年年享祀同 後學密城朴昌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天挻兩賢佑我東至今猶振洛閩風愛讀心經期往聖發明道妙啓群蒙五夜炬明斯院裡巳年星落楚天中四方多士如雲集千載師生享祀同 後學密城朴彦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考亭正脈復斯東一部春秋萬古風精熟心經能聖哲淵深師弟闢群蒙慶雲喬嶽巖巖上白日靑天昭昭中方此式崇新廟日羹墻慕切孰無同 後學光山金在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黑夜支離曙色東士林先動慕賢風大書白日魯陽揭猶勝暮朝【缺】蒙韓國江山收復後檀箕日月照臨中兩翁行歷如明鏡詩稿爭投贊賀同 後學義城金光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魯陽院立古沙東追慕儒賢亦美風乾坤元理陰陽配晝夜精神日月蒙李杜文章千載後栗尤道學一心中每年香火春秋續四面衣冠會座同 後學瀛州李炳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翼然魯院在山東尤斗相傳閩洛風一時雖有大星落千載豈無深澤蒙絃誦不絶瀛城下斯道將明萬國中惟願諸儒盡誠力師生享祀年年同 後學密城朴太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紫陽正脈在吾東叔世猶存太古風曾隱林泉求古道發明心近啓群蒙一星忽隕楚山上大義孔明槿域中但願精禋永不廢諸儒歲歲誠心同 後學密城朴祥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謹次魯陽院韻 魯陽院築古城東尤老斗翁兩師風淸表當世立頑懶高節千秋警愚蒙動止如臨氷淵上俗塵不入講磨中歲歲奉行俎豆禮數鄕多士一齊同 後學延日鄭雲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正欲淸言聞이라고 쓴 遺墨 正欲淸言聞이라고 쓴 遺墨 *상태: 하단 결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滄溟精舍라고 쓴 遺墨 滄溟精舍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2課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墅山精舍라고 쓴 遺墨 墅山精舍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生臺鴉課齋餘飯이라고 쓴 遺墨 生臺鴉課齋餘飯이라고 쓴 遺墨 *상태: 오른쪽 아래 內라 적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焚栢子香讀周易라고 쓴 遺墨 焚栢子香讀周易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夾道高松招朗月이라고 쓴 遺墨 夾道高松招朗月이라고 쓴 遺墨. *상태: 오른쪽 아래 內라 적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桃花水漲銀魚上이라고 쓴 遺墨 桃花水漲銀魚上이라고 쓴 遺墨 *상태: 오른쪽 아래 內라 적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一窓花鳥王維畵라고 쓴 遺墨 一窓花鳥王維畵라고 쓴 遺墨 *상태: 오른쪽 아래 內라 적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幽趣軒堂이라고 쓴 遺墨 幽趣軒堂이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김성언【상봉】에게 답함 答金聖彦【相奉】 고질병으로 폐인이 되어 이웃 마을의 친구도 만날 수 없는데, 오직 어진 그대가 나를 버리지 않고, 시절마다 안부 편지를 계속해서 보내주시니, 지극한 마음에 매우 감사하나 우러러 인사할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귀댁의 아들 형제가 영광스럽게 찾아줬는데 그대의 편지를 전해줘서 더욱더 감사했습니다. 편지를 받고서, 일상생활에 연이어 잘 계시고, 둘째 아들의 길례(吉禮)가 잘 행해졌음을 알았습니다. 집안에서 바라는 것이 이외에 무엇이 있겠습니까? 화락한 군자를 천지신명이 돕는 것은 마땅히 이와 같아야 할 것입니다. 이 때문에 우러러 부러워하는 마음이 그지없습니다. 저는 항상 질병이 오래 계속되어 날마다 숨이 끊어질 듯하나, 형편이 그러니 어떻게 하겠습니까? 친한 벗들은 뿔뿔이 흩어져서 외로움은 형용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항상 한결같은 마음으로, 한번 그대의 거처를 찾아가 마주보고 울적한 감회를 풀기를 간절히 바랐습니다. 그러나 다리가 마음을 따르지 못해서 아직 실행하지 못했는데, 병마【二竪子】115)가 끝내 관용을 베풀어줄지 모르겠습니다. 貞疾自廢。隣里知舊。猶不可得以見之。惟賢爲之不棄時節存訊。種種不置。感感至意。不知所以仰謝令郞兄弟賁然入門。袖致華函。尤極感感。因審體度連膺休謐。二郞吉禮利行。人家所望。此外何有。愷弟神相。固應如此。爲之艶仰不已。義林一病支離。日就奄奄。勢也何爲。朋知零散。踽凉難狀。而尋常一念。切欲一就仙庄。對敍積鬱之懷。而脚不從心。因仍未就。未知二竪子終有以寬恕否也。 병마【二竪子】 《春秋左傳》 成公 10년 조에, 진(晉)나라 경공(景公)의 꿈에 질병이 두 명의 어린 아이로 변해 고황(膏肓) 사이로 숨어들었다는 고사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민자경(閔子敬)에게 답함 答閔子敬 지척 사이에서 서로 바라보며 대답을 주고받다가 홀연히 떨어져 지낸 지 지금 몇 달이 지났습니다. 영태(泳台) 편으로 매번 편지를 써서 안부를 묻고자 하였으나 문득 쓸데없는 일에 희롱을 당하여 붓을 잡고 놀리려 하다가 도로 그만둔 적이 많았습니다. 이곳의 여러 벗들은 근래에 가뭄이 와서 대부분 돌아갔습니다. 오직 여주(汝周 홍기창(洪起昌))를 비롯한 여러 사람들을 날마다 마주하고 있을 뿐입니다. 췌학산인(萃鶴山人)은 몸에 병이 들어서 대원산(大元山)에 들어가 약을 먹고 있다가 근래에는 집에 근심이 생겨 내려왔다고 하는데, 근래의 소식은 어떠한지 모르겠습니다만 모름지기 절실히 염려됩니다. 옛날에는 삼년상 중에 제사를 행하는 뜻이 없습니다. 중고(中古) 이래로 시의를 참작하여 장사지내기 전에는 옛날의 예전대로 제사를 폐지하고, 장사지낸 후에는 근친(近親)으로서 복(服)이 가벼운 자가 대행(代行)하였습니다. 만약 복이 가벼운 자가 없다면 곧 상인(喪人)은 패랭이【蔽陽子】와 직령의(直領衣)를 입고 제사를 행하였습니다. 무릇 상중(喪中)에 지내는 제사는 단헌(單獻)에 무축(無祝)78)으로 하며 축문(祝文)의 변통 여부는 논할 바가 아닙니다. 咫尺相望。唯諾可通。而居然阻隔。今幾月矣。泳台便。每欲修書相問。而輒爲冗撓所戲。把筆而還停者多矣。此中諸友近爲旱故所拘。多歸去。惟與汝周諸人。逐日相對耳。華鶴山人以身恙。入大元山服藥。近以家憂下來云。未知近日消息何如。須切關慮。古者三年喪中。無行祭之義。中古以來。裁酌時宜。葬前依古廢祭。葬後以近親服輕者。代行若無輊服者。則喪人以蔽陽子直領衣。行之。凡喪中之祭。單獻無祝。祝文變通與否。非所論也。 단헌(單獻)에 무축(無祝) 술잔을 한 번만 올리고 축문을 읽지 않는 것을 말한다. 거상(居喪) 중에는 4대조까지의 기제(忌祭)나 묘제(墓祭)를 지낼 때 복이 가벼운 자에게 제사를 올리게 하되 단헌무축의 예를 쓴다.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