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隱居勉志 百歲經營一未成。安居陋巷樂躬耕。志仁守死應非死。忘義圖生豈是生。洗垢難如永玉潔。開心當似日天晴。可憐林下諸君子。何但要求隱逸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獨坐 淡洦高人水上家。滿園藥草滿庭花。短椽已許新巢燕。遠樹便宜暮宿鴉。不識吾身心性僻。只愁此世路岐斜。蒼松綠竹相交裏。自笑山翁生有涯。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碧山古意 夾磎綠髮長莓苔。覆戶淸陰養竹梅。斷念塵寰無事鬧。致精黃卷有心開。樽前風月那吟盡。屋裏溪山自樂來。煙雨濛濛天地暗。誰明斯道太陽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閒中偶吟三絶 樂意尋常與物同。幾年杖屨住斯峯。鵲愁風打棲深樹。鳶任天機上碧空。萬事春秋開落裏。一生日月去來中。簞瓢於分堪爲足。此志那能與世通。夕煙纏樹洞門昏。避暑臨溪坐石根。修竹數間君子宅。疏松三逕丈人村。抱書每欲歸雲谷。採藥何須入鹿門。慚愧吾生經濟志。花開花謝一消魂。無人訪我到雲林。亂石蒼苔一逕深。萬物齊生皆自得。四時興逸有誰禁。新燕牽風頻上下。白鷗任水遠浮沈。詩筵最怕炎威逼。携軸隨陰步碧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望明齋自題 日峯之下望明室。處士幽居何事求。滿架詩書無恙在。吾家成立在前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客吟二首 蘊藉淸談盡日遊。吾人無處不風流。才兼龐葛當扶漢。義似夷齊豈服周。時晩郊秧蒙雨揷。夏陰田麥待陽收。西湖放鶴誰爲客。君復慇懃棹小舟。爲思張翰去江東。海闊天長一雁同。富貴如今皆分外。貧寒到此豈勞中。止其止處邱隅鳥。鳴必鳴時秋壁虫。市隱巖棲多不遇。人間埋沒幾英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梧岡歸家二首 山人猶戴古人冠。不染世華倚竹欄。儂臥三層弘景閣。君歸七里子陵灘。別時忘却逢時喜。憤處當思忍處難。儉歲旅遊良亦苦。頻頻來去自平安。樹匝山環洞口壺。碧藤黃葛復縈紆。耳醒蕭瑟聽寒竹。氣得光明對月梧。南北來歸君是雁。江湖出沒我同鳧。離亭落日相分後。此地無人更與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庚戌合邦後。聞節死士甚多。感吟。 獲禽詭遇笑夷吾。覇術至今似此無。亂日常多治日少。求賢不易用賢圖。遠巡節死君恩重。曹馬凌欺國勢孤。醉後狂歌歌後哭。只將漢表付傾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暮歸 日暮歸來道亦窮。塵寰一落事悤悤。九皐誰是聲聞鶴。遙海時看色擧鴻。窓近碧梧常霽月。庭宜孤竹任淸風。隔墻最喜春猶在。數朶榴花雨後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講誦後。携酒暢吟。二絶。 讀書餘暇飽淸遊。白日程程水若流。從此分陰當可惜。爲兒抱卷更登樓。行行閭里好風流。藜杖相從白首遊。爲向講筵增一語。曾年學海泛虛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諸子農雨韻 甘雨終朝又順風。均添乳養沛然通。神工已頌三農足。上瑞爭歌四野同。折草山兒歸峽裏。催秧巷老走田中。年年點撿生民苦。萬事無如樂歲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宋祭酒【甲辰】 東鑑綱目聞已整頓。朱子於此書。何等備悉。而以不書漢明帝致佛法事。謂爲闕文。今此整頓。或亦無闕文。如此處否。其餘書卒書死。可褒可貶等處。一一合公議也否。勳頃以請刪猥筆事。見斥松友。見斥南士。四面釰戟。殆難容身。蓋其顚末。前此未讀栗翁本書。常懷然疑後。求本書快悟錯解。遂乃勸刪。再三無答目。渠爲背師反卒。噫。公休改疑孟。未聞公休爲背父反卒。至如通文題名之說。以頑齒高有道。會招敢不赴耶。一宿旋退裡許。敢有知耶。題名與否又何料焉。老而不死把此。不貲之身。置時輩口吻上。生有何益陽界。反爲支離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月皐 琢磨懷端木。繪素憶子夏。言詩在孔門。想像千載下。述懷苦多緖。靡君孰解紛。太玄吾欲草。不待後子雲。點忘君撰異。楊歧我悲多。況是林木間。猶響秦靑歌。包子窺微妙。古語愈出奇。我無由也勇。何敢强不知。頭流君去路。萬古翠王峯。冥翁如復見。爲撞千石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宋海士止齋韻 止齋曾未我登臨。先見其人已斂襟。牎應月霽兼風淡。地必山高又水深。天機自保觀存性。物欲要除見養心。不向閙塵移一步。蓬門何處是高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步鄭李庵重修韻 此庵草剙昔何時。歲月從來多改移。先賢非取臨觀美。後進惟知修葺宜。山腰轉路三淸入。巖面留名萬古垂。突兀新檻依舊好。人謀天助若相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芭蕉 一條卷葉玉抽靑。知汝貞心肖汝形。昨日旣新今日又。新新疑汝學盤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冬至梅 昔人云有至前梅。今見梅花冬至開。至前至後梅何識。遇着幽陽便出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自東塢歸鷲棲 脚健難新路險新。奈余拙步自靑春。力疲苦汝笻從手。汗浹憎他衣着身。溪響却欣多別界。樹陰聊喜借芳隣。微程忽斷山如海。秪信心丹解載人。戰競豈不戒淵冰。平直難能蹈準繩。落落雖成商雒皓。惺惺猶問瑞巖僧。菜根得咬忘河鯉。木葉堪書謝剡藤。衰矣董生停夜讀。可親非乏退之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步月皐菊花韻 餐英何必味兼魚。賞蘂須當倒騎驢。風蘭可惜驚霜雁。月桂還憐有蜍。淸寒不引探花蝶。隱逸焉知籠物狙。盥露如今題菊譜。寧嫌醉墨見嘲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追步三石亭吾字韻 石非自石石之吾。造化其初生與俱。理惟不二形何問。人也多端名各呼。遂令品物爭相別。是豈天翁會所圖。一視幷稱歸混沌。我無還有有還無。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