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신축년 장지철(張志喆)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張志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축년 장지철(張志喆)이 같은 문중의 누군가에게 보낸 간찰 신축년 8월에 장지철이 같은 문중의 누군가에게 보낸 간찰이다. 상대방의 얼굴을 뵌 지도 오래되었고 서신으로 연락한지도 오래되었는데 지난번에 보낸 편지는 잘 받아보셨냐고 물었고, 자신은 집에 돌아온 뒤로 우연히 다리에 부종이 생겨 여러 날 앓았고 아직까지 다 낫지 않았다고 소식을 전하였다. 달포 전에 말씀드렸던 족보 책값에 대해 무슨 곡절인지 끝내 답변이 없어 안타깝다고 하면서 종제(從弟)인 장만원(張蔓遠)을 대신 보내니 이 사람의 말대로 하는 것이 사리에 당연하다고 당부하였다. 족보 책값을 수금하는 것에 대해 범상하게 여기지 말고 납부하여 줄 것을 요청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3년 박재빈(朴載彬)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朴載彬 康津縣監 <着押> 帖子印,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3년에 康津縣監이 幼學 朴載彬(45세)에게 발급한 準戶口. 1873년에 康津縣監이 幼學 朴載彬(45세)에게 발급한 準戶口. *父 學生 千益 祖 學生 碓俊 曾祖 學生 師正 外祖 學生 金龍郁 *주소: 古郡內面 朴東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6년 박재빈(朴載彬)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朴載彬 康津縣監 <着押> 帖子印,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6년에 康津縣監이 幼學 朴載彬(48세)에게 발급한 準戶口. 1876년에 康津縣監이 幼學 朴載彬(48세)에게 발급한 準戶口. *父 學生 千益 祖 學生 碓俊 曾祖 學生 師正 外祖 學生 金龍郁 *주소: 古郡內面 朴東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경진년 김성윤(金聲允)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金聲允 査頓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진년에 김성윤(金聲允)이 사돈댁에 일반적인 안부 인사를 하면서 보낸 간찰 경진년 7월 17일에 김성윤(金聲允)이 사돈댁에 보낸 간찰이다. 지난봄에 가르침을 받고 담론을 나누었던 추억을 상기하며 돌아온 뒤에도 항상 그리웠다고 인사하였다. 지금은 여름이 가고 가을이 시작되는데 상대의 생활은 편안하고 아드님도 편안히 어른 잘 모시며 식구들 모두 다 잘 지내는지 안부를 물었다. 자신은 살아가는 일에 골몰하느라 온갖 생각이 많고 오래 몸이 좋지 않아 걱정이지만 다행히 마을이 모두 편안하다고 하였다. 언제나 뵐 수 있을지 모르지만 평안하기를 축원한다고 하면서 마무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23년 최봉구(崔奉九) 고목(告目) 고문서-첩관통보류-고목 崔奉九 李太沃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3년 9월에 행정사 고지기 최봉구가 생원 이태옥에게 이달 22일 가을 향사에 전작으로 추천되었음을 알리는 고목 1923년 9월에 행정사(杏亭祠) 고지기 최봉구(崔奉九)가 생원 이태옥(李太沃)에게 이달 22일 가을 향사(享祀)에 전작(奠爵)으로 추천되었음을 알리는 고목이다. 강진군 작천면 신기(新基)에 사는 생원 이태옥에게 문안 인사와 함께 9월 22일에 있을 행정사 가을 정향(丁享)에 전작으로 추천되었다는 것을 아뢰는 내용이다. 가을 정향은 음력 8월 정(丁)자일에 제향하는 것으로 정제(丁祭)라고도 한다. 한 달에는 상정(上丁)·중정(中丁)·하정(下丁)이 있다. 전작은 헌관(獻官)이 올리는 술잔을 받아서 신위 앞에 드리는 일을 말한다. 행정사는 전라남도 강진군 작천면 군자리에 있는 양산김씨(梁山金氏)의 사우이다. 유항재(有恒齋) 김양(金亮, ?~1569), 절효(節孝) 김호광(金好光, 1600~1624), 행정(杏亭) 김신광(金伸光, 1608~1666)을 향사하는 곳이다. 1820년(순조 20)에 통문을 발의하여 유항재의 강도지(講道地)였던 행정동(杏亭洞)에 사우를 세워 향사하였으나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 그 뒤 설단(設壇)에 향사하다가 1960년에 향중유림(鄕中儒林)이 신실(神室)과 강당(講堂) 등을 중건하고 2008년에 동재(東齋)와 서재(西齋)를 신축하였다. 1994년 성균관 답통(答通)에 따라 도유향사(道儒享祀)로 승격되고 2004년에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8호로 지정되었으며, 2009년에는 군자서원(君子書院)으로 승격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정묘년 박원호(朴遠浩) 간찰(簡札) 2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朴遠浩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989_001 정묘년에 박원호(朴遠浩)가 옥산(玉山)에 며느리의 상을 당한 것을 위로하고, 금산 행차에 대한 기대를 표하며 김을 보내준 것에 대해 감사 인사를 하는 내용의 간찰 정묘년 12월 25일에 박원호(朴遠浩)가 옥산(玉山)에 보낸 간찰이다. 사는 곳이 멀어 오래도록 소식이 막혀 그리운 마음이 깊었는데 이번에 보내준 서찰을 받고 부랴부랴 펼쳐보니 마치 한 자리에 마주한 것만 같았다고 인사하였다. 서신을 통해 섣달이 얼마 남지 않은 요즘 상대방의 생활이 편안하고 가족 모두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어서 매우 위로가 되었지만, 며느리의 상변(喪變)을 당해서 얼마나 참담하고 어떻게 견디고 계시냐고 위로하였다. 자신은 어머니의 건강이 오늘내일 하는 상황에서 근래 발을 다치는 일이 있어 애타는 심정이라고 하였다. 금산(錦山) 어르신의 상(喪)은 실로 사문(斯文)의 불행인데, 내년 봄에 금산에 행차하신다니 매우 기뻐서 미리부터 기대하고 있다고 하였다. 인편이 바쁘다고 해서 우선 이렇게 답장을 쓴다고 하면서 내년에 많은 복을 받으시길 축원한다고 새해인사를 하였다. 보내준 해의(海衣 김)를 잘 받았다고 인사하고, 답할만한 것이 없어 대추를 조금 보내니 받아달라고 덧붙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95년 장대운(張大運)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大運 康津縣監<着押>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95년(정조19) 강진현(康津縣)에서 장대운(張大運)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발급한 준호구 1795년(정조19) 강진현에서 을묘년(1795)의 호적대장을 참고하여 발급한 장대운의 준호구이다. 고금도(古今島) 진리(鎭里)에 거주하는 호주 장대운은 현재 46세이고 직역은 대변군관(待變軍官)이며,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이어서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절충장군(折衝將軍) 장무량(張武良), 조부는 장홍(張弘), 증조부는 장덕룡(張德龍), 외조부는 본관이 김해인 김애현(金愛賢)이다. 아내인 나주추씨(羅州秋氏)는 46세이다. 이어서 나주추씨의 사조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가선대부(嘉善大夫) 추상련(秋尙連), 조부는 추명금(秋命金), 증조부는 추송이(秋松伊), 외조부는 본관이 평산(平山)인 조봉이(趙奉伊)이다. 그리고 아들 장계철(張啓哲)은 22세로 기재되어 있다. 맨 뒷부분에 행현감(行縣監)의 압(押)과 관인(官印)이 찍혀 있고, 장방형의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68년 장대윤(張大胤)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大胤 康津縣監<着押>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68년(영조44) 강진현(康津縣)에서 장대윤(張大胤)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발급한 준호구 1768년(영조44) 강진현에서 무자년(1768)의 호적대장을 참고하여 발급한 장대윤의 준호구이다. 고금진리(古今鎭里)에 거주하는 호주 장대윤은 현재 23세이고 직역은 대변군관(待變軍官)이며,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이어서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 절충장군(折衝將軍) 장무량(張武良)은 65세로 생존해 있으며, 조부는 장홍(張弘), 증조부는 장덕룡(張德龍), 외조부는 본관이 김해인 김애현(金愛賢)이다. 모시고 사는 어머니 김씨는 65세이고, 아내인 이천서씨(利川徐氏)는 23세이다. 이어서 이천서씨의 사조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서일태(徐日泰), 조부는 서원적(徐元迪), 증조부는 서계축(徐啓丑), 외조부는 이암극(李諳極)으로 본관은 완산(完山)이다. 함께 살고 있는 아우 장대운(張大雲)은 현재 19세이다. 호주인 장대윤의 이름자 '胤'은 장대윤의 일련의 호구문서로 보아 '允' 자의 오기이다. 맨 뒷부분에 행현감(行縣監)의 압(押)과 관인(官印)이 찍혀 있고, 장방형의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答竹堂金伊坤(晦峯安圭容) 圭容不肖誠不足以齒列於士友之間自分投棄於窮山鹿豕之隣不復比數於生人況又孱質遽爾衰謝醜拙甚矣一有見之者罔不唾之而走自顧亦可笑也獨彼幼少輩挾冊相從始習吚唔之聲及其稍解句讀便望望然去之蓋無所加益也今左右於何聽聞而有此古道之書誠未可曉也況措辭遣意大是不倫今日是何等時節而誰敢當秉燭之責哉必也有大力量大手勢然後可庶幾也圭容是草根螢爝之不如者豈有彷彿於此者哉細觀來書似有一者 枉顧之意雖不敢望而亦豈無欣企之私果不遐棄而置之相知之末則容之幸也於左右未始不爲盛德事曷勝感荷邇來心內私有不平事紙墨之役抛却久矣稽謝悚汗餘祝侍學加重不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延安季重培 風和雲晴麥秀年身隨短策入山川日華正射綠陰地花氣晩酣芳草前俯白頭低新俎豆拭靑眼看舊山川香煙隱約籠珉石來萬如斯樂未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延安李 慕聖誠心卽有年衣冠濟濟坐如天祥雲靄靄楓林外瑞日亭亭杏樹前壇角蕭條來碧峀屋頭素潔繞淸川吾生無數傾鄕至白石芳名亦此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水原白奎寅 拜祝宮墻萬萬年瞻如喬岳仰如天文星夜射蒼珉影藝陳風生老杏前紀績乾坤爭日月留名宇宙鎭山川佳蔥氣色時來大酌酒雄談碧草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光山金時鉉 山靑石白莫知年夫子宮墻屹若天思服全鄕流澤裡不期多士晩花前芳名自是應千古短碣居然障百川此日人門如許暮洗盃更醉月明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補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答一靑金亨在(曉堂金文鈺) 春初於玄山處聞 兄與松汀問舍論山歸又得松汀書云 兄當先之坐在僻陬不知 兄去取何居但有耿耿者在方寸間玆於梁兄來得手函得審體節未適而盡室之計姑止未果俱爲貢慮不置惟祁 善加調護以副此念自去秋來謂兄必奮鵬翼搏扶搖而上靑冥矣尙爾牢臥峽中豈揣時度勢有不可者在歟人固不易知淺淺乎吾之知 兄也鈺春間妄欲遷居竟未諧聊且住此若遇秋風吹又不知轉向何處去爾便促倉卒不知所言要之胸中憒憒非得面談一場則不可得吐求禮一念固所樂赴但來月中先忌秧務迭次拘綴有未可斷念四五日間 兄可枉此與之議行如何邇來尤欲一見顧堂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玉川趙萬植 西城絲管賀新年彩靄霏霏碧滿天往世繁華春夢外一生歡樂此堂前地形超超收千峀洞勢回回吸百川如許不容中國日聖桴應渡海東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答晦雲(15) 竹塢李常白未有一面之雅而 聲華之在耳固非一日矣千萬料襮拜承 下書感感罔知攸諭仍審靜養體節萬休仰慰不任生孤陋無狀不足比數於人而 高明之地降屈德儀如此先施之擧況誘之以風景敢不翼如也然適有些小礙端未副 盛敎罪悚罪悚第當日後躬造計而望須下山歸路暫枉賜顔亦何若耶餘不備謝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答晦雲(19) 承旨金寗漢年前居憂中俯賜慰問兼垂賻惠迄未報謝罪也今又承 尊椷自訟逋慢不知何辭奉復承審經體節湛寧爲慰且頌生一直倥侗無足指數而來書所陳無非過當語以無鹽之醜焉而强稱以西子之美則彼無鹽者安得不自赧乎竊恐有累於 賢座之高明也 尊先墓表中系代之闕謬處當依敎訂正耳客擾不備謹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 惠寄靜菴先生文集賴吾 賢座而羹墻有地感荷良深醉月亭賡和人詩我歌聊以當千里一笑也允君促歸不宣竊念先子之平日往復於師友者迨數百篇而或湮於久遠或失於離亂所藏於巾笥者右若干而已恐此而又失合刊於亭誌以寓亦敬之私下錄諸札昔先子之講道醉亭也不肖輩趨庭時往復故今付篇末以志風樹之感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廟宇修葺告由文 廟宇頹圮漏床席不勝惶悚將加修葺謹以酒果用伸虔告謹告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