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烈婦<인명>吳氏</인명>實記烈婦▣(吳)氏系出<지명>羅州</지명><인명>襄平公</인명>諱<인명>自治</인명>之後幼學<인명>敬喆</인명>之女▣(也)▣▣(吳氏)自幼天性至孝閨範夙著年才十九爲<인명>梁相龍</인명>妻事舅姑以誠御婢僕以恩里隣咸稱有婦德焉未期年歸寧遭親母朴氏喪哀毁盡節而待其綺制与舅姑送婢催皈則告以弟男幼雉朝夕上食之節朔望其祭之需非不肖女則無可任使者云舅姑宜其言止之至<연도>戊申</연도>十二月其夫<인명>相龍</인명>偶得一疾已過旬朔而<인명>吳氏</인명>尙在親家未能卽歸者盖其親夫人祥期不遠故也終祥急還則夫病彌留万方無效<인명>吳氏</인명>不避寒暑食飮藥餌之節無不先嘗以進每隨舅姑審其動靜後獨處小室心褠手祝願以身代而涕泣沾襟舅姑見之則輒愉色怡聲恐貽舅姑之憂亦不敢擅延於病夫之側召有睱則惟動紡績以備艱難焉及其夫病轉至難救而<연도>己酉</연도>四月初七日奄忽殞命則<인명>吳氏</인명>出門索刀斷左手中指灌血於其夫中口中而指血已盡矣旋而又斫指乃墮地流血淋漓遂洽灌口果延一時之命而是日竟逝焉<인명>吳氏</인명>乃盡哀大哭因欲自到以從爲左右所止累陷泥中將有投井之擧家人守之竟不得仗其志矣<인명>吳氏</인명>泣嘆曰吾不見君子之斂殯而期於必死者非義也卽開篋出布帛欲自制襲衣則血指已斷恐其沾汚使人代之曰君子之服皆用帛而所乏者袴妾之婚時所着袴改制則似無妨矣乃出視之曰斜幅之改製亦不正不如用布袴云及其斂日謂其治喪諸族曰姑勿葬以待數日云其舅姑慮其必死絶不使留之戶傍矣入棺之時託以永訣出門而落於層階下以額叩地以石擊祠曰何必禁我之死乎死人固當然而同日同壙則豈不解吾之至寃乎因臆塞氣絶焉左右力救僅生其舅姑不忍慘景至於絶飮<인명>吳氏</인명>乃親執粥器以勸進舅姑曰汝飮則吾當飮之<인명>吳氏</인명>遂先飮含口而待舅姑强飮後必僭吐襟懷間蒼黃之際諸族出殯<인명>相龍</인명>棺於先塋下五里之地<인명>吳氏</인명>後覺大嚀曰妾將死於君子棺側而今已出殯死失其所死於何處乎因向壁臥㪅無一言盖自其夫終時所着衣常爲塵垢及指血所染者至於再三自投於泥中則形容之慘已無可言而終不㪅衣其親家婢子來侍焉<인명>吳氏</인명>曰我將死不必來云其弟男來見而終無苦辭悲語卽爲還送焉自其夫殯後知舅姑左右之晝夜相守必致其生畧示不死之志而至於食飮則絶不下咽者已過五日至十一日朝呼婢曰余之日前斷指出於罔指而父母遺体不覺藉地余甚不肖汝或收拾置乎婢果埋庭中矣卽訪褁衣帶間徐言曰此皆無益之事欲死不得亦將奈何且謂其姑曰前日每營移居矣今至此境雖明日當移居云其舅姑只信其言曰汝之所欲吾當一一從之云是夜若有不勝困睡之狀而頹臥寢房其姑同室相守者已過四夜只信其婦之昏倒而於爲假寐之間<인명>吳氏</인명>僭起出門矣一家遑遑追蹤則廊門四開而自廊門有徒跣至江邊痕故卽往相尋霜月照崖有半天裳帶而絆以褁指之囊置之小石上矣乃知其投而中央旣深莫知所在舟纜且絶繫在北崖急呼溪村人棹舟以來而審視則烈烈之光尙留於十步之波凜凜之風忽起於一丈之水乃<인명>吳氏</인명>視死如歸之地也其舅家庶從相結授以短棹則衣裳半濕若有一片清氷宛然如封而無一兩水入口云乃運尸入家則雞已鳴矣翌日午遷尸于床而野人望見則自<인명>吳氏</인명>尸房之上有一段白氣橫亘半空如匹練長虹而直貫于<인명>相龍</인명>之殯漸漸消盡矣因衆會相指曰<인명>吳氏</인명>尸體昨夜始援而已爲出殯耶此必燒衣服尸床等物之烟氣而天以風吹送于其夫之新殯者可怪少異傳相互聞之則<인명>吳氏</인명>之尸尙在床上而家無烟火之擧衆乃驚嘆曰此乃<인명>吳氏</인명>之正氣云自是日遠近村女聚街集道相限其不識<인명>吳氏</인명>之生時韻面矣十四日載<인명>吳氏</인명>樞啓<인명>相龍</인명>殯同壙于山汰洞艮唑之原道路觀之涕泣相送雖愚夫愚婦莫不感義嘖舌焉余州<인명>相龍</인명>之四從矣自<인명>吳氏<인명>來嫁閾其善事舅姑之節每欲一見息服盡情踈竟未果焉余作而行之時往見<인명>相龍</인명>之病則似不起矣安知五六問有此不忍之事乎閏四月初六日余始落<지명>京城</지명>十一日到<지명>全州</지명>境聞行人言曰<지명>羅州</지명><인명>松山梁氏</인명>爲三綱故家而今又出一烈云余乃驚問則不答去曰南下則當詳知云十三日至<지명>蘆嶺</지명>則行人相言曰<인명>梁氏</인명>家烈婦壯哉壯哉瑞氣橫亘云余又問其詳則亦不答而去余乃知<인명>吳氏</인명>之必死者已有先服故也果到<지명>長城</지명>聞之則是矣自不覺嗚咽興嘆而至<지명>北倉</지명>則爭言白氣之亘天如是之云皈家則一家老少及一村男女以其聞見詳言其顚末曰烈婦之行不可不記余乃乃宲畧記因節節痛惜而觧之曰<인명>吳氏</인명>誠孝吾已欽艶而孝爲百行之源則其烈也固矣若夫正直之節物異之事不可不論也盖斷指事乃愚婦倉卒之或爲而指血已盡旋出又斫者丈夫猶難也果延其夫一時之命而命乃在天烈婦亦何哉因欲自頸累滔泥井者不分天地不擇水火之時也若無家人之扶護則烈婦之死輕於鴻毛矣旣不得侄其决志則爲見君子之斂殯而開篋出帛恐其血指沾汚不能自制者悿不忍言斜幅之袴不正不用云者此古女士所謂斜之有餘不若正之不足也孰謂婦人之不知禮姑勿葬以待數日云者此是已决之言而舅姑私情慮其必死使不留尸房者無或怪矣若先知其幾則必不使累日不食之軟弱躬婦盡力投江而爲一遺限也其夫入棺之時以額叩地以石手朗者同日同壙之意而意不觧烈婦之至寃者其非常情之所恥乎親執粥器勸進舅姑之誠而以若崩城之痛不失出天之性<인명>吳氏</인명>之孝且烈此可險矣强爲先飮惟復舅姑之旨而潜吐襟懷不欺者心其誰知乎舅姑無他子女則吾劣不死已有血肉則亦劣不死云者此是私語其老婢而亦得中矣今已出殯死失其所死於何處云者其夫之殯在於五里之地而山回谷深不知去路之嘆也終不更衣終不飮水則自盡乃已孰能回匹婦之志乎將死之日必訪其墮指者乃全般之意孰謂夫人之不學也請舅姑移居之語欲緩其晝夜相守之意耶婚時資裝衣服可以免未亡前飢寒而棄若獘屣潛起出廊洞開其門者以其夫病終之隨而就欲自頸且恐其舅姑之覺尋决赴大江則將示其昭昭之跡而使知其死取之意也及其臨江潦指之烈指之裂絶裳帶亦盡死力而路之以褁指之囊置于石上者且慮其尸身之難尋斷指之漂失故也自閨至江不過牛鳴之地而踞則迷矣松影㭗㭗於層崖柳陰翳翳於長堤雖男子剛腸夜深犻行自不覺流汗而况閨中一婦豈欲必投於此水而爲死哉然而莫知烈婦之心者冀其或生而使不得死於其夫之尸傍又不得死於其夫之殯下鐵石如是從容豈不壯哉將欲投水之際必擇其深而波底步痕卽夜可驗則何其勺水之不入口耶始知烈婦之心已决於未投之水而旣投則水亦不爲之深也若知如此則何必待舟乎是可悔耳其他不忍聞事不可枚擧盖片水如封之狀雖聞於相浩而吾獨將信將疑相浩之手援其嫂自有驚愕恐怕之心而眼纈於月色玲瓏之夜耶時當四月必無氷合之理不欲强卞也晩時微霜苟或然矣而是夜江崖履之者如遭此或烈婦之寃耶且聞死徃三日其親夫人來訣則<인명>吳氏</인명>之尸死如生時而及其出門頃刻忽変云此乃平生愛親之心有感於冥冥之中而欲以好面相菿也至若白氣亘天直貫于<인명>相龍</인명>之殯者此非一人之犻見而水店溪村觀者如市聞者側耳此不待吾言而由是驗之片氷之封嚴霜之降其亦近理乎嗚呼吾<인명>梁氏</인명>有八旋而忠一孝二烈有五矣今此<인명>吳氏</인명>亦以我<인명>松川</인명>外裔又添一烈于有光焉恨不得旋其模範於閨門而惜乎其無嗣也惟此堂堂之義卓卓之烈爲女於吳門而生色爲婦於梁門而生色烈婦之死眞兩門之表著何必待棹楔而爲榮哉<인명>吳氏</인명>生於<연도>丙戌<연도>而在世僅二十四年矣其情則慽矣而其烈也與日月爭光夫何恨乎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小作契約書一.小作土地表示小作料난左記이如홈拙者가左記土地를耕作하야小作人이됨一.小作其間은▣年부터 個年으로昭和 年▣▣(부터)昭和 年 月까지一.小作料난品質을精選乾燥하야每年 月十五日內▣▣殿指定塲所로納入하기로홈若現物로納入하기不能한時난代金으로換算納入할事小作料納入場所距離二里以上된運賃은小作料定할時에豫히减하고定하얏기로小作人은運賃請▣(求)를不得홈一.小作料容器▣三等合格者叺子新品으로正味 斤卜을入하야縱二繰로三處橫二繰로一處로하야紉檢見規則에合格되게할事一.左記小作料▣(를)天災로因하야平年作收穫高三割以上减小▣▣(되야)定稅를不敢當케된時난收穫着手期間三十日內에看坪申出를하고地主承諾을受한後에刈取할事若期限內에申出이無하면天災로▣하야도减稅를不得하고地主가看坪後에小作料를更定키難하다하면刈取全收穫에半分하야地主의指定場所로小作人이運輸積置홈(▣(地)主承諾이無하고刈取하야도减稅不得홈)一.小作地上物을他로假處分假差押强制執行을當활念慮가有면納入期限內에何時던지請求하고난地▣(主)自意대로刈取하야小作料를收納활事一.連帶保證人은小作人과同等義務가有함은勿論이오小▣(作)人이小作料를未納하게될念慮가有한時난小作料收納케爲하야小作人외何等所有物이▣(든)지賣却하거나其他方法으로써小作料를納付하야도小作人은一言의異議가無할事一.連帶小作人中一人만小作料未納하면連帶責任으로納付하난勿論이오小作料를滯納하고地主의催告▣受하야一個月以內納付치안이한時난期間內라도小作權을全部解除할事一.地主의承諾업시土地形狀을變更하고土地를荒癈하고農事怠하고借地權을他人의계讓渡하고地主▣(난)郡農會서指定하난農事改良을行치안니한時난期間內라도小作權을解約활事一.保證人은五人以上으로定하난데貴殿小作人되난이로対期間中에保證人이一人만死亡하거나保證▣力이無하다고地主가保證人을▣▣▣라고하난時난卽時貴殿小作人中資格者로立할▣履行치못하면期間內라도小作權을解約홈一.小作土地에對하야公課金,地稅,水▣▣▣▣난全部地▣(主)가負擔홈一.地主난小作人이本契約을善히履行하면小作期間內난小▣(作)權移動을不得하고난期間滿了後라도引繼할수도有홈土地住所: 扶安郡 扶寧面 遂谷里 地番 地目 地積: ▣壹九九 舊斗落: 六斗▣升 小作料數▣(量): 壹000 備考:昭和拾八年四月拾五日扶安郡 扶寧面 山澄里 小作人 林明根[印]扶安郡 扶寧面 山澄里 連帶保證人 裵鍾淳[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金彩相八高祖眞祖興台之祖 重華 眞祖之外祖 全州崔仁弼祖母密陽朴氏之祖 壽程 祖母之外祖 全州李震芳外祖考咸陽趙渭彬之祖 鳳信 外祖考之外祖 全州李益華外祖母密陽朴氏之祖 承宗 外祖母之外祖 全州柳萬發金炳憲八高祖眞祖俊起之祖 義敏 眞祖之外祖 密陽朴枝發祖母咸陽趙氏之祖 守喆 祖母之外祖 密陽朴▣▣外祖考海州崔德東之祖 萬己 外祖考之外祖 仁同張洪鎭外祖母光山金氏之祖 春成 外祖母之外祖 金海金尙文金洛震八高祖眞祖彩相之祖 興台 眞祖之外祖 咸陽趙渭彬祖母海州崔氏之祖 成鶴 祖母之外祖 光山金善才外祖考古阜李源達之祖 善白 外祖考之外祖 淸州韓基旭外祖母耽津安氏之祖 彦孝 外祖母之外祖 南陽洪應河金冕述八高祖眞祖炳憲之祖 俊起 眞祖之外祖 海州崔德東祖母古阜李氏之祖 之榮 祖母之外祖 耽津安利濟外祖考全州崔順弼之祖 孟述 外祖考之外祖 密陽朴元根外祖母江陵劉氏之祖 昌漢 外祖母之外祖 全州李鎭基金鏡述八高祖眞祖炳憲之祖 俊起 眞祖之外祖 海州崔德東祖母古阜李氏之祖 之榮 祖母之外祖 耽津安利濟外祖考金堤趙熳斗之祖 命德 外祖考之外祖 朔寧崔性奎外祖母金海金氏之祖載權 外祖母之外祖 海州吳貴載金 述八高祖眞祖炳憲之祖 俊起 眞祖之外祖 海州崔德東祖母古阜李氏之祖 之榮 祖母之外祖 耽津安利濟外祖考金海金自孝之祖 顯輔 外祖考之外祖 全州李花燁外祖母密陽朴氏之祖 昌祚 外祖母之外祖 達城徐振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丙寅四月初四日 前手標右手標事右人親山定于下西吉音洞而右麓卽吾之禁養內哛喩吾之弟嫂山與子婦山在於南麓至近之地是如乎言無事結則不可輕先許給於右人定山麓上下一脉捧価貳十五兩爲遣永永許給用山後子孫與族人中如有雜談則以此標憑考事山地主 幼學 梁機[着名]證筆 喪人 賓相鴻[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연도>大正十二年</연도>十月五日聽取書--聽取書一問 貴下의住所氏名答 <지명>扶安郡保安面牛東里五七三番地</지명><인명>崔炳郁</인명>二問 貴下의年齡幾何答 七十六才三問 貴下十四世의氏名何答 <인명>崔生明</인명>四問 入葬한年代은幾何答 開國四百四十七年五 鐵匣台帳水營量案輿地勝覽有無答 鐵匣台帳水營量案은郡의文蹟과量案後의廢棄ᄒᆞ고<지명>扶安</지명>邑誌만有(邑誌一名輿地勝覽)六問 金少尹墓과先히入葬與否答 金少尹은高麗時代의人이나墓은何處에다入葬한지도不知할뿐더러勿論年代도不知七問 <인명>崔繼成</인명>은貴下의幾世된關係答 十二世祖八問 入葬한年代은幾何答 <연도>開國壹百五十五年</연도>九問 <인명>金世英</인명>의時代에<인명>崔生明</인명>及<인명>崔繼成</인명>의墓地의일부을借葬한事有無答 借葬하얏단文蹟도無할뿐더러借葬한事가全無十問 <인명>崔生明</인명>의入葬할時에該山地을何로붓터借得及買得與否答 入葬時代로言ᄒᆞ면國初時也라無主山에入葬을始ᄒᆞ야該山을點領ᄒᆞ야邇來守護十一問 該山坂內의七十餘位墓가全部崔氏의墓與否答 全部崔氏의墓十二問 何如証據을擧ᄒᆞ야確認答 自來譜冊의記入外에年年時享한事로確認十三問 墓籍届을幾位나提出答 九位만提出十四問 金少尹墓가大阜을指ᄒᆞ야墓라云ᄒᆞᆫ事實이何如答 崔氏山訟事蹟에記載大正十二年十月三日以上--一問 貴下의住所氏職業年齡答 <지명>扶安郡扶寧面瓮中里</지명><인명>崔基洪</인명>農業四十五才二問 紛爭한山坂接續界內에金少尹의墓地을紛爭치안한事實은何如答 <연도>光武貳年</연도>에<관직명>觀察</관직명><인명>李完用</인명>이로셔兩家境界을劃定한土地인故로紛爭을提起치안ᄒᆞ얏소三問 該時에判決書ᄂᆞᆫ何로붓터配達與否答 現場에셔卽地提給ᄒᆞᆫ것시오四問 植樹伐採斫伐한事有無答 有云ᄒᆞ얏소五問 幾年前에斫伐ᄒᆞ야시며何邊을斫伐ᄒᆞ고同時에幾何本斫伐與否答 十四年前붓터西邊을斫伐한事도有ᄒᆞ고又今三年前붓터斫伐한事도有ᄒᆞ고二千本이나斫伐ᄒᆞ얏소六問 斫伐한松樹ᄂᆞᆫ何人의게賣渡與否答 <지명>瓮中里</지명><인명>韓容九</인명>의게賣渡ᄒᆞ얏소七問 三年前에伐採할時에幾何本答 大松略三百本小松略二百本이나伐採ᄒᆞ얏소八問 三年前斫伐時에金氏로붓터何如한異議有無答 同年四月頃金氏側의本面駐在所에異議을提起한結果本人을召喚ᄒᆞ얏기에本人이理由을說明ᄒᆞ야同異議가無效되얏소九問 伐採은幾何年答 年年間伐ᄒᆞ얏소一○問 該伐採할時에何如人을使用ᄒᆞ야伐採與否答 枝葉伐採은山直의게讓渡ᄒᆞ얏소一一問 判決後로ᄂᆞᆫ該山坂內枝葉伐採을乘夜盜伐한事有無答 夜을利用ᄒᆞ야伐採할理가有ᄒᆞ것소一二問 植樹ᄒᆞ얏시면幾何年及幾何本答 十四年後斫伐後로年年植樹ᄒᆞᄂᆞᆫ바每年二三百本假量이나ᄒᆞ얏소一三問 在前붓터貴下가優良커守護ᄒᆞ얏ᄂᆞᆫ지金民로붓터紛爭으로守護與否答 <연도>康熙己未</연도>로始ᄒᆞ야金民로셔起訟ᄒᆞᄂᆞᆫ바或金少尹墓라云云或<인명>金彦邦</인명>의墓라云ᄒᆞ야一墓三祖의說에基ᄒᆞ야金氏가敗訴한結果全部吾崔의所有가되얏소一四問 其後에ᄂᆞᆫ金民로셔何如한異議有無答 其後七十年後에更히起訴ᄒᆞ야十四年間紛爭ᄒᆞ다가結局金民가敗訴ᄒᆞ얏소一五問 何幾許나金民訟動을崔民의게取給與否答 大槪幾丈만爻周ᄒᆞ얏소一六問 <인명>李完用</인명>判決後로ᄂᆞᆫ異議有無答 各守其境界ᄒᆞ얏소一七問 金氏의게有持한狀軸의記載한氏名이貴下의一門族與否答 <인명>崔觀錫</인명>外二十二名은本人의門中人이요其他人은本人의門中族人이안니요--辨誣書事實은<인명>金珪相</인명>側으로부터所謂立証ᄒᆞᆯ目的으로<연도>庚申</연도>十二月日<인명>崔觀錫</인명>等議送一張이라稱ᄒᆞ야今番卒然發出ᄒᆞ야ㅅ기예其事由을參考ᄒᆞᆫ즉元來無根ᄒᆞᆫ事說이랴究其心腸컨댄飜訟之計로似是ᄒᆞᆫ貌樣을粧撰ᄒᆞ야變幻假稱이올시다狀內列書ᄒᆞᆫ氏名으로見ᄒᆞᆯ지라도九十四人中에四拾八人은無証不知之人오十人은或百餘年或幾十年前死亡人과或十五歲或十歲未滿幼稚兒을記載ᄒᆞ엿시니其僞造事實이昭然無疑ᄒᆞ읍기에理由을左記ᄒᆞ오니參考ᄒᆞ시기을千萬敬要ᄒᆞᆷ席洞山所在墳墓七十二位諱啣五十八位--辨明書<인명>金珪相</인명>誣稱<인명>崔觀錫</인명>等議送狀辨明事實事實은<인명>金珪相</인명>側으로証ᄒᆞᆫ<연도>庚申</연도>十二月十五日<인명>崔觀錫</인명>等議送一狀은都是虛僞粧撰ᄒᆞᆫ一奸狀에不過라其狀內事實도不當일뿐더러況又左列姓名九十四人中에四十八人은不知何許之崔요四十六人은吾崔族譜中所在한名義로되其中十人은或百餘年或幾十年前死亡人을記載ᄒᆞ고或十五歲或十歲이내幼稚之兒을列書ᄒᆞ얏은즉其僞造ᄒᆞ事實은昭然無疑하옵기에理由을左記ᄒᆞ오니參考ᄒᆞ시기을千萬敬要ᄒᆞᆷ其狀內曰得葬此山云云曰借葬外先山云云者專以詐巧之術로做出此說ᄒᆞ야欲以右ᄂᆞᆫ<인명>金珪相</인명>側으로부터所謂立証한<인명>崔觀錫</인명>等訴狀이라稱ᄒᆞᆫ事ᄂᆞᆫ其狀內辭意을推察컨대都是無根ᄒᆞᆫ事說일뿐더러狀內列書ᄒᆞ氏名으로見ᄒᆞᆯ지라도九十四人中에四十八人은無証不知ᄒᆞ인이오十人은或百餘年或幾十年前死亡人과或十五歲或十歲未滿幼稚兒을記載ᄒᆞ엿시니其狀內事實虛僞構成ᄒᆞᆷ은不言可証가參見컨대虛僞張昭然ᄒᆞ오니理由을參考ᄒᆞ시기를▣…▣--全州崔氏族譜卷之一(<연도>乾隆八年癸亥</연도>七月刊印)第五章後面<인명>崔生明</인명> 生員<관직명>昭格署殿直<관직명>有學行<인명>金濯纓</인명>作祭文○配扶寧金氏大護軍璫女文貞公坵七代孫○墓在<지명>扶安道洞山</지명>午向○子孫居<지명>扶安</지명>全州崔氏族譜卷之三第一章前面<인명>崔秀孫</인명>字茂叔進士<연도>成化丁巳</연도>生<연도>正德壬申</연도>卒享年七十六號固窮堂至孝學行享祀道洞書院○配吳氏司直伯亨女生二男後配崔氏司正孝老女○墓在先塋下後壟雙兆第一章後面<인명>崔弼成</인명> 中略 配光山卓氏墓在<관직명>殿直</관직명>公墓石上第二章前面<인명>崔海</인명> 中略配平康蔡氏○墓在處士公墓下双兆第四章前面<인명>崔克成</인명> 中略墓在先塋下<인명>崔沫</인명> 中略○墓在先塋下第五章前面<인명>崔繼成</인명> 字紹先號處菴<연도>正德正廟</연도>生員有孝友至行考--辨誣書右는<인명>金珪相</인명>側으로부터所謂立証한<인명>崔觀錫</인명>等의訴狀이라稱ᄒᆞ事ᄂᆞᆫ其狀內辭意를推察컨댄都是虛僞無根ᄒᆞᆫ事說일뿐더러況又狀內列書ᄒᆞᆫ氏名으로見할지라도九十四人中에四十七人은無証不知ᄒᆞᆫ人을記載ᄒᆞ고十四人은或百餘年或幾十年前에死亡ᄒᆞᆫ人과或十五歲或十歲未滿ᄒᆞᆫ人을入錄ᄒᆞ얏시니其狀內事實의虛僞와소장의僞造ᄒᆞ옴은昭然이오니理由를參考ᄒᆞ심을千萬敬要ᄒᆞᆷ<지명>扶安郡保安面牛東里</지명><인명>崔炳郁</인명><관청명>總督府技手出張所</관청명> 啣中全州崔氏族譜卷之一第六章前面<인명>崔生明</인명> 號瓮菴壯士郞中生員筮仕<관직명>昭格署殿直</관직명><연도>同治元年</연도><연도>庚申</연도>十二月十五日<인명>崔觀錫</인명> <인명>一權</인명> <인명>德收</인명> <인명>萬洙</인명> <인명>遠垕</인명> <인명>昌坤</인명><인명>昌錫</인명> <인명>命權</인명> <인명>喆洙</인명> <인명>魯洙</인명> <인명>殷垕</인명> <인명>佺</인명><인명>元錫</인명> <인명>升權</인명> <인명>宗洙</인명> <인명>鶴洙</인명> <인명>錫垕</인명> <인명>伉</인명><인명>履錫</인명> <인명>仁權</인명> <인명>孟洙</인명> <인명>應洙</인명> <인명>一坤</인명> <인명>亻+岡</인명><인명>沃</인명> <인명>德權</인명> <인명>哲洙</인명> <인명>文洙</인명> <인명>源坤</인명> <인명>倫</인명><인명>洧</인명> <인명>在權</인명> <인명>學洙</인명> <인명>敬洙</인명> <인명>致坤</인명> <인명>龍煥</인명><인명>滋</인명> <인명>得權</인명> <인명>晉權</인명> <인명>鐸洙</인명> <인명>有坤</인명> <인명>乃煥</인명><인명>淇</인명> <인명>兢洙</인명> <인명>八權</인명> <인명>義洙</인명> <인명>翊坰</인명> <인명>俊煥</인명><인명>泳</인명> <인명>益洙</인명> <인명>鼎權</인명> <인명>智洙</인명> <인명>麒坰</인명> <인명>驥煥</인명><인명>澤</인명> <인명>泰洙</인명> <인명>以權</인명> <인명>元垕</인명> <인명>龍坰</인명> <인명>煥聖</인명><인명>永權</인명> <인명>昌洙</인명> <인명>瓊權</인명> <인명>益垕</인명> <인명>麟坰</인명> </인명><인명>煥益</인명><인명>元權</인명> <인명>日洙</인명> <인명>恒洙</인명> <인명>寅垕</인명> <인명>南坰</인명> <인명>顯鑑</인명><인명>致權</인명> <인명>基洙</인명> <인명>致洙</인명> <인명>奠垕</인명> <인명>元坤</인명> <인명>萬鑑</인명><인명>仁鑑</인명> <인명>爀垕</인명> <인명>??</인명> <인명>煥成</인명><연도>庚申</연도>十二月十五日<인명>崔觀錫</인명> <인명>崔澤</인명> <인명>崔升權</인명> <인명>崔日洙</인명><인명>崔昌錫</인명>[丙辰卒則卒後五年入於狀] <인명>崔永權</인명> <인명>崔仁權</인명> <인명>崔永洙</인명>■…■[<연도>戊午</연도>에卒則三年後入於狀] <인명>崔元權</인명> <인명>崔德權</인명> <인명>崔基洙</인명><인명>崔履錫</인명> <인명>崔大權</인명> <인명>崔在權</인명> <인명>崔德洙</인명><인명>崔沃</인명> <인명>崔致權</인명> <인명>崔得權</인명> <인명>崔喆洙</인명>[己未死亡]<인명>崔洧</인명>[<연도>乙巳</연도>卒則卒後十六年入於狀] <인명>崔仁鑑</인명> <인명>崔兢洙</인명> <인명>崔宗洙</인명><인명>崔滋</인명> <인명>崔承垕</인명> <인명>崔益洙</인명> <인명>崔孟洙</인명><인명>崔淇</인명>[<연도>嘉靖辛未</연도>卒則二百餘年後] <인명>崔一權</인명> ■■■ <인명>崔哲洙</인명>[<연도>己未</연도>死亡]<인명>崔泳</인명> <인명>崔命權</인명> <인명>崔昌洙</인명> <인명>崔學洙</인명><인명>崔晉權</인명> <인명>崔鶴洙</인명> <인명>崔升垕</인명> <인명>崔麒坰</인명><인명>崔八權</인명> <인명>崔應洙</인명> <인명>崔奠垕</인명> <인명>崔龍坰</인명><인명>崔鼎權</인명> <인명>崔文洙</인명> <인명>崔遠垕</인명> <인명>崔麟坰</인명><인명>崔以權</인명> <인명>崔敬洙</인명> <인명>崔殷垕</인명> <인명>崔南坰</인명><인명>崔瓊權</인명> <인명>崔鐸洙</인명> <인명>崔錫垕</인명> <인명>崔益坰</인명><인명>崔恒洙</인명> <인명>崔義洙</인명> <인명>崔一坤</인명> <인명>崔元坤</인명><인명>崔閏洙</인명> <인명>崔智洙</인명> <인명>崔源坤</인명> <인명>崔昌坤</인명><인명>崔致洙</인명> <인명>崔元垕</인명> <인명>崔致坤</인명> <인명>崔佺</인명><인명>崔萬洙</인명> <인명>崔益垕</인명> <인명>崔有坤</인명> <인명>崔伉</인명><인명>崔魯洙</인명> <인명>崔寅垕</인명> <인명>崔翊坰</인명> <인명>崔{亻+岡}</인명><인명>崔倫</인명> <인명>崔喆垕</인명><인명>崔龍煥</인명> <인명>崔民垕</인명><인명>崔乃煥</인명> <인명>崔光龍</인명><인명>崔俊煥</인명> <인명>崔光彦</인명><인명>崔驥煥</인명> <인명>崔煥台</인명><인명>崔煥聖</인명> <인명>崔煥成</인명>[<연도>純祖二十七年丙戌</연도>에卒則卒後三十五年入於狀]<인명>崔煥益</인명> <인명>崔煥鑑</인명><인명>崔漢鑑</인명> <인명>崔煥哲</인명><인명>崔顯鑑</인명>[<연도>甲寅</연도>生則七歲入葬]<인명>崔萬鑑</인명><연도>庚申</연도>十二月十五日金氏僞造<인명>崔觀錫</인명>等議送狀辨誣事實事實은金氏所謂立証할目的으로袖出ᄒᆞᆫ立証할<인명>崔觀錫</인명>等議送狀은都是虛僞粧撰ᄒᆞᆫ一奸狀의不過라其狀內事實도於說不當일뿐더러況又左列姓名九十四人中에十五人은吾崔族譜中所在ᄒᆞᆫ名義로되其中九人은生卒이倒錯에或二百年或幾十年前人記載ᄒᆞ고或十五歲或四五歲乳稚兒入錄ᄒᆞᆫ직其僞造ᄒᆞᆫ事가昭然이오(四十八人은不知何許之崔오)ᄒᆞ오니左記姓名參考明査ᄒᆞ시을敬要■…■左記不知何許之崔四十八人姓名<인명>崔殷垕</인명> <인명>崔升垕</인명> <인명>崔應洙</인명> <인명>崔閏洙</인명><인명>崔遠垕</인명> <인명>崔錫垕</인명> <인명>崔敬洙</인명> <인명>崔恒洙</인명><인명>崔奠垕</인명> <인명>崔益垕</인명> <인명>崔鐸洙</인명> <인명>崔瓊權</인명><인명>崔亻+岡</인명> <인명>崔有坤</인명> <인명>崔義洙</인명> <인명>崔八權</인명><인명>崔伉</인명> <인명>崔致坤</인명> <인명>崔智洙</인명> <인명>崔晉權</인명><인명>崔佺</인명> <인명>崔源坤</인명> <인명>崔寅垕</인명> <인명>崔泳</인명><인명>崔元坤</인명> <인명>崔一坤</인명> <인명>崔萬洙</인명> <인명>崔承垕</인명><인명>崔昌坤</인명> <인명>崔翊坰</인명> <인명>崔致洙</인명> <인명>崔澤</인명><인명>崔日洙</인명> <인명>崔敏垕</인명><인명>崔基洙</인명> <인명>崔乃煥</인명><인명>崔德洙</인명> <인명>崔煥台</인명><인명>崔哲洙</인명> <인명>崔煥鑑</인명><인명>崔兢洙</인명> <인명>崔煥哲</인명><인명>崔得權</인명> <인명>崔顯鑑</인명><인명>崔德權</인명> <인명>崔萬鑑</인명><인명>崔倫</인명><인명>崔喆垕</인명>死亡者及幼稚者姓名<인명>崔世華</인명> 中略墓<관직명>殿直</관직명>公墓左配延安金氏墓合兆第十四章前面<인명>崔景晳</인명> 中略○墓席洞山<인명>處菴</인명>公墓左下第十四章後面<인명>崔景晳</인명> 中略○墓<인명>處菴</인명>墓下右第十五章後面<인명>崔景淵</인명> 中略○墓<지명>席洞</지명>先山下第二十二章前面<인명>崔演</인명> 中略○墓<지명>席洞</지명>崗艮坐第二十三章前面<인명>崔遠大</인명> 中略○墓席洞山北岡丙坐第二十八章前面<인명>崔雲洪</인명> 中略○墓<지명>席洞</지명>先塋右卯坐第二十九章前面<인명>崔濈</인명> 中略○<지명>小席洞</지명>乾坐第三十五章前面<인명>崔履權</인명> 中略○墓<지명>小席洞</지명>先妣墓下乾坐双兆<인명>崔鎭宇</인명> 中略○墓<지명>席洞</지명>最上節合兆<인명>崔世華</인명> 中略○墓<관직명>殿直</관직명>公墓左配延安金氏墓合兆第十四章前面<인명>崔景說</인명> 中略○墓處菴公墓下第十四章後面<인명>崔景晳</인명> 中略○墓處菴公墓下右第十五章後面<인명>崔景淵</인명> 中略○墓<지명>席洞</지명>先山下第二十二章前面<인명>崔演</인명> 中略○墓<지명>席洞</지명>東崗艮坐第二十三章前面<인명>崔遠大</인명> 中略○墓席洞山北崗丙坐第二十八章前面<인명>崔雲洪</인명> 中略○墓<지명>席洞</지명>先塋右卯坐第二十九章前面<인명>崔濈</인명> 中略○<지명>小席洞</지명>乾坐第三十五章前面<인명>崔履權</인명> 中略○墓<지명>小席洞</지명>先妣墓下乾坐双兆<인명>崔鎭宇</인명> 中略○墓<지명>席洞</지명>最上節合兆第二十五章後面<인명>崔鎭仁</인명> 中略○配<인명>密陽孫氏</인명><인명>昌逸</인명>女墓席洞東崗壬坐<인명>崔沇</인명> 中略○墓<지명>席洞</지명>東崗戊坐全州崔氏直提學公派世譜卷之一(同前)第十四章後面<인명>崔得中</인명> 中略○墓<지명>席洞</지명>先塋邊<인명>崔天杓</인명> 中略○墓席洞山先塋側--全州崔氏族譜卷之一第六章前面<인명>崔生明</인명>號瓮菴壯士郞中生員筮使<관직명>昭格署殿直</관직명>當世文兩朝從季父烟村公同時出仕矣<연도>顯陵二年</연도><인명>烟村</인명>公致仕退菟之日亦投紱同歸當時廷僚儕賢如<인명>成謹甫</인명><인명>朴仁叟</인명>皆比之二疏故事而贈之以詩屢經兵燹文獻無徵生卒年與嘉言善行著述之文不傳惟<인명>濯纓金先生</인명>誄之曰志剛節廉入孝出悌可祭於社於百萬世又載邑誌有學行三字則可質其當世學問上事業仕宦出處故享祀于<지명>扶安</지명>瓮井書院墓在<지명>扶安縣南</지명>席洞山午向原宜人扶安金氏<관직명>大護軍</관직명><인명>璫</인명>女文貞公<인명>坵</인명>七世孫墓合兆全州崔氏族譜卷之二初頭前面<인명>崔秀孫</인명>字茂叔號固窮堂成化丁巳生成均進士<연도>正德七年壬申</연도>十月二十一日卒墓在<지명>扶安席</지명>洞山先塋下雙兆宜人<인명>吳氏</인명><인명>崔氏</인명><인명>崔順成</인명>字<연도>成之正德二年丁卯</연도>生進俱中令人<인명>朴氏</인명>墓在<지명>席洞</지명>先塋下雙兆二章前面 <인명>崔弼成</인명>字虞卿號處士<연도>成化十九年癸卯</연도>生<연도>正德二年丁卯<연도>/中進士<연도>嘉靖二十五年丙午</연도>八月五日卒墓在先塋上全州崔氏族譜卷之一六章前面<인명>崔生明</인명>號甕菴壯士郞中生員筮使<관직명>昭格署殿直</관직명>當世文兩朝從季父<인명>烟村</인명>公同時出仕矣<연도>顯陵二年</연도><인명>烟村</인명>公致仕退菟之日亦投紱同歸當時廷僚儕賢如成謹甫<인명>朴仁叟</인명>皆比之二疏故事而贈之以詩屢經兵燹文獻無徵生卒年與嘉言善行著述之文不傳惟<인명>濯纓金先生</인명>誄之曰志剛節廉入孝出悌可祭於社於百萬世又載邑誌有學行三字則可質其當世學問上事業仕宦出處故享祀于<지명>扶安</지명>瓮井書院墓在<지명>扶安縣南</지명>席洞山午向原宜人扶寧金氏大護軍<인명>璫</인명>女文貞公<인명>坵</인명>七世孫墓合兆--全州崔氏族譜卷之二一章前面<인명>崔秀孫</인명> 字茂叔號固窮堂<연도>成化丁巳</연도>生成均進士<연도>正德七年壬申</연도>十月二十一日卒墓在<지명>扶安</지명>席洞山先塋下雙兆宜人<인명>吳氏</인명><인명>崔氏</인명><인명>崔順成</인명> 字成之<연도>正德二年丁卯</연도>生進俱中令人<인명>朴氏</인명>墓在席洞先塋下雙兆<인명>崔渭</인명> 屢典州郡皆有治積淑人<인명>文化柳氏</인명>墓在考墓上二章前後面<인명>崔弼成</인명> 字虞卿號處士<연도>成化十九年癸卯</연도><연도>正德二年丁卯</연도>進士<연도>嘉靖二十五年丙午</연도>八月五日卒墓在先塋上宜人卓氏<인명>崔海</인명> <관직명>德陵參奉</관직명>忌十月二十七日令人<인명>平康蔡氏</인명><인명>世成</인명>女忌十一月十一日墓處士公墓下雙兆<인명>崔宗弼</인명> 中略配<인명>扶安金氏</인명>○墓所上同--十四代祖考諱<인명>生明</인명> 祭主 <인명>崔炳郁</인명>十三代祖考諱<인명>秀孫</인명> <인명>崔炳郁</인명>配<인명>吳氏</인명> <인명>崔炳郁</인명>十三代祖考諱<인명>順成</인명> <인명>崔秉南</인명>配<인명>朴氏</인명> <인명>崔秉南</인명>十三代祖考諱<인명>弼成</인명> <인명>崔秉萬</인명>十三代祖考諱<인명>克成</인명> <인명>崔秉雲</인명>配<인명>吳氏</인명> <인명>崔秉雲</인명>十一代祖考諱<인명>繼成</인명> <인명>崔光煥</인명>配<인명>金氏</인명> <인명>崔光煥</인명>十三代祖考<인명>竟成</인명> 祭主 <인명>崔秉澔</인명>配<인명>慶州金氏</인명> <인명>崔秉澔</인명>九代祖考諱<인명>渭</인명> <인명>崔東鉉</인명>配<인명>文化柳氏</인명> <인명>崔東鉉</인명>十一代祖考諱<인명>海</인명> <인명>崔萬洪</인명>配<인명>平康蔡氏</인명> <인명>崔萬洪</인명>十一代祖諱<인명>沫</인명> <인명>崔一洪</인명>配<인명>礪山宋氏</인명> <인명>崔一洪</인명><인명>河</인명><인명>溫</인명>十一代祖考諱<인명>活</인명> 祭主<인명>崔漢洪</인명>配<인명>扶寧金氏</인명> <인명>崔漢洪</인명>十代祖考諱<인명>濱</인명> <인명>崔碩煥</인명>配<인명>扶寧金氏</인명> <인명>崔碩煥</인명>十代祖考諱<인명>德立</인명> <인명>崔一洪</인명>十三代祖考諱<인명>時立</인명> <인명>崔圭伯</인명>配<인명>晉州蘇氏</인명> <인명>崔圭伯</인명>十代祖考諱<인명>大立</인명> <인명>崔基洪</인명>配<인명>保安林氏</인명> <인명>崔基洪</인명>十代祖妣<인명>晉州姜氏</인명><인명>山立</인명>配 <인명>崔桂洪</인명>九代祖考諱<인명>瑗</인명> 祭主<인명>崔彩洪</인명>十一代祖考諱<인명>集</인명> <인명>崔一洪</인명>十代祖考諱<인명>奇男</인명> <인명>崔秉澔</인명>十一代祖考諱<인명>升男</인명> <인명>崔應天</인명>八代祖考諱<인명>是萬</인명> <인명>崔學道</인명>九代祖考諱<인명>執中</인명> <인명>崔秉澔</인명>配<인명>豊川任氏</인명> <인명>崔秉澔</인명>八代祖考諱<인명>得中</인명> <인명>崔在洪</인명>十一代祖考諱<인명>以仁</인명> <인명>崔圭宣</인명>配<인명>慶州金氏</인명> <인명>崔圭宣</인명>八代祖考諱<인명>有仁</인명> 祭主<인명>崔進洪</인명>七代祖考諱<인명>處仁</인명> <인명>崔成煥</인명>九代祖考諱<인명>景憲</인명> <인명>崔杞烈</인명>九代祖考諱<인명>景斗</인명>七代祖考諱<인명>景杓</인명> <인명>崔進洪</인명>六代祖考諱<인명>景說</인명> <인명>崔洛中</인명>六代祖考諱<인명>景晳</인명> <인명>崔吉煥</인명>六代祖考諱<인명>景淵</인명> <인명>崔成煥</인명>七代祖考諱<인명>宗弼</인명> <인명>崔泰洪</인명>九代祖考諱<인명>世華</인명> <인명>崔圭宣</인명>七代祖考諱<인명>宗建</인명> 祭主<인명>崔學道</인명>配<인명>晉州姜氏</인명> <인명>崔學道</인명>六代祖考諱<인명>世岡</인명> <인명>崔進洪</인명>配<인명>慶州李氏</인명> <인명>崔進洪</인명>六代祖考諱<인명>世振</인명> <인명>崔性洪</인명>六代祖妣<인명>礪山宋氏</인명><인명>世休</인명>配 <인명>崔彩洪</인명>五代祖考諱<인명>道東</인명> <인명>崔進洪</인명>配<인명>安東權氏</인명> <인명>崔進洪</인명>六代祖妣<인명>密陽朴氏</인명><인명>益亨</인명>配 <인명>崔學道</인명>八代祖妣<인명>咸陽文氏</인명>之<인명>泰配</인명> <인명>崔萬洪</인명>五代祖妣<인명>金海金</인명>氏<인명>天杓</인명>配 祭主<인명>崔基洪</인명>四代祖妣<인명>羅州羅氏</인명> <인명>崔秉元</인명>五代祖妣<인명>羅州羅氏</인명> <인명>崔秉澔</인명>五代祖妣<인명>高興柳氏</인명> <인명>崔一洪</인명>曾祖妣<인명>扶寧金氏</인명> <인명>崔杞煥</인명>祖妣<인명>淸州韓氏</인명> <인명>崔秉</인명>五代祖考諱<인명>演</인명> <인명>崔秉雲</인명>祖考諱<인명>東權</인명> <인명>崔彩洪</인명>配<인명>礪山宋氏</인명> <인명>崔彩洪</인명>考諱<인명>雲洪</인명> <인명>崔秉豊</인명>曾祖考諱<인명>灦</인명> 祭主<인명>崔元洪</인명>六代祖考諱<인명>濈</인명> <인명>崔成烈</인명>六代祖妣<인명>晉州柳氏</인명><인명>昌運</인명>配 <인명>崔秉雲</인명>--全州崔氏族譜墓表全州崔氏族譜卷之一六章前面<인명>崔生明</인명>號甕菴壯士郞中生員筮使<관직명>昭格署殿直</관직명>當世文兩朝從季父<인명>烟村</인명>公同時出仕矣<연도>顯陵二年</연도> 村公致仕退菟之日亦投紱同中略墓在<지명>扶安縣南</지명>席洞山午向配宜人扶寧金氏大護軍璫女文貞公坵七世孫墓合兆子孫居<지명>扶安</지명>全州崔氏族譜卷之二一章前面<인명>崔秀孫</인명>字茂叔號固窮堂<연도>成化丁巳</연도>生成均進士中略<연도>正德七年壬申</연도>十月二十一日卒墓在<지명>扶安</지명>席洞山先塋下雙兆宜人吳氏崔氏<인명>崔順成</인명>字成之正德二年丁卯生進俱中中略令人朴氏墓在<지명>席洞</지명>先塋下雙兆<인명>崔渭</인명>屢典州郡皆有治積淑人<인명>文化柳氏</인명>墓在考墓上<인명>崔弼成</인명> 字虞卿號處士<연도>成化十九年癸卯</연도>生<연도>正德二年丁卯</연도>中進士<연도>嘉靖二十五年丙午</연도>八月五日卒墓在先塋上(二章前後面)<인명>崔海</인명> <관직명>德陵參奉</관직명>忌十月二十七日令人<인명>平康蔡氏</인명><인명>世成</인명>女忌十一月十一日墓處士公墓下雙兆全二章後面五章前後面<인명>崔克成</인명> 字子仁<연도>正德二年丁卯</연도>生員<연도>丙子</연도>秋文科<관직명>藝文檢閱兼春秋館事知</관직명>錦山<연도>嘉靖七年戊子</연도>六月卒于官淑人<인명>吳氏</인명>墓先塋下雙兆<인명>崔沫</인명> <관직명>正郞</관직명>配<인명>礪山宋氏</인명>文府使<인명>期忠</인명>女墓先塋上雙兆<인명>崔德立</인명> 進士<관직명>主簿</관직명>號晴浦配<인명>文化柳氏<인명>墓正郞公墓下合兆六章前面<인명>崔繼成</인명> 字紹先號處菴<연도>正德二年</연도>中生員<연도>弘治元年戊申</연도>正月十四日生明廟旌閭配<인명>扶寧金氏</인명><인명>永孫</인명>女<관직명>漢城少尹</관직명><인명>世英</인명>玄孫文貞公<인명>坵</인명>后忌七月十七日配<인명>崔氏</인명>忌正月二十日一配墓先塋下一配墓在正郞公墓右下西有床石無刻前後配未詳故墓祀合設于考位墓<인명>崔河</인명> 奉事無后墓先塋下有碣<인명>崔溫</인명> 童蒙擧武科墓在<지명>席洞</지명>處菴公墓東邊有短碣七章前面<인명>崔活</인명> 字濬遠號默齋<관직명>承仕郞禮賓奉事</관직명>生長孝友之家學行夙成六月一日卒墓先塋上端人<인명>扶寧金氏</인명>通政<인명>義貞</인명>女文貞公<인명>坵</인명>后忌六月二十一墓雙兆<인명>崔時立</인명> <관직명>禮賓奉事</관직명>忌六月二日墓處菴公墓上配<인명>晉州蘇氏</인명><인명>友善</인명>女忌十二月二十九日墓在處菴公東下<인명>崔瑗</인명> 字玉汝<관직명>訓練院主簿</관직명><연도>世祖四年戊寅</연도>十一月五日生<연도>弘治十四年辛酉</연도>正月十一日卒淑人<인명>商山金氏</인명><관직명>參奉</관직명><인명>順成</인명>女<연도>世祖二年丙子</연도>十二月二日生<연도>弘治十二年己未</연도>四月二十日卒墓在正郞公墓後坮上八章前面<인명>崔處仁</인명> 配<인명>東萊鄭氏</인명><인명>峻?</인명>女墓先塋下九章前面<인명>崔山立</인명> 字卓而忌四月四日配<인명>晉州姜氏</인명>忌十二月十日墓在<지명>席洞</지명>默齋公墓西邊十章前面<인명>崔之泰</인명> 配<인명>咸陽文氏</인명>及第<인명>以渭</인명>女忌四月二十四日墓<지명>席洞</지명><인명>默齋</인명>公墓西邊十一章後面<인명>崔景成</인명> 生員參奉忌二月三日配<인명>慶州金氏</인명>忌九月二十八日墓先塋下<인명>崔濱</인명> 忌十月十六日配<인명>扶寧金氏</인명>忌九月二十一墓先塋右合兆<인명>崔大立</인명> 忌正月十三日配<인명>扶安林氏</인명>忌十月二十九日墓殿直公墓西雙兆十二章後面<인명>崔奇男</인명> 忌二月二十七日配<인명>耽津崔氏</인명>忌正月十五日墓殿直公墓東合兆<인명>崔升男</인명> 忌六月十二日墓道東先塋東配<인명>平康蔡氏</인명>忌正月三日墓附左<인명>崔執中</인명> 忌<연도>壬子</연도>十二月十九日墓殿直墓東配<인명>豊川任氏</인명>墓參奉公妣墓西<인명>全州崔氏</인명>族譜卷之五十四章前面<인명>崔昌運</인명> 配晉州柳氏<연도>戊子</연도>八月二十六日墓席洞東麓艮坐十六章前面<인명>崔宗建</인명> 配<인명>晉州柳氏</인명>墓<지명>席洞</지명>西麓丙向雙兆<인명>崔益亨</인명> 配<인명>密陽朴氏</인명>墓<지명>席洞</지명>東麓午向全州崔氏族譜卷之六一章前面<인명>崔景憲</인명> 忌二月三日墓先塋下配<인명>道康金氏</인명>忌五月十五日墓合兆<인명>崔世華</인명> 忌三月三日墓殿直公墓左配<인명>延安金氏</인명><인명>鍵五</인명>女忌七月九日墓合兆十章前面<인명>崔世振</인명> 字巨卿甲辰六月十五日生壬申六月十日卒墓<지명>道東</지명>先塋下十五章後面<인명>崔世休</인명> 配<인명>礪山宋氏</인명>丁巳五月二十一日生己未十月八日卒墓<지명>席洞</지명>西麓丁向十六章前後面<인명>崔鎭宇</인명> 配<인명>扶寧金氏</인명><연도>癸酉生</연도>乙未十月二十五日卒墓<지명>席洞</지명>最上合谷<인명>崔鎭仁</인명> 配<인명>密陽孫氏</인명>墓席洞東麓丙向二十一章後面<인명>崔景斗</인명> 配<인명>坡平尹氏</인명>墓道東先塋下二十二章前面<인명>崔景杓</인명> 字士仰<연도>己丑</연도>生<연도>庚子</연도>九月二十七日卒配<인명>幸州殷氏</인명>墓<지명>席洞</지명>先塋下 合兆<인명>崔世崗</인명> 字君瞻<연도>丁巳</연도>生<연도>戊申</연도>六月十日卒配<인명>慶州李氏</인명>忌八月十四日墓司成公墓西垈下雙兆<인명>崔道東</인명> 字貫之<연도>甲申</연도>生<연도>戊申</연도>正月十四日卒墓席洞配<인명>陽城李氏</인명>配<인명>安東權氏</인명>墓上同二十四章前面<인명>崔景說</인명> 字次仰<연도>戊午<연도>十月三十日生<연도>戊戌</연도>六月二十九日卒墓<지명>扶安</지명>席洞山<인명>處菴</인명>公墓左下二十六章前面十六日墓處菴公墓下二十四章前面<인명>崔雲洪</인명> 字記瑞<연도>庚戌</연도>二月二十九日生忌十月一日墓<지명>席洞</지명>先塋右卯坐三十章前面<인명>崔東權</인명> <연도>庚寅</연도>十一月十三日生<연도>丁丑</연도>四月二十九日卒配<인명>礪山宋氏<</인명>연도>丙戌</연도>十二月一日生<연도>己丑</연도>三月三日卒墓<지명>道東</지명>上岡癸坐上下兆全州崔氏直提學公派世譜卷之丙參奉公派四章後面<인명>崔景晳</인명> 床石誤刻<인명>景哲</인명>字忌五月二十一日墓處菴公墓下右二十八章後面<인명>崔景淵</인명> 字若愚忌六月十六日墓<지명>席洞</지명>先塋下配<인명>咸陽朴氏</인명>墓合兆忌正月五日全州崔氏族譜卷之七三章後面<인명>崔鳳錫</인명> 乙丑生忌甲午墓<지명>席洞<지명>後麓卯向配<인명>全州李氏</인명>墓雙兆全州崔氏直提學公派世譜卷之丙處菴公派六章後面<인명>崔有仁</인명> 字由己忌十一月二十日配<인명>礪山宋氏</인명><인명>淵</인명>女忌十一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辨誣書우ᄂᆞᆫ金珪相側으로부터所謂立証한崔觀錫等의訴狀이라稱한事난其狀內辭意을推察컨대都是虛僞無根한事說일뿐더러況又狀內列書한氏名으로見할지라도九十四人中에四十八人은無証不知한人을記載ᄒᆞ고十四人은或百餘年或幾十年前의死亡한人과或十五歲或十歲未滿한幼稚兒을入錄ᄒᆞ엿시니其狀內事實의虛僞와訴狀의僞造ᄒᆞᆷ은昭然이오니理由를參考ᄒᆞ심을千萬敬要ᄒᆞ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