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권명상(權命相)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權命相 盧軫永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권명상(權命相)이 노진영(盧軫永)에게 광주지역 유림과 관련한 사안에 대해 의견을 보내는 간찰 모년 모월 19일에 경성부(京城府) 사직동(社稷洞)에 머물고 있는 권명상(權命相)이 전남 광산군 지산면 일곡리에 사는 노진영(盧軫永)에게 보낸 간찰이다. 병상에서 신음하던 차에 보내준 편지를 받으니 병마에서 훌훌 벗어난 것만 같아 매우 기뻤다고 인사하고, 추위가 매서운 요즘에 부모님 모시며 지내는 생활은 좋고 어르신 기력도 강건하며, 아드님과 형제분들도 모두 잘 지낸다니 얼마나 좋은 일이냐며 두루두루 안부를 물었다. 그리고 자신은 병이 들었는데 계속 낫지 않아 침통한데다 여러 가지 울화가 솟는 중에 상대방 지역의 유림(儒林)들 사정 때문에 더욱 감내하기 어렵다고 하였다. 큰집이 비록 기둥 가운데가 무너졌더라도 서형(瑞兄)은 형과 의리상 골육과 같고 형세는 입술과 이처럼 밀접한 관계이니, 이 일이 일찍 성사되어 소송을 면하지 못한다면, 무서운 기세로 혼란해질까 염려된다고 하였다. 자신이 병중에 있지만 각처에 서신을 보내 뜻을 알렸다고 하였고, 준상(俊相)씨에게도 안타까운 사정을 비밀리에 말해서 증거 불충분으로 모호하게 얼버무려 각하시켰으니 무슨 어려움이 있겠냐고 하였다. 대개 제비가 장막 위에 둥지를 틀고 물고기가 끓는 솥 속에서 노니는 것은 모두 위태로운 지경에 처했다는 측면에서는 같으니, 모쪼록 깊이 생각해서 신속하게 움직여야 할 것이라고 충고하였다. 자신이 의리상 곧장 가서 주선하면 좋겠지만 병 때문에 여력이 없다고 양해를 구하였다. 또 의견을 모아보니 공연히 광주로 갔다가 도리어 박씨(朴氏) 측에 미움을 사게 된다면 이로움도 없이 도리어 해로운 일이 될 것이라고 하기 때문에 위은장(渭隱丈)에게 별도로 말을 했으니 상대방이 저물녘에 찾아가서 만나면 아무래도 좋을 것 같다고 의견을 제시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拜啓寒床孤卧呻藝之際 卽拜寵翰 若將快脫病魔之網 感欣猶勝於藥餌之靈伏承猛寒比劇省餘體候連禧大庭筋力康健 兼且令允玉昆季 健乳日茁 何等貢賀萬萬處 正是病夫之精神颯爽也 弟一病支離 尙此沈痛 諸般添火中 尤所難堪者 惟貴鄕儒林事情也 大厦雖頹猉里一柱之中支 而瑞兄與貴兄 義同骨肉 勢若脣齒 若此事不早成免訴 恐被燎原之歎 弟雖病中已發書各處 原原致意 而只是王命 㫿手可決 則秘陳矜惻之情於俊相氏 糊塗却下 以証據不充分 則何難之有哉 盖燕賀堂上 魚戱鼎中 共是一類焚歎所在 幸須深算而迅運神籌若何 弟義當直走周旋 然病不餘力 且博採智見公然赴光 反逾增惡於朴邊 不是爲益 反爲害事云云 故在此另頌於渭隱丈矣 兄須乘暮往見 略頓一頂 似當有效矣 諒下必施切仰 舊歲迫紗 不無悵感 瑞兄之情 草草病毫姑閣不備 拜上候十九日夕 權弟命相拜謝【피봉】〈前面〉全南光山郡芝山面日谷里盧軫永氏宅急親展〈後面〉謹封 京城府社稷洞四六寓惟損謹謝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31년 장지성(張至誠)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至誠 康津縣監<着押> 帖子印,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31년(순조31) 강진현(康津縣)에서 장지성(張至誠)에게 발급한 준호구 1831년(순조31) 강진현(康津縣)에서 고금도(古今島) 진리(鎭里)에 거주하는 장지성(張至誠)에게 발급한 준호구이다. 장지성은 현재 43세이고 직역은 한량(閑良)이며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이어서 장지성의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장대운(張大運), 조부는 절충장군 장무량(張武良), 증조부는 장홍(張弘), 외조부는 가선대부 추상련(秋尙連)으로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동거인인 18세 딸인 아지(阿只)는 출가하였다. 형식으로 보면 열서(列書) 방식의 호구단자지만, 관에 제출되어 구호적과 대조 확인을 거친 뒤 강진현감의 서압과 관인 및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을 찍어 제출자에게 되돌려준 것이기 때문에 준호구로 분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86년 장천익(張天翼)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天翼 康津縣監<着押>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86년(정조10) 강진현(康津縣)에서 장천익(張天翼)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발급한 준호구 1786년(정조10) 강진현에서 병오년(1786)의 호적대장을 참고하여 발급한 장천익의 준호구이다. 고금진리(古今鎭里)에 거주하는 호주 장대윤(張大允)에서 개명한 장천익은 현재 42세이고 직역은 대변군관(待變軍官)이며,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이어서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 절충장군(折衝將軍) 장무량(張武良)이고, 조부는 장홍(張弘), 증조부는 장덕룡(張德龍), 외조부는 본관이 김해인 김애현(金愛賢)이다. 처(妻)인 김해김씨(金海金氏)는 현재 42세이다. 이어서 김해김씨의 사조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김위재(金渭載), 조부는 김천석(金天碩), 증조부는 김애명(金愛明), 외조부는 정무현(鄭武賢)으로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정무현은 다른 장대윤의 호구문서에는 정무선(鄭武善)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동일인을 잘못 표기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들 장계득(張啓得)은 현재 22세이다. 맨 뒷부분에 행현감(行縣監)의 압(押)과 관인(官印)이 찍혀 있고, 장방형의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31년 장용이(張龍伊)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龍伊 康津縣監<着押> 帖子印,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31년(순조31) 강진현(康津縣)에서 장용이(張龍伊)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발급한 준호구 1831년(순조31) 강진현에서 신묘 식년의 호적대장을 확인하여 발급한 장용이의 준호구이다. 고금도(古今島) 진리(鎭里)에 거주하는 호주 장용이는 현재 52세의 홀아비이고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아버지는 장대운(張大運), 조부는 절충장군 장무량(張武良), 증조부는 장홍(張弘), 외조부는 가선대부 추상련(秋尙連)으로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장용이가 홀아비이기 때문에 처(妻)에 대한 정보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함께 사는 가족으로는 14세인 딸 하나가 있다. 이 문서의 마지막 행 '경인년(1830) 9월'은 실제 이 문서가 작성되어 관에 제출된 시기이고 등재된 식년은 이듬해이기 때문에 작성연대는 경인년의 다음 해인 신묘년(1831)이다. 호구단자의 열서(列書) 방식으로 작성된 문서이지만 관에 제출되어 구호적과 대조 확인을 거친 뒤 강진현감의 서압과 관인 및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을 찍어 제출자에게 되돌려준 것이기 때문에 준호구로 분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계미년 송계일(宋啓日) 등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宋啓日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계미년 송계일(宋啓日) 등이 향중(鄕中)의 여러 집에 모임 날짜를 통보하는 통문 계미년 송계일(宋啓日) 등 4인이 향중(鄕中)의 여러 집에 모임 날짜를 알리는 통문이다. 선박 3척이 아무 문제 없이 월경(越境)을 한 것은 불행 중 다행이지만, 소요된 비용은 모두 공전(公錢)인데 상납한 것은 유한하니, 다음 달 3일에 본소(本所)에 모여서 이 문제를 논의해보자는 것이 주요 안건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신축년 보소(譜所)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譜所 新里門中 譜所 <押, 着名> 4.8×3.7 1개 (흑색, 직방형)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축년 장씨(張氏) 보소(譜所)에서 신리(新里)의 문중에게 단전(單錢)의 빠른 납부를 독촉하는 내용의 통문 신축년 3월 1일에 장씨의 족보 간행을 진행하는 보소(譜所)에서 신리(新里)의 문중에게 보내는 통문이다. 족보의 간행을 위해 단전(單錢)을 빨리 거두어 보내줄 것을 독촉하는 내용이다. 단전 납부 대상 명단을 보낸 지 며칠이 지났는데 시일을 끌면서 보내지 않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통문이 도착하는 즉시 단전을 보내 갈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달라고 당부하였다. 단전은 족보에 이름을 올릴 때 납부하는 돈으로 명하전(名下錢)이라고도 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8년 박재영(朴載榮)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朴載榮 康津縣監 <着押> 帖子印,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58년에 康津縣監이 幼學 朴載榮(38세)에게 발급한 準戶口. 1858년에 康津縣監이 幼學 朴載榮(38세)에게 발급한 準戶口. *父 學生 千益 祖 學生 碓俊 曾祖 學生 師正 外祖 學生 金龍郁 *주소: 古郡內面 朴東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92년 공명첩(空名帖) 1 고문서-교령류-공명첩 高宗 施命之寶(10.0×10.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742_001 1892년(고종 29) 10월에 임금이 아무개를 통정대부 행돈녕부 도정에 임명하는 공명첩 1892년(고종 29) 10월에 임금이 아무개를 통정대부 행돈녕부 도정(行敦寧府都正)에 임명하는 공명첩(空名帖)이다. 발급 연호에 찍혀있는 '시명지보(施命之寶)' 위에 휘지(諱紙)가 부착되어 있다. 이름이 적혀 있지 않은 공명첩이나 소장자료 '1892년 이규행(李圭行) 고신(告身)'의 임명내용과 발급 연월이 동일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5년 박재영(朴載榮)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朴載榮 康津縣監 <着押> 帖子印,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55년에 康津縣監이 幼學 朴載榮(35세)에게 발급한 準戶口. 1855년에 康津縣監이 幼學 朴載榮(35세)에게 발급한 準戶口. *父 學生 千益 祖 學生 碓俊 曾祖 學生 師正 外祖 學生 金龍郁 *주소: 古郡內面 朴東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0년 박영규(朴榮圭)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朴榮圭 康津縣監 <着押> 帖子印,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0년에 康津縣監이 幼學 朴榮圭(26세)에게 발급한 準戶口. 1870년에 康津縣監이 幼學 朴榮圭(26세)에게 발급한 準戶口. *父 學生 載熹 祖 學生 麟洙 曾祖 學生 碓俊 外祖 學生 任直權 *주소: 古郡內面 朴東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92년 공명첩(空名帖) 5 고문서-교령류-공명첩 高宗 施命之寶(10.0×10.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742_001 1892년(고종 29) 10월에 임금이 유인 아무개를 숙부인으로 추증하는 공명첩 1892년(고종 29) 10월에 임금이 유인(孺人) 아무개를 숙부인(淑夫人)으로 추증하는 공명첩(空名帖)이다. 유인은 정·종9품관의 부인에게 내리는 작호(爵號)이다. 발급 연호에 찍혀있는 '시명지보(施命之寶)' 위에 휘지(諱紙)가 부착되어 있으며, 좌방(左傍)에 추증 사유가 기재되어 있어 통정대부 행돈녕부 도정에 임명된 손자로 인하여 법전에 따라 그의 할머니를 추증한 공명첩임을 알 수 있다. 통정대부 행돈녕부 도정은 이규행(李圭行)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92년 공명첩(空名帖) 6 고문서-교령류-공명첩 高宗 施命之寶(10.0×10.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742_001 1892년(고종 29) 10월에 임금이 유인 아무개를 숙부인으로 추증하는 공명첩 1892년(고종 29) 10월에 임금이 유인(孺人) 아무개를 숙부인(淑夫人)으로 추증하는 공명첩(空名帖)이다. 유인은 정·종9품관의 부인에게 내리는 작호(爵號)이다. 발급 연호 위에 어보인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찍혀있으며, 좌방(左傍)에 추증 사유가 기재되어 있어 통정대부 행돈녕부 도정에 임명된 증손으로 인하여 법전에 따라 그의 증조모를 추증한 공명첩임을 알 수 있다. 통정대부 행돈녕부 도정은 이규행(李圭行)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0년 최동룡(崔東龍)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1810 谷城縣監 崔東龍 谷城縣監<着押> 周挾無改印, □…□(적색, 정방형, 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781_001 1810년에 곡성현 석곡면에 사는 호주 최동룡이 주소와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 등을 기록한 호구단자를 관에 제출하여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준호구 1810년(순조 10)에 곡성현 석곡면에 사는 호주 최동룡이 주소와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 등을 기록한 호구단자를 관에 제출하여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준호구이다. 최동룡의 거주지 주소는 곡성현(谷城縣) 석곡면(石谷面) 운와리(雲臥里) 10통 1호이다. 최동룡은 양인(良人)이고 올해 나이는 62세 기사생(己巳生)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최동룡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학생 귀선(龜善), 할아버지 증가선대부 공조참판 오위도총부 도총관(贈嘉善大夫工曹叅判五衛都摠府副摠管) 성남(聲南), 증조(曾祖) 증통정대부 공조참의(贈通政大夫工曹叅議) 석벽(錫壁), 외조(外祖) 학생 오태위(吳泰位) 본관은 동복(同福)이다. 최동룡의 아내 황씨(黃氏)는 나이 63세 무진생(戊辰生)이며, 본관은 장수(長水)이다. 황씨의 사조는 아버지 학생 경하(慶河), 할아버지 가선대부(嘉善大夫) 진상(進相), 증조 가선대부 서(叙), 외조 학생 김노적(金老迪) 본관은 광산(光山)이다. 이외 가족으로 아들 아기(阿只)가 있으며, 그의 나이는 9세 계해생(癸亥生)이다. 이 문서에 '호구단자(戶口單子)'라고 적혀 있고 호구단자의 기재 형식인 열서(列書)로 되어 있으나 곡성현 관인(官印)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印) 및 곡성 현감의 서압(署押)이 찍혀있으며, 1807년 호적과 대조 확인을 마쳤다는 '정묘식상준인(丁卯式相凖印)'이 적혀 있다. 이는 제출한 호구단자를 구호적(舊戶籍)과 대조 확인을 마친 뒤에 최동룡에게 다시 돌려준 것이므로 준호구로 분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02년 토지전당명문(土地典當明文) 고문서-증빙류-전당문기 張明化 張明化<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2년 장명화(張明化)가 자신의 논 4두락지를 전당 잡히고 100냥을 빌리면서 작성한 전당문기 1902년 장명화(張明化)가 자신이 일궈서 수년 동안 경작해오던 논을 급한 용처가 있어서 전당잡히게 되었는데, 서면(西面) 대평리(大坪里) 방하교(防下橋)에 있는 려자(麗字) 논 2두락지는 70냥에, 그리고 다른 2두락지의 논은 30냥으로 값을 쳐서 100냥을 빌렸다. 전당 기한은 다음해 12월 말일까지로 하였고, 그 안에 갚지 못하고 기한을 넘기게 되면 상대방이 그대로 차지하는 것으로 하였다. 다만 그 논에서 도조(賭租)로 받는 곡식은 전례대로 주고받으며, 훗날 다른 이야기를 할 경우 이 문서가 증빙자료가 될 것이라고 하였다. 다른 증인이나 필집(筆執)은 참석하지 않고 장명화가 자필로 문서를 작성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관성제군신병문(關聖帝君新病文) 고문서-치부기록류-병록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을 물리치는 비방과 부적을 쓰는 방법을 전하는 관성교(關聖敎)의 포교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9년 장지성(張指誠)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指誠 康津縣監<着押> 帖子印,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19년(순조19) 강진현(康津縣)에서 장지성(張指誠)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발급한 준호구 1819년(순조19) 강진현에서 기묘년(1819)의 호적대장을 참고하여 발급한 장지성의 준호구이다. 고금도(古今島) 진리(鎭里)에 거주하는 호주 장지성은 현재 31세이고,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이어서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장대운(張大運), 조부는 절충장군 장무량(張武良), 증조부는 장홍(張弘), 외조부는 가선대부 추상련(秋尙連)으로 본관은 나주이다. 처(妻)에 대한 정보는 없으며, 5살이 된 딸 아지(阿只)가 기재되어 있다. 맨 뒷부분에 행현감(行縣監)의 압(押)과 관인(官印)이 찍혀 있고, 장방형의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2년 장철봉(張哲奉)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哲奉 康津縣監<着押>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22년(순조22) 강진현(康津縣)에서 장철봉(張哲奉)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발급한 준호구 1822년(순조22) 강진현에서 임오 식년의 호적단자를 확인하여 발급한 장철봉의 준호구이다. 고금도(古今島) 진리(鎭里)에 거주하는 호주 장철봉은 현재 49세의 홀아비이고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이어서 장철봉의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장대운(張大運), 조부는 절충장군 장무량(張武良), 증조부는 장홍(張弘), 외조부는 가선대부 추상련(秋尙連)으로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모시고 있는 어머니 추씨(秋氏)는 73세이다. 장철봉에게는 두 딸이 있는데 장녀 아지(阿只)는 출가하였고, 대신하여 호구에 올린 차녀 아지는 11세이다. 장철봉이 홀아비이기 때문에 처(妻)에 대한 정보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맨 뒷부분에 행현감(行縣監)의 압(押)과 관인(官印)이 찍혀 있고, 장방형의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경인년 최성규(崔成奎)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崔成奎 風憲 趙 風憲 趙 [着名] [着押]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인년 9월 사동 오리에 거주하는 유학 전주 최성규의 준호구 경인년 9월 사동(巳洞) 오리(五里)에 거주하던 유학(幼學) 최성규(崔成奎)의 78세(갑술생) 당시 준호구이다. 그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아버지는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겸 오위장을 지낸 최학(崔㶅)이다. 할아버지는 증호조참판겸오위도총부부총관을 지낸 득인(得仁), 증조(曾祖)는 증병조참의승정원좌승지겸경연참찬관인 처렴(處濂)이다. 외조(外祖)는 학생(學生) 임광록(林光祿)으로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처(妻) 김씨(金氏)는 나이 78로 호주와 같은 나이이며 본적은 김해(金海)이다. 처부(妻父)는 학생 지민(志珉), 처조(妻祖)는 통훈대부절충장군행용양위부호군을 지낸 김후(金后)이며, 처증조는 학생 치옥(致玉), 처의 외조는 학생 황천추(黃千秋)로 본관은 장수(長水)이다. 거느리던 식솔로는 아들 유학(幼學) 광훈(光爋, 41세), 그의 아내인 나주 임씨(林氏, 46세), 조카 유학 광룡(光龍, 30세), 조카의 아내 진주 하씨(河氏, 26세)이다. 거느리던 노비로는 노1구와 죽은 여종 1구를 기록했다. 관의 서압과 문서를 기록한 사람으로 보이는 풍헌(風憲) 조(趙)의 착명(着名)이 있다. 관에서 통계를 낸 기록으로 붉은 글자로 14통(統) 4호(戶)가 적혀 있다. 합철되었던 흔적이 구멍으로 남아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3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5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張明化 張明化<着名>, 李益守<着名>, 朴京信<着名>, 任在孝<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3년 장명화(張明化)가 도내(島內) 서면(西面) 신리(新里) 정등평(井墱坪)에 있는 자신의 밭 5두락지를 전문(錢文) 110냥을 받고 누군가에게 방매하면서 작성한 매매명문 1903년 장명화(張明化)가 자신의 밭을 누군가에게 방매하면서 작성한 매매명문이다. 이 밭은 선대로부터 상속받아 수년간 경작해오던 것인데 금년 봄에 많은 사채(私債)로 인해 부득이 방매하게 되었다. 토지 소재지는 도내(島內) 서면(西面) 신리(新里) 정등평(井墱坪)에 있으며, 자호(字號)는 상자(相字)이고 면적은 5두락지이다. 매매가는 전문(錢文) 110냥이다. 이 논의 구문기(舊文記)는 따로 양도하지 않았고 신문기(新文記) 1장만으로 거래가 이루어졌다. 이익수(李益守)와 박경신(朴京信)이 증인으로, 임재효(任在孝)가 필집으로 거래에 참여하여 각각 착명하였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