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9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秋兄伯 秋兄伯<着名>, 秋成照<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9년 추형백(秋兄伯)이 도내(島內) 서면(西面) 신리(新里) 청송평(靑松坪)에 있는 밭 7두락지를 보리이삭[牟穗]과 함께 방매하면서 작성한 매매명문 1909년 추형백(秋兄伯)이 누군가에게 자신의 밭을 방매하면서 작성한 매매명문이다. 이 밭은 자신이 일궈서 수년 동안 경작해온 곳인데 금년 겨울에 부득이한 형편으로 방매하게 되었다고 사유를 적었다. 토지 소재지는 도내(島內) 서면(西面) 신리(新里) 청송평(靑松坪)이며 자호(字號)는 금자(金字)이다. 이 밭 7두락지와 거기에 자라고 있는 보리이삭[牟穗]을 함께 방매하면서 밭은 49냥을 받고 보리이삭은 4냥 9전을 받았다. 문서는 국한문 혼용으로 작성되었고 양식은 전통적인 명문 양식 그대로인데 증서(證書)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2년 박재영(朴載榮)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朴載榮 康津縣監 <着押> 帖子印,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52년에 康津縣監이 幼學 朴載榮(32세)에게 발급한 準戶口. 1852년에 康津縣監이 幼學 朴載榮(32세)에게 발급한 準戶口. *父 學生 千益 祖 學生 碓俊 曾祖 學生 師正 外祖 學生 金龍郁 *주소: 古郡內面 朴東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92년 공명첩(空名帖) 4 고문서-교령류-공명첩 高宗 施命之寶(10.0×10.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742_001 1892년(고종 29) 10월에 임금이 유인 아무개를 정부인으로 추증하는 공명첩 1892년(고종 29) 10월에 임금이 유인(孺人) 아무개를 정부인(貞夫人)으로 추증하는 공명첩(空名帖)이다. 유인은 정·종9품관의 부인에게 내리는 작호(爵號)이다. 발급 연호에 찍혀있는 '시명지보(施命之寶)' 위에 휘지(諱紙)가 부착되어 있으며, 좌방(左傍)에 추증 사유가 기재되어 있어 통정대부 행돈녕부 도정에 임명된 아들로 인하여 법전에 따라 그의 어머니를 추증한 공명첩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규행(李圭行) 어머니의 추증교지인 소장자료 '1892년 서씨(徐氏) 추증교지(追贈敎旨)'와 연관되어 있으며, 추증내용과 발급 연월도 서로 동일하다. 단 서씨의 추증교지에는 '법전에 의해 남편의 직(職)에 따라 봉작한다'는 추증 사유가 방서(傍書)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07년 최동룡(崔東龍)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1807 谷城縣監 崔東龍 谷城縣監<着押> 周挾無改印, □…□(적색, 정방형, 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781_001 1807년에 곡성현 석곡면에 사는 호주 최동룡이 주소와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 등을 기록한 호구단자를 관에 제출하여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준호구 1807년(순조 7)에 곡성현 석곡면에 사는 호주 최동룡이 주소와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 등을 기록한 호구단자를 관에 제출하여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준호구이다. 최동룡의 거주지 주소는 곡성현(谷城縣) 석곡면(石谷面) 운와리(雲臥里) 2통 3호이다. 그는 양인(良人)이고 올해 나이는 59세 기사생(己巳生)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최동룡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학생 귀선(龜善), 할아버지 증가선대부 공조참판 오위도총부 도총관 성남(聲南), 증조(曾祖) 증통정대부 공조참의 석벽(錫壁), 외조(外祖) 학생 오태위(吳泰位) 본관은 동복(同福)이다. 최동룡의 아내 황씨(黃氏)는 나이 60세 무진생(戊辰生)이며, 본관은 장수(長水)이다. 황씨의 사조는 아버지 학생 경하(慶河), 할아버지 가선대부(嘉善大夫) 진상(進相), 증조 가선대부 서(叙), 외조 학생 김노적(金老迪) 본관은 광산(光山)이다. 이외 가족으로 아들 덕련(德連)이 있으며, 그의 나이는 19세 기유생(己酉生)이다. 이 문서에 '호구단자(戶口單子)'라고 적혀 있고 호구단자의 기재형식인 열서(列書)로 되어 있으나 곡성현 관인(官印)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印) 및 곡성 현감의 서압(署押)이 찍혀있다. 이는 제출한 호구단자를 구호적(舊戶籍)과 대조 확인을 마친 뒤에 최동룡에게 다시 돌려준 것이므로 준호구로 분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기묘년 첩보(牒報) 고문서-첩관통보류-첩보 □…□ 2顆 (적색, 정방형, 7.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묘년에 어느 고을의 수령이 관찰사의 감결 내용에 따라 면검(面檢)과 리검(里檢)의 성명과 오가작통(五家作統)의 소명성책(小名成冊)을 작성하여 보고하는 내용의 첩보 기묘년 8월 25일에 작성된 첩보의 일부분이다. 점련된 문서의 일부로 보이고, 어느 고을의 수령인지는 알 수 없으나, 관찰사가 감결(甘結)을 통해 내린 지시를 수행하고 나서 그 내용을 관찰사에게 보고하는 내용이다. 관찰사가 감결을 통해 지시한 내용은, 백성들에게 도둑들의 피해가 막심하므로 이를 뿌리 뽑기 위한 방책으로 면(面)에는 면검(面檢)을, 리(里)에는 리검(里檢)을 두며, 오가작통(五家作統)에는 통수(統首)를 두어서 이웃에서 아침저녁으로 경비를 하여 좀도둑을 정탐하고 살핀다면 강도가 나타나는 대로 힘을 합쳐 붙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강도를 붙잡으면 리에서는 면에 보고하고, 면에서는 해당 관(官)에 보고하며 진(鎭)을 거쳐 감영(監營)에까지 보고하게 되면 도적들을 깨끗이 소탕할 수 있을 것이므로, 리검과 면검의 성명 및 오가작통의 소명성책(小名成冊)을 먼저 보고하라는 내용이다. 이 지시를 거행한 수령이 지시대로 작성하여 관찰사에게 올려 보내면서 이 문서가 작성되었다. 오가작통법은 민호(民戶) 다섯 집을 한 통(統)으로 편성하는 호적법으로, 범죄자의 색출과 세금의 징수, 부역의 동원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시행한 제도이고, 통 내의 한 사람을 골라 '통수'로 삼아서 통 내의 일을 관장하게 하였다. 소명성책은 성명을 기록해서 책으로 만든 것인데, 어느 사안에 따른 인적사항과 세부 조목 등을 분류하여 정리한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4년 김성기(金成基) 서간(書簡) 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金成基 盧軫永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845_001 1934년 9월 9일, 제 김성기가 노진영에게 원지의 간행 중 미리 언급했던 보충 후원비를 보내주기를 청하는 내용으로 보낸 서간. 1934년 9월 9일, 제(弟) 김성기(金成基)가 원지(院誌)의 간행 일정을 전하고 전의 편지에서 언급했던 보충 후원비를 보내주기를 청하는 내용으로 노진영(盧軫永)에게 전한 편지이다. 지난번의 답장에 감사하다고 전한 후 9월인 지금의 선생 되시는 아버님과 상대 및 가족의 안부를 물었다. 자신은 여전히 못난 모습으로 지낸다며 인사하고 현재 원지(院誌)를 교정하는 일에 골몰하고 있다고 했다. 간비(刊費)로 곤란을 겪어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며 다음 달 말일내로 간행에 들어가 장책(粧冊)할 계획이라고 했다. 지난번 형의 편지에서 많은 금액을 보충해 주겠다고 했던 것을 언급하며 지난번에 말씀하셨던 10엔(円)의 돈을 이달 20일 내로 보내주시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8년 노도기(盧道基)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盧道基 盧軫永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8년 3월 21일, 종생 노도기가 노진영에게 약을 보내면서 안부를 전한 서간. 1938년 3월 21일, 종생(宗生) 노도기(盧道基)가 노진영(盧軫永)에게 약(藥)을 보내면서 안부 를 전한 서간이다. 아이가 집에 돌아오면서 상대의 편지를 받았다며 아프신데가 아직 완쾌하지 않았다고 하여 걱정이 매우 심하다고 했다. 자신의 뜻대로 주제통성산(酒製通聖散)을 지었으니 즉시 시복해 보시는 것이 좋겠다고 하며 어떤 상황에서는 좋지 않으니 조금씩 맛보고 시험하다가 만약 맞지 않는다면 아버지께 올려도 좋을 듯 하다고 했다. 보름에 여러 종씨가 모여서 제향(祭享) 드린다고 하니 매우 축하한다고 전하고 각 분들께 편지 쓰지 못하니 문안드린다는 뜻을 전해주기를 바란다고 했다. 또한 약을 시험해보고 나서 즉시 회답해 주기를 바란다는 인사로 편지를 마쳤다. 주제통성산은 구성 약재를 모두 술로 법제하여 만든 처방으로 오늘날의 뇌출혈, 고혈압, 동맥경화증, 변비증, 주사비, 치질, 피부병, 축농증, 안병, 당뇨병, 천식, 비만증 및 각기, 단독, 지방심, 만성신염 등에 적용하는 약재이다. 발신자 노도기의 본관은 광주(光州), 호는 남오(南塢)이다. 노도기는 하의도 인근에 있는 비금도(飛禽島)의 유림으로 1921년 대동사문회(大同斯文會) 지회장을 지낸 인물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8년 송조헌(宋祖憲)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宋祖憲 盧軫永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8년 4월 2일, 송조헌이 노진영에게 경현사 출향 문제로 보낸 서간. 1938년 4월 2일, 송조헌(宋祖憲)이 노진영(盧軫永)에게 경현사(景賢祠) 출향(黜享) 문제로 보낸 서간이다. 4월의 날씨에 상대가 안녕한지 안부를 묻고 자신은 못난 모습 여전하다고 했다. 주요 내용은 지난달 10일에 상대가 경현사(景賢祠)의 여러 사람들 중에서, 출향(黜享)하는 일로 원지(院誌)를 복판(覆板)할 뜻에 서명을 하여 본래의 후예 되는 각 집들에 발표했는데, 이것이 무슨 까닭이냐고 말하고, 자신과 더불어 별로 큰 혐의가 없었는데, 무슨 일이냐며 상세히 대답해 주기를 바란다고 했다. 출향은 경현사에 모신 위패를 거두어 들여 제향을 철회하는 일을 말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을미년 김재규(金在珪) 단자(單子)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金在珪 城主 城主<着名> □…□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을미년 10월에 김재규가 제 고을 수령에게 자신이 맡은 성묘의 직임을 감당할 만한 사람에게 이임해줄 것을 청원한 단자 을미년 10월에 김재규가 제 고을 수령에게 자신이 맡은 성묘(聖廟)의 직임을 감당할 만한 사람에게 이임(移任)해줄 것을 청원한 단자이다. 자신은 평소 가난한 탓에 근래 농사짓고 사느라 동서로 분주한 미천한 몸으로 막중한 성묘의 직임을 외람되게 맡아 분수에 지나치니 백성을 긍휼히 여기는 마음으로 자신을 대신하여 직임을 잘 수행할 수 있는 단아하고 민첩한 사람에게 직임을 맡겨주실 것을 어리석음을 무릅쓰고 아뢴다는 내용이다. 이 단자에 대해 본관(本官)은 10월 16일에 '단자로 아뢴 바가 이와 같더라도 하는 수 없으니 부응하라'는 처분을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92년 이시준(李時濬) 추증교지(追贈敎旨) 고문서-교령류-고신 高宗 李時濬 施命之寶(10.0×10.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742_001 1892년(고종 29) 10월에 임금의 명에 따라 이시준을 통정대부 승정원 좌부승지에 추증한 추증교지 1892년(고종 29) 10월에 임금의 명에 따라 이시준(李時濬)을 통정대부 승정원 좌부승지(承政院左副承旨)에 추증(追贈)하면서 발급한 추증교지이다. 발급 연호 위에 어보(御寶)인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찍혀있으나 연호의 좌방(左傍)에 추증사유를 방서(傍書)하는 추증식(追贈式)의 형식과 달리 추증의 사유가 생략되어 있다. 이시준은 이규행(李圭行)의 할아버지로, 이규행이 통정대부로 임명됨에 따라 그도 함께 추증된 것으로 보인다. 승정원 좌부승지는 정3품 당상관으로 승정원에 두었던 6방 중 병방(兵房)을 맡아 병조(兵曹)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으며, 1894년 관제개혁 때 좌부승선(左副承宣)으로 바뀌면서 없어졌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92년 이인열(李仁烈) 추증교지(追贈敎旨) 고문서-교령류-고신 高宗 李仁烈 施命之寶(10.0×10.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742_001 1892년(고종 29) 10월에 임금의 명에 따라 이인열을 통정대부 병조참의에 추증한 추증교지 1892년(고종 29) 10월에 임금의 명에 따라 이인열(李仁烈)을 통정대부 병조참의(兵曹參議)에 추증(追贈)하면서 발급한 추증교지이다. 병조참의는 정3품 당상관직이다. 발급 연호 위에 어보(御寶)인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찍혀있으나 연호의 좌방(左傍)에 추증의 사유를 방서(傍書)하는 추증식(追贈式)의 형식과 다르게 추증의 사유가 생략되어 있다. 이인열은 이규행(李圭行)의 증조부로, 이규행이 통정대부로 임명됨에 따라 그도 함께 추증된 것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92년 강씨(姜氏) 추증교지(追贈敎旨) 고문서-교령류-고신 高宗 姜氏 施命之寶(10.0×10.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742_001 1892년(고종 29) 10월에 임금의 명에 따라 이규행 처 강씨를 숙부인으로 추증한 추증교지 1892년(고종 29) 10월에 임금의 명에 따라 강씨(姜氏)를 숙부인(淑夫人)으로 추증(追贈)한 추증교지이다. 숙부인은 정3품 당상관의 부인에게 내리는 작호(爵號)이다. 발급 연호 위에 어보(御寶)인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찍혀있으며, 연호 좌방(左傍)에 '법전에 의해 남편의 직(職)에 따라 봉작한다[依法典從夫職]'라는 추증 사유가 기재되어 있다. 이 추증은 이규행(李圭行)의 임명과 함께 그의 부인과 3대를 추증한 데에 따른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01년 최동룡(崔東龍)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1801 谷城縣監 崔東龍 谷城縣監<着押> 周挾無改印, □…□(적색, 정방형, 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781_001 1801년에 곡성현 석곡면에 사는 호주 최동룡이 주소와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 등을 기록한 호구단자를 관에 제출하여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준호구 1801년(순조 1)에 곡성현 석곡면에 사는 호주 최동룡이 주소와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 등을 기록한 호구단자를 관에 제출하여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준호구이다. 최동룡의 거주지 주소는 곡성현(谷城縣) 석곡면(石谷面) 운와리(雲臥里) 7통 1호이다. 최동룡은 양인(良人)으로 올해 나이는 53세 기사생(己巳生)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최동룡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학생 귀선(龜善), 할아버지 증가선대부 공조참판 오위도총부 도총관 성남(聲南), 증조(曾祖) 증통정대부 공조참의 석벽(錫壁), 외조(外祖) 학생 오태위(吳泰位)이다. 최동룡의 아내 황씨(黃氏)는 나이 54세 무진생(戊辰生)이며, 본관은 장수(長水)이다. 황씨의 사조는 아버지 학생 경하(慶河), 할아버지 가선대부(嘉善大夫) 진상(進相), 증조 가선대부 서(叙), 외조 학생 김노적(金老迪) 본관은 광산(光山)이다. 최동룡이 모시고 사는 어머니 오씨(吳氏)의 나이는 82세 경자생(庚子生)이며, 본관은 동복(同福)이다. 이 문서에 '호구단자(戶口單子)'라고 적혀 있고 열서(列書) 형식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곡성현 관인(官印)과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 및 곡성 현감의 서압(署押)이 찍혀있다. 이는 제출한 호구단자를 구호적(舊戶籍)과 대조 확인을 마친 후 최동룡에게 다시 돌려준 것이므로 준호구로 분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92년 서씨(徐氏) 추증교지(追贈敎旨) 고문서-교령류-고신 高宗 徐氏 施命之寶(10.0×10.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742_001 1892년(고종 29) 10월에 임금의 명에 따라 이보승 처 서씨를 정부인으로 추증한 추증교지 1892년(고종 29) 10월에 임금의 명에 따라 서씨(徐氏)를 정부인(貞夫人)으로 추증(追贈)한 추증교지이다. 정부인은 정·종2품관의 부인에게 내리는 작호(爵號)이다. 발급 연호 위에 어보(御寶)인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찍혀있으며, 연호 좌방(左傍)에 '법전에 의해 남편의 직(職)에 따라 봉작한다[依法典從夫職]'라는 추증 사유가 기재되어 있다. 서씨는 이규행(李圭行)의 어머니로, 이규행의 임명과 함께 그녀의 남편인 이보승(李普升)이 종2품인 가선대부 호조참판에 추증됨에 따라 남편의 품계에 맞춰 함께 추증된 것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8년 이문량(李文亮)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李文亮 盧軫永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8년 1월 27일, 형 이문량이 노진영에게 이거한 거주지에 땅을 양보해 줄 것을 요청한 내용으로 보낸 서간. 1928년 1월 27일에 형(兄) 이문량(李文亮)이 노진영(盧軫永)에게 이거한 거주지에 땅을 양보해 줄 것을 요청한 내용으로 보낸 서간(書簡)이다. 오랫동안 막힌 회포를 풀지 못하고 또 한해가 지났다며 최근 혹심하게 추운 봄에 상대가 안녕한지, 가족도 모두 잘 있는지 안부를 물었다. 자신은 근래 감기와 치통으로 여러날 일어나지 못했다는 것, 이것이 반세상을 살았기 때문이냐며 한탄했다. 그리고 새로 우거하는 곳에 한 마디의 농토도 없어서 어찌해야할지 모르겠다며 살기가 실로 어렵다고 했다. 생각하고 생각하다가 염치가 없지만 다시 말한다며 아우가 특별히 전에 없던 규정으로라도 논 5두락을 옮겨 주어서 외롭게 사는 자신이 살아가는 업(業)로 삼도록 해 달라고 했다. 자신의 몸이 회복되는 날 즉시 만나러 가겠다고 하고 박 형(朴兄)이 말로 다 전해줄 것이라고 했다. 협지에는 옥(玉)으로 짠 자리 1립을 보낸다며 정으로 받아 달라고 청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9년 박태경(朴泰慶)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朴泰慶 盧軫永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9년 3월 9일에 제 박태경이 노진영에게 소작문제로 보낸 서간. 1929년 3월 9일에 제(弟) 박태경(朴泰慶)이 노진영(盧軫永)에게 소작(小作)문제로 보낸 서간(書簡)이다. 상대의 안부를 묻고 자신은 우선 전과 같이 지낸다고 했다. 드릴 말씀은 봉납조(奉納條)가 막대한 것은 매우 황공하여 말로 할 수 없다는 것, 그 토지가 폐답(廢畓)이라고 말한 것은 잠시 유감스런 말이며, 가뭄으로 폐답이 되었다고 한 것은 미리 재앙이 있을 것을 예상하는 것과 같으니 이것은 안심하시라는 내용이다. 상대가 여러 가지를 이유로 주지 못하는 논에 대하여 자신이 경작해 보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규격지에 국한문혼용으로 글을 썼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5년 봉산정사(鳳山精舍) 서간(書簡) 2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鳳山精舍 盧軫永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5년 1월, 스승님 장사를 지낸 다음날에 봉산정사의 임언재 등 5명이 노진영에게 봉산정사 후원금에 관해 전한 서간. 1935년 1월, 스승님 장사를 지낸 다음날에 봉상정사(鳳山精舍)의 임언재(任漹宰) 등 5명이 노진영(盧軫永)에게 봉산정사(鳳山精舍) 후원금에 관해 전한 서간이다. 여기서 스승님은 고광선(高光善, 1855~1934)을 말한다. 지난번의 공부하다가 갑자기 이별하게 되어 슬펐다는 인사로 편지를 시작했다. 당후(堂候)가 안녕하신지 안부를 묻고 본론을 이야기 했다. 편지의 본론은 이번에 우리 선생님의 장례를 다행히 여러 분들이 스승을 존경하고 정성(精誠)을 다한 덕분에 잘 치렀다고 인사한 후 장례비용으로 부족하여 빌려준 돈들에 대해 언급하였다. 이번 장례비용은 우리 문도들이 제공한 것으로 부족한 액 300여 엔을 마련하기 위해 각자 돈을 50엔에서 70엔에 이르기까지 빌렸다며 이것을 설명하고 귀 문중에서 빌려온 돈 70엔을 양해해 달라는 내용이다. 장례를 치른 다음날짜로 편지를 썼으며 편지의 발신인은 인언재(任漹宰), 이재춘(李載春), 유병구(劉秉龜), 나종우(羅鍾宇), 윤경혁(尹璟赫) 5인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2년 장지성(張之誠)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之誠 康津縣監<着押> 帖子印,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22년(순조22) 강진현(康津縣)에서 장지성(張之誠)에게 발급한 준호구 1822년(순조22) 강진현(康津縣)에서 고금도(古今島) 진리(鎭里)에 거주하는 장지성(張之誠)에게 발급한 준호구이다. 장지성은 현재 34세이고 직역은 한량(閑良)이며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앞의 준호구에 나온 장지성(張指誠)과 동일인이다. 이어서 장지성의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장대운(張大運), 조부는 절충장군 장무량(張武良), 증조부는 장홍(張弘), 외조부는 가선대부 추상련(秋尙連)으로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동거인은 9세 딸인 아지(阿只)이다. 형식으로 보면 열서(列書) 방식의 호구단자 형식이지만, 관에 제출되어 구호적과 대조 확인을 거친 뒤 강진현감의 서압과 관인 및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을 찍어 제출자에게 되돌려준 것이기 때문에 준호구로 분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44년 장무량(張武良)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武良 康津縣監<着押> 周挾無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44년(영조20) 강진현(康津縣)에서 장무량(張武良)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발급한 준호구 1744년(영조20) 강진현에서 갑자년(1744)의 호적대장을 참고하여 발급한 장무량의 준호구이다. 고금도(古今島) 진리(鎭里)에 거주하는 호주 장무량은 현재 41세이고 직역은 군관(軍官)이며,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이어서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무학(武學) 장홍(張弘), 조부는 장덕룡(張德龍), 증조부는 장구전(張九全), 외조부는 무학(武學) 김선안(金善安)이고 본관은 김해이다. 처 김소사(金召史)는 41세이고 본관은 김해이다. 김소사의 아버지는 김애련(金愛連), 조부는 김실(金實), 증조부는 김연삼(金延三), 외조부는 김원병(金元炳)이다. 어머니 김소사는 86세이고, 아들 금생(今生)은 태언(泰彦)으로 개명하여 현재 11세이고, 둘째 아들 대언(大彦)은 3세이다. 맨 뒷부분에 행현감(行縣監)의 압(押)과 관인(官印)이 찍혀 있고, 장방형의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83년 장대은(張大銀)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大銀 康津縣監<着押>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83년(정조7) 강진현(康津縣)에서 장대은(張大銀)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발급한 준호구 1783년(정조7) 강진현에서 계묘년(1783)의 호적대장을 참고하여 발급한 장대은의 준호구이다. 고금진리(古今鎭里)에 거주하는 호주 장대은은 현재 32세이고 직역은 대변군관(待變軍官)이며,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이어서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절충장군(折衝將軍) 장무량(張武良), 조부는 장홍(張弘), 증조부는 장덕룡(張德龍), 외조부는 김애현(金愛賢)으로 본관은 김해이다. 처(妻) 한씨(韓氏)는 27세이고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처의 아버지는 한덕영(韓德永), 조부는 한신재(韓信載), 증조부는 한득계(韓得戒), 외조부는 김상원(金尙元)으로 본관은 김해이다. 맨 뒷부분에 행현감(行縣監)의 압(押)과 관인(官印)이 찍혀 있고, 장방형의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