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跋辭爲等如各人等招辭是置有亦蓋此山一訟厥有層節積年擾鬧無異吳楚之爭牒歷世怨嫌不啻越秦之視瘠屢犯 蹕路是非各歸一邊互陳狀辭曲直不待兩招是如乎 先審山形更詳輿論則<지명>席洞</지명>之山斗起一峰向南之麓列如川字東二麓爲金山西一麓爲崔山累累入葬世世聚骨是乎所今此少尹墓在於崔山之西合谷之下而東邊有<인명>崔仁鑑</인명>等先世六塚四邊有<인명>崔榮權</인명>之高祖一塚或掘壙中幾至屍骸或去莎土纔經分寸此則掘塚之形止也松楸段大者如柱小者如椽長養蓊蔚延袤廣濶樵牧之所指點行路之所健羨是去乙拓開墓門斫去山麓此多彼寡雖難準信執端折衷庶可斟量崔狀五六萬云者頗近增価金招七十兩云云者亦涉減竈執此幅圓較彼松田則竝其大小洽爲万餘株是乎乃根之見在者少掘去者多而已掘者爲莎所塡摘奸時猝難執數以若臆料不可質言此則斫松之大槪也斫彼萬株連抱之松已是不良掘此七箇枯骨之塚尤極絶悖竊念七月短宵之時宵非獨辦之事而掘律恐或及已諸金具曰不知中略會査官<관직명>行郡守</관직명> [華押]<관직명>行>府使</관직명> [華押]--京兆關文<관청명>漢城府</관청명>爲相考事卽接道內<지명>扶安</지명>幼學<인명>崔俊煥</인명>所訴則<인명>金弘濟</인명>等之誣捏罪惡萬戮猶輕分叱除良七塚私掘而以有主謂無主誣圖關文今欲更屈凶莫凶矣渠墓旣失於高麗之世而做此借葬之說欲奪四百年守護之地拔賣萬餘株連抱之松潛掘二百年年久之塚變莫變矣曲直自歸於絶約是非亦判於緊歇其在按公寧不憤痛裁卽蒙 啓敎之截嚴還推山之還封七塚而今又圖去關文囑囚崔民謀奪謀掘敢藉<연도>庚申</연도>暗造之券此不知 王章之爲鄭重但知欺瞞之爲得計究厥所爲萬萬驚駭不能的知渠墓之眞贋而構捏謀掘者專爲奪松之計也設令渠祖借葬於四百年之前欲奪於四百年之後以彰其祖之惡抑何道理甚至於天聽文字亦皆誣罔專事圖奪揆以典憲不可揜過玆以發關爲去乎到卽關於該邑日前爲金之關文還收上送是遣<인명>金弘濟</인명><인명>金用均</인명><인명>金文濟</인명>依律定罪謀掘之塚嚴飭禁斷前後構誣文券卽推燒火山地及松価不日內一一推給仍成公案俾戢狡獝之惡習卽爲馳報爲當者--<관직명>扶安縣監</관직명>書目本縣民<인명>金弘濟</인명>等所納松価幾許間裁減事處分行下狀<연도>同治十一年</연도>八月初八日<관직명>行縣監</관직명> <인명>鄭</인명>松價之定數營亦不可增減是在果大抵以其數不可擬議更加嚴督期於不日收屬後形止馳報向事<연도>壬申</연도>八月初十日<관직명>兼使</관직명> [華押]--<연도>癸酉<연도>二月初四日 甘結節到付<관청명>刑曹</관청명>關內卽到貴移<지명>扶安</지명><인명>金弘濟</인명>處松価懲捧錢二萬五千兩內一萬兩捧留一萬兩出給<인명>崔光權</인명>後捧標五千兩還給成冊幷爲入 鑑是在果大院位敎是 分付內松価捧留錢一萬兩卽速上送于營造所是矣有山然後有松捧価者爲山主不待更卞是如乎<인명>金弘濟</인명>前後訟牒一一現納官庭爻周是遣復或以此起訟之弊則當有別般嚴繩矣以此捧侤放送爲旀同侤音堅封上送事奉分付玆以發關爲旀<인명>崔光權</인명>標粘連還送爲去乎到關卽時相考擧行爲旀形止亦卽回移以爲入鑑憑處之地宜當向事關是置有亦本縣民金崔山訟今始決末誠甚豁然捧留錢一萬兩今方上送于營造所是在果<인명>崔光權</인명>所捧一萬兩標紙任置營賑庫以爲日後憑考是遣<인명>金弘濟</인명>段其前後訟牒官庭現納卽爲爻周以更勿起訟之意捧侤音上送而<인명>弘濟</인명>卽爲放送牒報宜當者<관직명>兼使<관직명> 華押--<연도>癸酉</연도>二月十九日爲牒報事卽得到貴移<관청명>刑曹</관청명>關據使甘結內節到付<관청명>刑曹</관청명>關內卽到貴移<지명>扶安</지명><인명>金弘濟</인명>處松価懲捧錢二萬五千兩內一萬兩捧留一萬兩出給<인명>崔光權</인명>後捧標五千兩還給成冊竝爲入鑑是在果大院位敎是分付內松価捧留錢一万兩卽速上送于營造所是矣有山然後有松捧価者爲山主不待更卞是如乎<인명>金弘濟</인명>處前後訟牒一一現納官庭爻周是遣復或以此起訟之弊則當有別般嚴繩矣以此捧侤放送爲旀同侤音堅封上送事奉 分付玆以發關爲旀<인명>崔光權</인명>標粘連還送爲去乎到關卽時相考擧行爲旀形止亦卽回移以爲入鑑憑處之地宜當向事關是置有亦本縣民金崔山訟今始決末誠甚豁然捧留錢一萬兩今方上送于營造所是在果<인명>崔光權</인명>所捧一萬兩標紙任置營賑庫以爲日後憑考是遣<인명>金弘濟</인명>段其前後訟牒官庭現納卽爲爻周以更勿起訟之意捧侤音上使以爲上送之地而<인명>弘濟</인명>卽爲放送牒報宜當者甘結是置有亦本縣民<인명>金弘濟</인명><인명>崔光權</인명>等竝招致謹將甘辭仍各曉諭前後訟牒一一責現於<인명>金弘濟</인명>處則其所告內今此訟斷始起於去<연도>庚申年</연도>間而同決訟時文券十二丈其翌<연도>辛酉</연도>四月日因營甘分界息訟次幷與崔隻文券而上送營門仍爲未推是乎乙遣其後可據文券六七丈昨年間呈籲 <인명>雲峴</인명>時粘連原狀以上矣未承題敎旋有矣身押付<관청명>完營</관청명>之處分蒼黃赴捉之際果未知狀卷之何處下落而目今矣身處留在之卷只是<연도>庚申</연도>決訟時山地立案一卷辛酉刑配時卞誣與松価寃懲呼訴等狀二十六丈故玆以現納而更無餘存是如爲乎旀<인명>崔光權</인명>所告內<인명>金弘濟</인명>等之<연도>庚申</연도>起訟實因於康熙年間僞牒留在之故而<연도>哲廟朝</연도>判決嚴明之有刑配之典猶不知戢出沒京鄕惹起鬧端矣今番京營關敎深軫後弊前後文券現納使之爻周然後可杜後弊是如爲有置蓋此前後訟券之爻周寔出於杜後弊之處分則自邑擧行有不容疏忽是如乎<인명>金弘濟</인명>所納之券雖爲數十餘張而崔民所供之中旣以緊藏歇現爲告故果爲訴考金券則初無立落緊切之案只有營邑尋常之狀以若積年互相勝負之訟豈無得失可據之蹟哉緊藏歇現果如崔說分叱除良崔說中金民等之庚申起訟實緣<연도>康熙戊申</연도>僞牒留在云者於此可驗而其所日後更鬧之計不見是圖今若任他匿券不入於爻周則恐難免不審之責故前後訟牒嚴加申飭使之逐一現納則惟彼<인명>弘濟</인명>只懷落科之憾瞀不畏法自同几肉屢度責現一直拒納雖以<인명>雲峴</인명>呈籲時可據文券粘連遺落之說觀之計出粧撰極涉痛惋而文券捧侤反致葛藤其在奉分付擧行之道事甚憂悶乙仍于同<인명>金弘濟</인명>嚴囚緣由槪報使敎是別般嚴飭現納文券事處分爲只爲巡營官 華押--<관직명>부안현감</관직명>書目本縣民<인명>金弘濟</인명>嚴囚現納文券事緣由狀<연도>同治十一年</연도>二月二十日行縣監 <인명>鄭</인명>所謂文券隨所納一一爻周亦捧侤音則設或有如干藏置之文券焉敢更起卽速擧行向事<연도>癸酉</연도>二月卄三日<관직명>兼使</관직명> [華押]--營門完文 <연도>乙丑</연도>十二月右完文事段<지명>扶安</지명>士人<인명>崔鳳煥</인명>十三世以下繼葬數百墓之地在於本縣席洞山西一麓無弊守護爲四百餘年而昭載於金譜及邑案矣粵在百餘年前縣人<인명>金達壽</인명>等以崔山局內自古諺傳一大竹墳謂渠遠祖少尹失傳之墓而始自尋護此雖未能的知其墓之眞贋而渠旣稱渠祖之墓則祗守其墓於理當然不意去<연도>庚申年</연도>冬<인명>達壽</인명>之後孫<인명>金邦濟</인명><인명>弘濟</인명>等敢生壑慾暗圖<관청명>京兆</관청명>關文欺瞞營邑而發賣松楸奪燒文蹟酷刑四人兼奪山地潛掘年久七塚則崔民兩次鳴金至蒙截嚴之判敎被掘之塚還封築山地松楸始得還推 啓下一律罪人<인명>金邦濟</인명>止爲久囚<인명>弘濟</인명>等皆爲定配而見斫松楸枯(姑)未推価囚竄諸金族卽蒙放可謂於渠則幸矣而至於崔民被掘之寃尙未快伸況此四百年禁護之地及屢萬株連抱之松一朝見失於讎人之乎其所血寃容有極乎凶彼<인명>弘濟</인명>等素以蔑法流甚至於天聽文字亦皆誣罔以私掘七塚一曰崔塚六曰古塚云究厥所爲死有餘罪而不遵 啓敎之嚴重不有營邑之査決藉渠吏族之權恃渠賄囑之勢而以啓下還封之塚謂之以私封更欲謀掘以啓下還推之地稱之以渠山而渠亦有完文云此是前前官見欺暗造者也且其後以爲道査至於上徹始爲歸正則此文將焉用之乎每率無賴更斫餘木甚至於旌閭前各種屢百年古木近又亂斫謀毁旌閭墓幕內懷都占之計外做定界之言果欲定界則所謂少尹墓前後左右皆是崔塚則何以定界乎强欲定界則此亦法外之悖類抑亦化外之亂氓大抵累百年守護之地忽於一朝圖奪凶習旣至此極而亦將越視則民何保其先塋國安用乎定法蔽一言旣有啓敎之鄭重且有營邑之斷案則山地松楸專屬崔民所謂少尹墓則使金守護事合穩當矣自今以往山地松楸永屬崔民雖一片土一箇木莫非崔民之有則金民更不得犯着之意成給完文日後諸金中不悛前習若更起鬧則非徒荷杖且係不法以此文永久遵行宜當事--判決書<지명>扶安</지명><인명>金周相</인명><인명>崔斗榮</인명>兩家先壟俱在於席洞山而積年爭訟曲直之際得失相半京營之間斷案各有矣今又<인명>崔佾榮</인명>告訴于高等裁判所有承合場質査之指令而(兩)隻幷招致府庭屢回對質參考狀軸則崔塚之督掘理所不當松価之責還尤非可論惟其息訟之方只在定界而各守故(護)使於今番巡邑之行歷過是郡招待兩隻于山處仍與郡守同往躬審形便劃定界限後兩隻處捧侤音永爲妥帖而兩家前後訟軸一切燒却是遣今此判決書五件成出一本粘付報告于高等裁判所二本分置府郡二本分給兩家是如乎准此憑後事<지명>扶安郡</지명>席洞山金崔兩塚分界限標自金少尹墓至<인명>崔榮權</인명>墓爲四十四步四尺內半分二十二步二尺式定界自金少尹墓西至田頭爲七十八步三尺九寸內半分三十九步一尺九寸式定界自金崔塚半分處西至二十五步三尺六寸定界處上至上小路三十七步三尺定界自金少尹墓左東至八步三尺五寸自上北小路下直至南畓頭定界金崔兩家總代員幼學<인명>崔斗榮</인명>年四十八白幼學<인명>崔鴻</인명>坰年五十一白幼學<인명>崔仁灃</ 명>年四十二白幼學<인명>金周相</인명>年六十二白幼學<인명>金東容</인명>年五十五白幼學<인명>金洛瑾</인명>年五十七白白等矣等兩家先壟今旣定界準此施行無相起閙是遣前後兩邊訟軸一切燒火而兩隻文蹟中設有漏落者此是燼餘之物不足憑以此納侤事<연도>光武二年</연도>十月日裁判所判事 <인명>李完用</인명>(印)山在官<관직명>郡守</관직명> <인명>兪鎭哲</인명>(印)主事 <인명>郭昌根</인명>(印)--<연도>戊戌</연도>十月初五日幼學</인명>金周相</인명>年六十二白等矣等兩家先壟旣觀察使道親審定界而兩隻文軸亦於當場燒却然兩隻間慮有遺漏文軸互相爲言而矣家遺落七張今又覓納付丙則以更無他軸之意納侤以此憑後敎事官(印) 白啣--告示 崔門中金崔兩家山地分界各捧手本報告于觀察府回題內松是崔民之養已爲斫伐出給後更報敎是故以此意已爲告示於金門中是在果松楸段令到卽時使之斫伐以去形止馳報以爲轉報之地事再令到形止卽爲馳報次<연도>戊戌</연도>十月二十九日官(印)--地籍屆証明願地籍屆人住所氏名<지명>扶安郡保安面牛東里</지명><인명>崔炳郁</인명>不動産ノ表示<지명>扶安郡扶安面蓮谷里</지명>(席洞山)一.林野拾五町三反三畝二十八步右林野ニ対スル地籍屆ナシタルコトヲ御証明相成度此段奉願候也<연도>大正拾一年</연도>貳月四日右<인명>崔炳郁</인명><관직명>扶安郡守</관직명> 殿前記之通相違無之事証明ス<연도>大正拾壹年</연도>貳月四日<관직명>扶安郡守</관직명>(印)提出ᄒᆞᆫ地籍報告三度ᄂᆞᆫ本日에接受事<연도>隆熙四年</연도>六月九日<관청명>農商工部山林局</관청명>(印)--扶庶第六四八号出願者 <인명>崔炳郁</인명><연도>大正拾年</연도>二月二十五日付願私有林伐採의採取ノ件左와如히ノ通リ許可ス<연도>大正拾年</연도>三月五日<관직명>扶安郡守</관직명> 印記一.林野/所在 <지명>扶安扶寧面蓮谷里</지명>席洞山麓一.面積 元十五町三反三畝二十八步內二町-反-畝-步一.樹種別 針葉樹一.伐採採取數量 一○本一.伐採採取其間 三月十六日迠下略--扶庶第二.八九一号出願者 <인명>崔炳郁</인명><연도>大正拾年</연도>十月十一日付願私有林伐採의採取ノ件左와如히ノ通リ許可ス<연도>大正拾年</연도>十月卄五日<관직명>扶安郡守</관직명>記一.林野/所在 <지명>扶安郡扶寧面蓮谷里</지명>西麓一.面積 七町-反-畝-步一.樹種別 針葉樹一.伐採採取 數量 壹千五百束一.伐採採取 其間 十一月五日迠下略--同一山名証明願右ハ<지명>扶安郡扶寧面蓮谷里</지명>區內ニ本人ノ先墓所在スル席洞山名/在來一名道洞山名相違ナキコトヲ証明相成度相願候也<연도>大正拾貳年</연도>拾壹月拾日<지명>扶安郡保安面牛東里五八四番地</지명>願人 <인명>崔炳郁</인명><관직명>扶寧面長</관직명>殿右願ノ通リ相違ナキコトヲ証明ス右ハ<지명>扶安郡扶寧面蓮谷里</지명>區內ニ本人ノ先墓所在スル席洞山名ハ在來一名道洞山名相違ナキコトヲ証明相成度相願候也<연도>大正拾二年</연도>拾一月拾日<지명>扶安郡保安面牛東里</지명>五八四番地願人 <인명>崔炳郁</인명><관직명>扶寧面長</관직명> 殿<연도>大正拾貳年</연도>拾壹月拾日<관직명>全羅北道扶安郡扶寧面長</관직명><인명>辛聲錫</인명>(印)謄寫<지명>扶安郡</지명>輿地勝覽輿地勝覽第二張第三十九行道洞山在縣南五里許或云<지명>猪洞</지명>或云<지명>席洞</지명>蓋猪與席俗音與道相近故錯稱焉山有三壟金崔宋族山<연도>崇禎紀元後再己卯</연도>五月下澣修正--扶安金氏世譜卷之一(崇禎四丙午暮春刊印)中略<인명>光敍</인명>[奉正大夫<관직명>知告[古]阜郡事</관직명>配淑人開城王氏父高麗宗室<지명>昌寧君洞</지명>外祖元世祖墓合在席洞山中麓中腦下之中癸坐有表石麗朝亡我朝興公自<지명>古阜</지명>大歸貫鄕之<지명>扶寧</지명>卜居縣南五里許<지명>瓮井村</지명>占兆于村西席洞山川宇局自此以後子孫世世居住於<지명>瓮井村</지명>世世入葬於席洞山云席洞山或云猪洞山或云道洞山主有兩峙曰望氣峯前有一池曰建善堤左有回顧曰傘頭峙右有環夬曰幸安山中有長谷曰賢孫谷谷有齋室曰德星庵庵之名蓋取林億齡詩金家聚德星之意也川字局西一麓爲崔生明子孫之族山東二麓爲郡事公子孫之世葬松楸蔚蒼碑碣葱立四百餘年守護中略] 子<인명>璫</인명>[中略] 子<인명>悔愼</인명>[中略] 子<인명>銑</인명>[中略]--跋辭爲等如各人等招辭是置有亦蓋此山一訟厥有層節積年擾鬧無異吳楚之爭牒歷世怨嫌不啻越秦之視瘠屢犯 蹕路是非各歸一邊互陳狀辭曲直不待兩招是如乎 先審山形更詳輿論則<지명>席洞</지명>之山斗起一峰向南之麓列如川字東二麓爲金山西一麓爲崔山累累入葬世世聚骨是乎所今此少尹墓在於崔山之西合谷之下而東邊有<인명>崔仁鑑</인명>等先世六塚四邊有<인명>崔榮權</인명>之高祖一塚或掘壙中幾至屍骸或去莎土纔經分寸此則掘塚之形止也松楸段大者如柱小者如椽長養蓊蔚延袤廣濶樵牧之所指點行路之所健羨是去乙拓開墓門斫去山麓此多彼寡雖難準信執端折衷庶可斟量崔狀五六萬云者頗近增価金招七十兩云云者亦涉減竈執此幅圓較彼松田則竝其大小洽爲万餘株是乎乃根之見在者少掘去者多而已掘者爲莎所塡摘奸時猝難執數以若臆料不可質言此則斫松之大槪也斫彼萬株連抱之松已是不良掘此七箇枯骨之塚尤極絶悖竊念七月短宵之時宵非獨辦之事而掘律恐或及已諸金具曰不知 中略<관직명>會査官</관직명><관직명>行郡守</관직명> [華押]<관직명>行府使</관직명> [華押]--同治十一年二月初一日節到付<관청명>刑曹</관청명>關內卽到貴移道內<지명>扶安縣</지명><인명>崔光權</인명><인명>金邦濟</인명>等山訟査案入鑑是在果大院位敎是分付內山訟者爲先血爭之事而今此山訟心不在於爲先計專在於牟利倫理之斁絶俗習之駭悖莫此爲甚分叱除良崔松金斫營邑之査案自在是去乙敢以松価不報之計藉以金山還掘之說者究厥心腸尤極狡惡松価刻期督捧捧留報來以待處分是遣復或以此等事健訟爲習憑藉山訟計在財利者一倂嚴繩懲捧屬公之意著爲定式事奉 分付玆以發關爲去乎到卽時星火擧行爲旀先從松価數爻而枚擧回移以爲入 鑑受處分之地宜當向事照驗施行須至 關者右關全羅道觀察使關 [華押]--<관직명>부안현감</관직명>書目本縣民<인명>金弘濟</인명>等所納松価幾許間裁減事處分行下狀<연도>同治十一年</연도>八月初八日<관직명>行縣監</관직명> 鄭松價之定數營亦不可增減是在果大抵以其數不可擬議更加嚴督期於不日收屬後形止馳報向事壬申八月初十日<관직명>兼使</관직명> [華押]--京兆關文漢城府爲相考事卽接道內<지명>扶安</지명>幼學<인명>崔俊煥</인명>所訴則<인명>金弘濟</인명>等之誣捏罪惡萬戮猶輕分叱除良七塚私掘移以有主謂無主誣圖關文今欲更屈凶莫矣渠墓旣失於高麗之世而做此借葬之說欲奪四百年守護之地發賣萬餘株連抱之松潛掘二百年年久之塚變莫變矣曲直自歸於强弱是非亦判於緊歇其在按公寧不憤痛裁卽蒙 啓敎之截嚴還推山地還封七塚而今又圖去關文囑囚崔民謀奪謀掘敢藉庚申暗造之券此不知 王章之爲鄭重但知欺瞞之爲得計究厥所爲萬萬驚駭不能的知渠墓之眞贋而構捏謀掘者專爲奪松之計也設令渠祖借葬於四百年之前欲奪於四百年之後以彰其祖之惡抑何道理甚至於天聽文字亦皆誣罔專事圖奪揆以典憲不可揜過玆以發關爲去乎到卽嚴關於該邑日前爲金之關文還收上送是遣<인명>金弘濟</인명><인명>金用均</인명><인명>金文濟</인명>依律定罪謀掘之塚嚴飭禁斷前後構誣文券卽推燒火山地及松価不日內一一推給仍成公案俾戢狡獝之惡習卽爲馳報爲當者--<연도>癸酉</연도>二月十九日爲牒報事卽到貴移刑曹關據使甘結內節到付<관청명>刑曹</관청명>關內卽到貴移<지명>扶安</지명><인명>金弘濟</인명>處松価懲捧錢二萬五千兩內一萬兩捧留一萬兩出給<인명>崔光權</인명>後捧標五千兩還給成冊竝爲入鑑是在果大院位敎是分付內松価捧留錢一万兩卽速上送于營造所是矣有山然後有松捧価者爲山主不待更卞是如乎<인명>金弘濟</인명>處前後訟牒一一現納官庭爻周是遣復或以此起訟之弊則當有別般嚴繩矣以此捧侤放送爲旀同侤音堅封上送事奉 分付玆以發關爲旀<인명>崔光權</인명>標粘連還送爲去乎到關卽時相考擧行爲旀形止亦卽回移以爲入鑑憑處之地宜當向事關是置有亦本縣民金崔山訟今始決末誠甚豁然捧留錢一萬兩今方上送于營造所是在果<인명>崔光權</인명>所捧一萬兩標紙任置營賑庫以爲日後憑考是遣<인명>金弘濟</인명>段其前後訟牒官庭現納卽爲爻周以更勿起訟之意捧侤音上使以爲上送之地而<인명>弘濟</인명>卽爲放送牒報宜當者甘結是置有亦本縣民<인명>金弘濟</인명><인명>崔光權</인명>等竝招致謹將甘辭仍各曉諭前後訟牒一一責現於<인명>金弘濟</인명>處則其所告內今此訟端始起於去庚申年間而同決訟時文券十二丈其翌辛酉四月日因營甘分界息訟次幷與崔隻文券而上送營門仍爲未推是乎乙遣其後可據文券六七丈昨年間呈籲 <인명>雲峴</인명>時粘連原狀以上矣未承題敎旋有矣身押付<관청명>完營</관청명>之處分蒼黃赴捉之際果未知狀卷之何處下落而目今矣身處留在之卷只是庚申決訟時山地立案一卷辛酉刑配時卞誣與松価寃懲呼訴等狀二十六丈故玆以現納而更無餘存是如爲乎旀<인명>崔光權</인명>所告內<인명>金弘濟</인명>等之庚申起訟實因於康熙年間僞牒留在之故而哲廟朝判決嚴明之有刑配之典猶不知戢出沒京鄕惹起鬧端矣今番京營關敎深軫後弊前後文券現納使之爻周然後可杜後弊是如爲有置蓋此前後訟券之爻周寔出於杜後弊之處分則自邑擧行有不容疏忽是如乎<인명>金弘濟</인명>所納之券雖爲數十餘張而崔民所供之中旣以緊藏歇現爲告故果爲訴考金券則初無立落緊切之案只有營邑尋常之狀以若積年互相勝負之訟豈無得失可據之蹟哉緊藏歇現果如崔說分叱除良崔說中金民等之庚申起訟實緣康熙戊申僞牒留在云者於此可驗而其所日後更鬧之計不見是圖今若任他匿券不入於爻周則恐難免不審之責故前後訟牒嚴加申飭使之逐一現納則惟彼<인명>弘濟</인명>只懷落科之憾瞀不畏法自同几肉屢度責現一直拒納雖以<인명>雲峴</인명>呈籲時可據文券粘連遺落之說觀之計出粧撰極涉痛惋而文券捧侤反致葛藤其在奉分付擧行之道事甚憂悶乙仍于同金<인명>弘濟</인명>嚴囚緣由槪報使敎是別般嚴飭現納文券事處分爲只爲巡營官 [華押]--<관직명>부안현감</관직명>書目本縣民<인명>金弘濟</인명>嚴囚現納文券事緣由狀<연도>同治十一年</연도>二月二十日<관직명>行縣監</관직명> 鄭所謂文券隨所納一一爻周亦捧侤音則設或有如干藏置之文券焉敢更起卽速擧行向事癸酉二月卄三日<관직명>兼使</관직명> [華押]--營門完文 <연도>乙丑</연도>十二月右完文事段<지명>扶安</지명>士人<인명>崔鳳煥</인명>十三世以下繼葬數百墓之地在於本縣席洞山西一麓無弊守護爲四百餘年而昭載於金譜及邑案矣粵在百餘年前縣人<인명>金達壽</인명>等以崔山局內自古諺傳一大竹墳謂渠遠祖少尹失傳之墓而始自尋護此雖未能的知其墓之眞贋而渠旣稱渠祖之墓則祗守其墓於理當然不意去庚申年冬達壽之後孫<인명>金邦濟</인명><인명>弘濟</인명>等敢生壑慾暗圖京兆關文欺瞞營邑而發賣松楸奪燒文蹟酷刑四人兼奪山地潛掘年久七塚則崔民兩次鳴金至蒙截嚴之判敎被掘之塚還封築山地松楸始得還推 啓下一律罪人<인명>金邦濟</인명>止爲久囚<인명>弘濟</인명>等皆爲定配而見斫松楸姑未推価囚竄諸金族卽蒙放可謂於渠則幸矣而至於崔民被掘之寃尙未快伸況此四百年禁護之地及屢萬株連抱之松一朝見失於讎人之手其所血寃容有極乎凶彼<인명>弘濟</인명>等素以蔑法流甚至於天聽文字亦皆誣罔以私掘七塚一曰崔塚六曰古塚云究厥所爲死有餘罪而不遵 啓敎之嚴重不有營邑之査決藉渠吏族之權恃渠賄囑之勢而以啓下還封之塚謂之以私封更欲謀掘以啓下還推之地稱之以渠山而渠亦有完文云此是前前官見欺暗造者也且其後以爲道査至於上徹始爲歸正則此文將焉用之乎每率無賴更斫餘木甚至於旌閭前各種屢百年古木近又亂斫謀毁旌閭墓幕內懷都占之計外做定界之言果欲定界則所謂少尹墓前後左右皆是崔塚則何以定界乎强欲定界則此亦法外之悖類抑亦化外之亂氓大抵累百年守護之地忽於一朝圖奪凶習旣至此極而亦將越視則民何保其先塋國安用乎定法蔽一言旣有啓敎之鄭重且有營邑之斷案則山地松楸專屬崔民所謂少尹墓則使金守護事合穩當矣自今以往山地松楸永屬崔民雖一片土一箇木莫非崔民之有則金民更不得犯着之意成給完文日後諸金中不悛前習若更起鬧則非徒荷杖且係不法以此文永久遵行宜當事--判決書<지명>扶安</지명><인명>金周相</인명><인명>崔斗榮</인명>兩家先壟俱在於席洞山而積年爭訟曲直之際得失相反京營之間斷案各有矣今又<인명>崔佾榮</인명>告訴于<관청명>高等裁判所</관청명>有承合場質査之指令而兩隻竝招致府庭屢回對質參考狀軸則崔塚之督掘理所不當松価之責還尤非可論惟其息訟之方只在定界而各守故使於今番巡邑之行歷過是郡招待兩隻于山處仍與郡守同往躬審形便劃定界限後兩隻處捧侤音永爲妥帖而兩家前後訟軸一切燒却是遣今此判決書五件成出一本粘付報告于高等裁判所二本分置府郡二本分給兩家是如乎准此憑後事<지명>扶安郡</지명>席洞山金崔兩塚分界限標自金少尹墓地<인명>崔榮權</인명>墓爲四十四步四尺內半分二十二步二尺式定界自金少尹墓西至田頭爲七十八步三尺九寸內半分三十九步一尺九寸式定界自金崔塚半分處西至二十五步三尺六寸定界處上至上小路三十七步三尺定界自金少尹墓左東至八步三尺五寸自上北小路下直至南畓頭定界金崔兩家總代員幼學<인명>崔斗榮</인명>年四十八白啣幼學<인명>崔鴻</인명>坰年五十一白啣幼學<인명>崔仁灃</인명>年四十二白啣幼學<인명>金周相</인명>年六十二白啣幼學<인명>金東容</인명>年五十五白啣幼學<인명>金洛瑾</인명>年五十七白啣白等矣等兩家先壟今旣定界準此施行無相起鬧是遣前後兩邊訟軸一切燒火而兩隻文蹟中設或有漏落者此是燼餘之物不足爲憑以此納侤敎事<연도>光武二年</연도>十月日裁判所判事<인명>李完用</인명>(印)山在官<관직명>郡守</관직명> <인명>兪鎭哲</인명>(印)主事 <인명>郭昌根</인명>(印)--<연도>戊戌<연도>十月初五日幼學<인명>金周相</인명>年六十二白等矣等兩家先壟旣承觀察使道親審定界而兩隻文軸亦於當場燒却然兩隻間慮有遺漏文軸互相爲言而矣家遺落七張今又覓納付丙則以更無他軸之意納侤以此憑後敎事官(印) 白啣--告示 崔門中金崔兩家山地分界各捧手本報告于觀察府回題內松是崔民之養已爲斫伐出給後更報敎是故以此意已爲告示於金門中是在果松楸段令到卽時使之斫伐以去形止馳報以爲轉報之地事再令到形止卽爲馳報次<연도>戊戌</연도>十月二十九日官(印)--地籍屆証明願地籍屆人住所氏名<지명>扶安郡保安面牛東里</지명><인명>崔炳郁</인명>不動産ノ表示<지명>扶安郡扶安面蓮谷里</지명> (席洞山)一.林野拾五町三反三畝二十八步右林野ニ對スル地籍屆ナシタルコトヲ証明相成度此段奉願候也大正拾一年貳月四日右 <인명>崔炳郁</인명><관직명>扶安郡守</관직명>殿前記之通相違無之事證明ス<연도>大正拾壹年</연도>貳月四日<관직명>扶安郡守</관직명>(印)提出ᄒᆞᆫ地籍報告三度ᄂᆞᆫ本日에接受事隆熙四年六月九日<관청명>農商工部山林局</관청명>[印]--扶庶第六四八号出願者<인명>崔炳郁</인명>大正拾年二月二十五日付願私有林伐採의採取ノ件左와如히ノ通リ許可ス<연도>大正拾年</연도>三月五日<관직명>扶安郡守</관직명>(印)記一.林野/所在 <지명>扶安扶寧面蓮谷里</지명>席洞山麓一.面積 元十五町三反三畝二十八步內二町-反-畝-步一.樹種別 針葉樹一.伐採採取數量 一○本一.伐採採取期間 三月十六日迠下略--扶庶第二.八九一号出願者 <인명>崔炳郁</인명><연도>大正拾年</연도>二月二十五日付願私有林伐採의採取ノ件左와如히通リ許可ス<연도>大正拾年</연도>十月二五日<관직명>扶安郡守</관직명>(印)記一.林野/所在 <지명>扶安郡扶寧面蓮谷里</지명>西麓一.面積 七町-反-畝-步一.樹種別 針葉樹一.伐採採取 數量 壹千五百束一.伐採採取 其間 十一月五日迠下略--同一山名証明願右<지명>扶安郡扶寧面蓮谷里</지명>區內ニ本人ノ先墓所在スル席洞山名ハ在來一名道洞山名相違ナキコトヲ証明相成度相願候也<연도>大正拾二年</연도>拾一月拾日<지명>扶安郡保安面牛東里五八四番地</지명>願人 <인명>崔炳郁</인명><관직명>扶寧面長</관직명>殿右願ノ通リ相違ナキコトヲ証明ス<연도>大正十二年</연도>十二月十日<관직명>全羅北道扶安郡扶寧面長</관직명><인명>辛聲錫</인명>謄寫<지명>扶安郡</지명>輿地勝覽輿地勝覽第二張第三十九行道洞山在縣南五里許或云猪洞或云席洞蓋猪與席俗音與道相近故錯稱焉山有三壟<인명>金崔宋</인명>族山<연도>崇禎紀元後再己卯</연도>五月下澣修正--扶安金氏世譜卷之一(<연도>崇禎四丙午</연도>暮春刊印)中略<인명>光敍</인명><관직명>奉正大夫知古阜郡事</관직명>配淑人<인명>開城王氏</인명>父高麗宗室<인명>昌寧君</인명>洞外祖元世祖墓合在席洞山中麓中腦下之中癸坐有表石麗朝亡我朝興公自<지명>古阜</지명>大歸貫鄕之<지명>扶寧</지명>卜居縣南五里</지명>許<지명>瓮井村</지명>占兆于村西席洞山川宇局自此以後子孫世世居住於<지명>瓮井村</지명>世世入葬於席洞山△席洞山或云猪洞山或云道洞山主有兩峙曰望氣峯前有一池曰建善堤左有回顧曰傘頭峙右有環夬曰幸安山中有長谷曰賢孫谷谷有齋室曰德星庵庵之名蓋取林億齡詩金家聚德星之意也川字局西一麓爲崔生明子孫之族山東二麓爲郡事公子孫之世葬松楸蔚蒼碑碣葱立四百餘年守護[中略]子<인명>璫</인명>[中略]子<인명>悔愼</인명>[中略]子<인명>銑</인명>[中略]--<연도>同治十一年</연도>二月初一日節到付<관청명>刑曹</관청명>關內卽到貴移道內<지명>扶安縣</지명><인명>崔光權</인명><인명>金邦濟</인명>等山訟査案入鑑是在果大院位敎是分付內山訟者爲先血爭之事而今此山訟心不在於爲先計專在於牟利倫理之斁絶俗習之駭悖莫此爲甚分叱除良崔松金斫營邑之査案自在是去乙敢以松価不報之計藉以金山還掘之說者究厥心腸尤極狡惡松価刻期督捧捧留報來以待處分是遣復或以此等事健訟爲習憑藉山訟計在財利者一倂嚴繩懲捧屬公之意著爲定式事奉 分付玆以發關爲去乎到卽時星火擧行爲旀先從松価數爻而枚擧回移以爲入 鑑受處分之地宜當向事照驗施行須至 關者右關<관직명>全羅道觀察使</관직명>關 [華押]--<연도>癸酉<연도>二月初四日 甘結節到付<관청명>刑曹</관청명>關內卽到貴移<지명>扶安</지명><인명>金弘濟</인명>處松価懲捧錢二萬五千兩內一萬兩捧留一萬兩出給<인명>崔光權</인명>後捧標五千兩還給成冊幷爲入 鑑是在果大院位敎是分付內松価捧留錢一萬兩卽速上送于營造所是矣有山然後有松捧価者爲山主不待更卞是如乎<인명>金弘濟</인명>前後訟牒一一現納官庭爻周是遣復或以此起訟之弊則當有別般嚴繩矣以此捧侤放送爲旀同侤音堅封上送事奉分付玆以發關爲旀<인명>崔光權</인명>標粘連還送爲去乎到關卽時相考擧行爲旀形止亦卽回移以爲入鑑憑處之地宜當向事關是置有亦本縣民金崔山訟今始決末誠甚豁然捧留錢一萬兩今方上送于營造所是在果<인명>崔光權</인명>所捧一萬兩標紙任置營賑庫以爲日後憑考是遣<인명>金弘濟</인명>段其前後訟牒官庭現納卽爲爻周以更勿起訟之意捧侤音上送而<인명>弘濟</인명>卽爲放送牒報宜當者<관직명>兼使</관직명> [華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席洞山申告書提出 陰八月三十日奉德里 一筆 東金洛淸林 西朴判睦林南本人林 北朴判睦林蓮谷里 一筆 東金光彦林 西路南路 北本人林一筆 東本人畓 西金珪相林南溝 北路一筆 東路 西金珪相林南路 北路一筆 東金珪相林 西金 畓南路 北路一筆 東金珪相林 西溝南金益容田 北路合十五町三反三畝二十八步松枝假處分 陰十月初八日 松枝七十五同五束假處分決定書 十一月三日 一一二六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