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大煥 歲窮雪積。以此百無用之窮賤。未免貽勞於賢者。愧不知爲感。因審侍學多衛。但來書辭意。多有所未罃處。而亦豈有一嘬而盡九鼎味之理哉。循序漸進。眞積力久。則泰山之溜穿石。單極之綆斷木。必有其日矣。善就木之外。更無他端。而苞魚之饋。欲延此幾絶之纊息耶。自笑亦自憐。履子抑莊仙所謂忘足。顧此不作山下半武。已幾年于玆。而賢者欲使我。作竿頭步歟。可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衡叔【容璿】 頓首。吾賢方在哀疚中。禮當自此有問訊。而今乃倒承惠問。雖出於不較。以老且窮者之爲禮。而寧不愧顔哉。喪右之痛。前此旣得聞。而情理悲割。想難爲懷矣。令伯府腫患。以此寒節。豈衰老人之所可堪耶。甚悶。但哀履支衛。是可爲慰。十咏韻。似無碍眼處。故業已使兒曹。謄于唱酬錄耳。塊帛過三年。此是無於禮之禮。何敢容啄。而但隨俗以紙榜行之。似可耳。所詢諸條中默計者。錄在下方。而餘條。以待別時相確矣。再數廊柱明道在長安倉中。見長廊柱。以意數之。已不疑。再數之。不合。不免令人一一聲言數之。乃與初數者無差。則知着心把捉不定。伊川遷龍門。止學者伊川遷於龍門。止四方學者曰。各尊所聞。各行所知。不必及吾門。嫠不恤緯鄭伯如晉。范獻子曰。若王室何。鄭伯對曰。抑人有言。嫠不恤緯而憂宗國之隕。爲禍將及已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羅鍾復 早炎孔惔。審侍履泰迪。善卒爲痰引所苦。肩臂甚不仁耳。出後人。本生親喪。期後服色。墨笠墨帶布領。自有先儒定論。而但居處飮食。則一以喪禮處之。可也。若期後不忍脫衰。堅欲終制。則禮防壤。豈可經情直行乎。旣爲人後。而又欲三年喪於私親。是二本也。諒之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李龍勳 積雨中緘書。慰悅倍品。因審侍體淸勝。善暑泄固宿證。而比前益深。莫非衰相。奈何。屋子未得了役。而當此潦雨。困難忒甚耳。惠饋苽顆。劈未半而氷寒襲人。使此蒸熱。退却八九分。珍感無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金容玹 賢胤聯璧紆顧。緘書鼎重。慰洽良多。況審肇冬。靜體神衛。新寓幸酸。不言可圖。而褁粮敎子。誠意可感。善養病二字外。更無謀身之策。舊疴新疾。百出難堪。反爲年久親熟之良朋。可笑亦可悲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梁會淑 月前紆顧。未免嘯竹。而但以手字留案。怳若麝過後留香在草。至今感怍。而不圖李妙八門。擎來緘書。苟非情眷。孰能問死生於窮山屛廬耶。所留冊子。手腕麻木。不敢蚯蚓。而若或曳白而去。似惜弊帚。故不得已塗鴉。其文。則蘆沙集中書札。使兒曹不取字樣。而但讀其文。則足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李載陽 前月中緘書。謝覆差池。春夏代謝。至今摩挲。此或逾於承書卽覆。仍寥寥者乎。審維夏。侍度衛護。溯溯無斁。所敎家庭晬辰韻。顧非能手。而難孤盛意。故塗鴉以去。此可曰詩云乎哉。善窮山牢蟄。與病爲隣。自憐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衡叔 頓首。雪峽吟病。袁門無路。一幅惠疏。帶包魚篋餠而墜。蹶起開緘。怳然若得未曾有。豈不慰感。審侍履支衛。益復欣慰。當此極陰之日。巨燭待明。爲後學年少者。不得辭其責。如我不保朝夕者。丹未成而鼎先破矣。奈何。亭榭竣役。第待開春。而顧此百無用之物。但貽勞于域中諸君子。愧死。風雷鳴於衰耳。幻花生於兩眼。近益甚焉。無乃朝露溘然之致耶。植齋丈又得難醫之疾。域中先德。第次零落無餘矣。不勝於悒。近聞長子洞消息耶。向有橫被之奇。而因寂寥。此爲未爬之癢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林明仲 翹跂之餘。賢從歷訪。心畵入眼。玩讀屢回。無非肝膈上語。孰謂書不如面。凡吾人相知。貴知心。此所以自前日。賤者之傾向於明仲是也。詳味書意。隱然有傍無師友之歎。須甚可惜。而但明師立立於黃卷中。人病不求。求無不獲。望須以此做去。而若終有疑晦處。則劄錄于小紙。以待日右講質之席。似無妨也。且荒屋。客反主張之敎。果是近裏着已語。爲賀其用工之到得實地肯綮。而旣知其外邪之爲客。則安得無主人翁惺惺之日也。孤軍遇敵。舍死向前。是吾人進學之單方。勉之勉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劉哀秉龜 吾看劉氏家。誠孝曾無匹。君克紹先休。居哀根性質。蒼楸鉢以西。霜露如將失。哭墓凌晨歸。三年似一日。雪風不敢侵。暑雨何曾日。福善理昭昭。天心猶可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朴淑鉉一松堂韻 賤齒八耊。日與二竪兒爲良朋。非但手麻眼花。神精飛越。語前而忘後。先忘而後失。無非郢書之於燕說。若啞者之意欲言而口不能聲。可笑。栽松危險石。石角偏多風。寒雨反爲若。孑孤不作叢。盛繁桃李子。見笑氣難通。又被牛羊牧。況他困食蟲。移來堂一隅。培養亦謀窮。虐雪嚴冬裡。百木萎黃空。獨此鬱蒼節。不渝保始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詩(七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文亨根野隱韻 徒說去塵未去塵。隱於野者卽其人。晨星曳鍤雲猶濕。夕露添簑月與親。琴韻詩淸皆切友。藜羹酒煖薄招隣。丹田半畝精治術。耨以義兮耕以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鄭江山【在舜】 河東家世摠賢耆。晩節閑居壽福宜。蜚英華榜眞戱劇。大隱湖山仍暫時。三千里內一樽酒。九十年間萬首詩。笑入蓬萊舊遊地。蟠祧未綻雪中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筠山亭韻 萬山叢裏夕陽隈。半面疎簾逈絶埃。松韻近隣凌雪立。水聲長聽浴沂來。三韓消息枝枝老。百世風流葉葉開。螟嗣肯堂能趾美。斯筵頻設昔時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李啓琮三山齋韻 臨軒己信仙緣長。瀟灑衣巾忽覺凉。意切迎賓常解榻。心先㥘醉故遲觴。宿雲掃盡山顔瘦。落蘂推殘石逕香。朝旭閑窓初睡罷。令人頓却世雌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金容厚蕉軒韻 病枕偏驚山外春。主翁心事一蕉新。蒼苔老石皆幽境。細草閑花又好隣。隨分安身終得計。暮年窮經幾多人。木何自寇桂何伐。無用始知有用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朴炳海雙碧亭韻 雙碧相交一室淸。亭因儷美遠山輕。摵摵三更篩月色。遲遲百里聽風聲。初心泉石多年計。晩業溪岑別界成。所謂伊人後凋義。幽棲巖壑慰餘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柳魯卨回甲韻 仁壽君家信上天。周回甲子又生年。星躔近夜懸南極。蘭茁春風繞膝前。日月昭昭依舊到。鬂毛種種未堪全。從知遐福諒非偶。酒養眞工早默淵。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族大父濟鏞 纔遣隆寒喜載陽。忽驚虐雪壓茅堂。暗香歛却藏梅砌。和氣旋從晦柳塘。柳必見消烟織岸。梅將待暖馥流觴。須更朝旭三竿上。物物形形自有光。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