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訪李琰不遇 寂寞寒棲晝掩深。懷君不見坐無心。應綠採藥雲山去。偶欲論琴雪徑尋。畵壁烟沉仙子局。晴牎月上故人襟。今宵邂逅須憑夢。靑眼相開萬二岑。【李琰。有作宰相寧之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柳太守曾養韻 暖香和氣繞荒山。五馬聲從落木端。恩浹一春偏有脚。戒勤三爵政無顔。窮道怨別川原迴。濁世論交水月寒。聞說鄕庠絃誦聚。百錢休遣鵲車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秀野諸益。送穉和韻。【秀野。金諸議鍾厚所居。門多讀書士。】 荒村鷄唱雪花纎。遠客將歸捲竹簾。星斗漸移新歲近。溪山相別故人兼。短琴調闋春生席。靜几詩成月滿籖。明發離愁誰更慰。深杯頻屬不須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沈晩圃【煥之】 洛中間間承誨。庶伸向慕之私。及自病歸鄕廬。致此間濶。悵仰罔喩。倘非閤下適遭南遷之時。辱賜惠答。則鳳周之落落遐外。何異於異代相望哉。實有昕夕相依之願。衰病纏身。尙末克操几從傍。常有不能盡意之恨。飮歎奈何。頃拜下復承。感疾彌留失攝非常。區區驚慮之至。謹問早熱比酷。侃言候隨時安福否。南土。古稱瘴厲之地。而竹樹淸風。可以勝壓。不須待薏餌之載還也。而況居閒之趣。看史之法。灑落高遠。有足以消却世慮。開廣壅滯者。惟切嚮溯而已。鳳周孤陋後生。冒忝釋褐。明時顯揚。庶可以報答先人之遺意。而晩年風疾。老衰益劇。爲國爲家。百計如掃。食息念還。不如死灰之人。尤切悼悶者。孑孑之家兒。粗卞魚魯。從事擧業。以寬父懷矣。意外遭其生母喪。在京聞訃。悲怛不忍提說。是乃去二月之事也。是兒守制之後。如又此生兄弟。又從而不幸見棄。則如彼甇獨。寧不悲其索居孤陋之難免哉有。姪兒泰基。【後改名 國鎭】卽重叔【鼎周】之男也。年過幼沖。而間多敏悟之起余。愛之猶子常撫頂執手而語曰。聞汝釋褐。庶可副望云。而泰姪之拜謁閤下屬耳。渠乃說到閤下德容之安舒。處事之從容。曰科業姑舍。從師門屛。則庶有以盡人道矣。可以說親心矣。後生初學。一候燕申。而悅服至此。豈非德盛禮恭。能薰醉洽人。有所感動者乎。願閤下。以爲可敎。倘置灑掃之列。則其爲伏幸當如何哉。曩聞南中親舊之言。則閤下之導俗容物。今世罕有云。今於泰姪之謂。尤可驗矣伏冀動止淸福。不備上狀。【沈相公環之。甲寅春。以吏曹參判。兼藝文館提學。以言事。貶爲綾川牧使。是歲六月。以都承旨遐朝。先生之姪園鎭。從而受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往復書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沈佐郞誠之 表範南州迥出倫。胸中長有自家春。功名御讚文章客。器局士稱豁達人。一世風流敦孝友。百年志業在經綸。嗚呼命道天難必。空使餘生淚滿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金牧使裕淳 十載長安旅食愁。蕭蕭霜髮已盈頭。棄繻當日終軍志。獻策天門得意秋。霜臺華誥又銀臺。聖主恩深擢俊材。短髮江湖漁釣興。五雲多處首頻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洪進士宅回納 金三山履安【文敬公】 履安家禍。愈酷舍【缺。】奄忽棄背。痛苦摧割。不自堪忍。而轉眄之頃。先人祥禫。次第又過。情事哀廓。益無可言。代蒙荐賜辱札。慰問鄭重。區區不勝感涕。霜冷比緊。不審尊軆如何。履安董存。形殼無足喩者。一臨之敎。深所仰跂。而料期又近。似難作閑行耶。先牘謹受。竢移寫。當即奉還耳。不宣。伏惟不照。謹拜謝狀。甲午十月初三日。金履安拜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洪進士宅入納 金本菴鍾厚【掌令】 不謂。肯相從寂寞之濱。已大慰人。而從以覸其性資。有深可望者。庶幸與之磨礲相益。居然別去。又未卜後期久速。此必戀戀。豈爲姻戚之私哉。玆被手告。乃經歲音也。就承侍奉如宜新休滋至何喜如之。若區區春祀。惟在舊發大勇。擴充美志。而加剛植焉。使此衰陋。得以托歲寒之期爾。能知比意否。生吟病依昔。而親年益高。喜懼轉切耳。別時綠忙擾。不得攄胸臆。故因覆來書。略及之如右。統希亮會。己丑上元日。鍾厚大學。能加溫理而溯得所疑錄以相示。則亦一功夫也。如何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洪進士宅卽傳 洪恒齋樂性【孝安公】 非意。忽承惠翰。披審秋來。侍況安勝少慰積阻之懷。宗末夏間。哭長婦喪。慘痛忍言。身亦累經重症。蘇健未易。憫何憫何。荷此因便。委問如感。遠情之辛勤也。不宜式。庚子九月初五日。宗末朞服人樂性拜。省式。賢閤奄忽違世。承訃驚愕。不能已已。緬惟伉儷義重。悲慟沉痛。何可堪勝。仲春漸暖。不審尊服履何似。惟冀深自寬抑。以慰遠誠。宗末。京鄕路殊。末由奉慰。其於憂想。無任忡悒。謹奉狀。緬惟照亮。不宣謹狀。甲戌正月十八日。宗末樂性奉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洪校理樂游【改名羲臣禮判翼靖】 天鐘奇才德又全。早年蓮榜晚桂聯。鄕隣矜式稱高士。臺閣風稜備諌員。莫道文章得力大。終知基業自先賢。十年沈痼公何恨。望八邵齡去作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金郡守順行 萍水交情托晩契。每將偉器許夫夫。終南握別成千古。無路靑山奠一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徐拙齋粹貞 豊山高出石川長。天挻人英惠我邦。受敎家庭知孝友。着工經傳做文章。名高中歲充鄕貢。榮極明廷觀國光。不在一身溫飽計。將看九重贊襄方。爲官未施醫民手。當老還歸護病房。就養螟兒能盡職。扶持群季不離傍。風儀久待神明佑。消息飜驚夢寐忙。警咳今從何處得。春山執紼淚滂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吳碩源 簪合蘭如契晩親。原貪顔樂際昌辰。賢關儀表文章士。仙閣恩綸卧老臣。枕上片心懸北斗源頭一脉溯南閩。經濟未展身先病。悽兩山陽淚故人。問岡鳳已爲時出。秋樹蟬何吟蛻先。負得螟蛉佳有嗣。早年能繼舊氊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和諸君讀書所 自諸君會讀於此。余以老病之力日一課視。如君課日矣。近渧雨雪貽此課。闕獨卧寒惡一念之往來。猶不可已。故强起書此以寄之。非敢曰。妄自警勑若知此老之不負於諸君。則諸君亦不負此老也。決矣。深識初非在去留。書中舊面共擡頭。輕重何問均爲用。美惡雖殊各有儔。耕讀平生猶自樂。光陰缺隙肯虛投。竟夜未成黃菊句。更將何物送今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崔黃坡愼之 裴公器卷賈生才。雅望南州最見推。榮途始期華國手。病床虛老需時材。銀臺秋部空留籍。璧月台宿奄告灾。知是窮通皆有命。秪今吾黨共悲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謝高來七【廷憲】寄新曆。【廷憲號復軒。文科官承旨】 還鄕何日不相思。寒盡山中又歲時。試把新蓂尋甲子。故人顔面卷中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07년 기우만(奇宇萬)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丁未二月四日 奇生宇萬 丁未二月四日 奇宇萬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7년 2월에 奇宇萬이 보낸 간찰. *상태: 상단이 찢김 *원문: 向別時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16년 정홍연(鄭弘衍) 고신(告身) 1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萬曆四十四年四月初二日 鄭弘衍 萬曆四十四年四月初二日 光海君 鄭弘衍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10.0×10.0)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1032-01-100001 1616년(광해군 8)에 정홍연(鄭弘衍)을 봉열대부(奉列大夫) 행사복시주부(行司僕寺主簿)에 임명하는 문서 1616년(광해군 8) 4월 초2일에 광해군이 정홍연(鄭弘衍)을 봉열대부(奉列大夫) 행사복시주부(行司僕寺主簿)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봉열대부는 정4품이고, 사복시주부는 종6품의 관직으로 행수법에 따라 관직이 품계보다 낮아 관직 앞에 행(行)자를 붙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步贈文章華滞雪吟 雪濘如海北風嚴。我友歸心每出瞻。人情足矣雙箭對。天意挽之两夜兼。有病逢醫多所感。爲農當食且何嫌。暫渧幷鄕非曰渧。終看世路萬山光。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