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성조양택사정입국(成造陽宅四正入局)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집을 짓는 사방 방위와 배치를 결정하면서 그에 따른 거주인의 길흉을 판단하여 택일하기 위한 성조 양택 사정입국(成造陽宅四正入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4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장례(葬禮) 일정을 정하기 위해 작성한 장택기(葬擇記). 下棺 시간, 墓穴, 啓殯, 開土 시간, 破墓 일짜, 發引, 停喪 방향, 歲壓, 呼冲 등 기록 *亡人: 坤仙命甲申水 *安葬日: 丙午十二月十一日癸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5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정미생 남성 망자의 장택기 정미생 남성 망자의 장택기이다. 정미생 아내는 생존해 있으며, 무진생인 장자가 주상(主喪)이고, 무진년 맏며느리부터 차자(次子)와 각 부인, 그리고 각 자손들이 기록되어 있다. 먼저 장산(葬山)의 방위와 좌향 등이 적혀 있고, 안장(安葬)은 무신년 11월 21일 계묘일이다. 참초(斬草)와 개토(開土) 일시는 진시(辰時)이고, 하관(下棺)은 오시(午時)이며, 취토(取土)와 정상(停喪)은 임방(壬方)이다. 입관과 계빈(啓殯)할 때 일진과 맞지 않는 생년을 기록하는 호충(呼冲)을 여기서는 이충(二冲)으로 표시했는데, 정사생, 병진생, 신미생 사람이다. 매장 연월일시의 간지를 쓰는 사과(四課)는 조명(造命)이라고도 하는데, 이 경우는 무신년 갑자월 계묘일 무오시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手標右標事公債出處無路故抵水坪田一斗落麥需折半一年落種爲去乎價折二兩五戔右人前放賣爲去乎日後若有相爻則以此憑告事丁丑三月二十一日標主金日宗[着名]證筆金淳伍[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古今島鎭里乙酉式戶籍單子戶鰥夫張再豊故代兄龍伊年四十六戊戌本仁同父學生大運祖折衝將軍武良曾祖學生弘外祖嘉善大夫秋尙連本羅州率女年八甲申八月日行縣監[押][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古今島鎭里戊子式戶籍單子戶閑良張至城年四十己酉本仁同父學生大運祖折衝將軍武良曾祖學生弘外祖嘉善大夫秋尙連本羅州率女阿只年十五丁亥八月日行縣監[押][帖][周挾字改印] 【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拜別有日 懷仰益切 謹詢日來侍體候連護萬重 諸節均休 仰溸區區 族侄旅味依昨 方在歸家中耳就向日所約節孝公旌閭畓 受諾于錫仲氏錫正氏 而數日間錫正氏發程貴邊 則其時稟告于門長 出票於池漢面洪林里金良五處 千萬伏望耳 餘不備候來聞崔氏處之言 則旌閭畓彼家賣渡中加入云 此時豈非適當乎九月二十三日 族侄京玉拜【피봉】〈前面〉▣▣郡芝山面日谷里盧軫永氏〈後面〉光州邑洪林里留盧仁煥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정축년 김일종(金日宗) 수표(手標) 고문서-증빙류-수표 金日宗 標主 金日宗<着名>, 證筆 金淳伍<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정축년 3월 21일에 김일종이 공채를 갚을 길이 없어 저수평 밭 1두락을 2냥 5전에 팔겠다는 것을 약속하면서 발급한 수표 정축년 3월 21일에 김일종(金日宗)이 공채(公債)를 갚을 길이 없어 저수평(抵水坪) 밭 1두락(斗落)을 2냥 5전에 팔겠다는 것을 약속하면서 발급한 수표이다. 김일종이 공채를 갚기 위해 저수평에 있는 밭 1마지기를 값으로 2냥 5전을 받고 이 문서 수급자에게 팔았다. 문서의 끝부분에는 '이후에 서로 문제가 생기면 이 문서로 증빙하라'는 내용이 실려 있다. 문서 발급자인 김일종과 이 매매의 증인(證人)이자 문서 작성자인 김순오(金淳伍)의 이름과 착명이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신묘년 황경현(黃敬顯)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黃敬顯 張生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묘년 황경현(黃敬顯)이 넷째 아들 황순주(黃順周)의 신부댁에 폐백과 함께 보낸 혼서 신묘년 황경현(黃敬顯)이 자신의 넷째 아들인 황순주(黃順周)의 신부댁인 장생원(張生員)댁에 폐백과 함께 보낸 혼서이다. 장생원의 따님을 넷째 아들 황순주의 아내로 허락해주는 경사스런 명을 공손히 받았기에 옛 어른들의 예절에 따라 삼가 납폐(納幣)의 의례를 행하니 삼가 살펴달라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8년 박재빈(朴載彬)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朴載彬 康津縣監 <着押> 帖子印,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8년에 康津縣監이 朝奉大夫 童蒙敎官 朴載彬(60세)에게 발급한 準戶口. 1888년에 康津縣監이 朝奉大夫 童蒙敎官 朴載彬(60세)에게 발급한 準戶口. *父 贈通政大夫 工曹參判 千益 祖 贈通訓大夫 司僕寺正 碓俊 曾祖 學生 師正 外祖 學生 金龍郁 *주소: 古郡內面 朴東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신축년 보청(譜廳) 수표(手標) 고문서-증빙류-수표 譜廳 譜廳 <押, 着名> □…□(흑색, 직방형, 4.8×3.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축년 보청(譜廳)에서 신호(薪湖) 신리(新里)에 거주하는 장씨(張氏)의 단전(單錢) 11냥을 종인(宗人) 만섭(蔓涉)을 통해 받았음을 확인해주는 수표 신축년 2월 20일에 보청(譜廳)에서 신호(薪湖) 신리(新里)에 거주하는 장씨(張氏)의 단전(單錢) 11냥을 종인(宗人) 만섭(蔓涉) 편에 받았음을 확인해주는 영수증 성격의 수표이다. 단전은 족보에 이름을 올릴 때 납부하는 돈으로 명하전(名下錢)이라고도 한다. 관련 문서에 의하면 신축년에 장씨 보소에서 족보를 간행하면서 종인들에게 수단(收單)을 진행하였고, 이때에 단전도 함께 거두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중선(仲善)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仲善 張文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자형(姊兄)인 중선(仲善)이 처남인 장문수(張文守)에게 보낸 간찰 자형(姊兄)인 중선(仲善)이 손아래 처남인 장문수(張文守)에게 보낸 간찰이다. 작성 시기는 알 수 없고 다만 편지를 받은 당일에 곧바로 써서 보낸 것이다. 우선 장모의 건강이 심하게 손상되지 않았는지, 아이들은 무탈하게 잘 지내고 있는지에 대한 안부를 물었고, 자신은 부모님이 오래 병중에 있어서 속이 타들어가는 듯 답답한 상황이라고 전하였다. 그리고 아이들이 토하고 설사를 한지 여러 날이 되어 원기가 다 없어진 상태라서 부득이 날계란을 써야 하니 네댓 개라도 구해서 보내주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신축년 장지철(張志喆) 언간(諺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張志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축년 장지철(張志喆)이 종중 어른에게 보낸 언간 신축년 장지철(張志喆)이 종중 어른에게 보낸 언간이다. 오랫동안 소식이 막혀 몹시 그리웠는데 체후는 편안한지 상대방의 안부를 묻고, 자신은 보소(譜所) 일을 처리하느라 객지를 여러 날 돌아다니고 있다고 소식을 전하고, 또 일가댁 산소에 있었던 화재 사건을 전하였다. 화재는 이번 달 5일에 발생하였고 생초목이라서 피해가 대단하지는 않았지만 일가의 선영(先塋)이 나의 선영이기 때문에 기별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화재의 원인은 지나가던 사람의 담뱃불이 떨어져서 발생하였고 직접 불을 껐으며, 산소가 전부 타지는 않았기에 불행중 천만 다행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달포 전에 보첩(譜牒) 일로 보청(譜廳)에서 사통(私通)을 보냈는데 받아보았는지 몰라서 답답하다고도 하였고, 일가댁에 서로 마찰이 있어 민망한 일은 도유사(都有司)가 말씀이 있을 것으로 안다고 하였으며 일이 지체되는 것이 불행한 일이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64년 장한종(張漢宗)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趙允宗 張漢宗 趙允宗<着名>, 黃貴福<着名>, 宋太享<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64년(고종1) 조윤종(趙允宗)과 황귀복(黃貴福)이 장한종(張漢宗)에게 언답(堰畓) 3두락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한 매매 명문 1864년(고종1) 8월에 조윤종과 한귀복이 장한종에게 자신의 언답을 방매하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명문이다. 이 언답은 본래 선대로부터 전래되어 수년간 경작해오던 논이었다. 그런데 지난 병진년 봄에 수해로 제언이 무너졌다가 지금까지 제언을 다시 쌓지 못하여 논이 황폐하게 된 것이 방매사유라고 밝히고 있다. 방매 대상은 교포리(橋浦里)에 있는 곤자(崑字) 1두락지와 동자(同字) 2두락지를 합한 논이고, 매매가는 전문(錢文) 45냥이다. 이 거래에 송태향(宋太享)이 증인 겸 필집으로 거래에 참여하여 문서를 작성하고 각각 서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8년 장명화(張明化) 토지상환명문(土地相換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鄭守夫 張明化 鄭守夫<着名>, 金用西<着名>, 金有年<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8년(고종15) 정수부(鄭守夫)가 장명화(張明化)와 밭을 바꾸면서 작성한 상환(相換) 명문 1878년(고종15) 정수부와 장명화가 토지를 바꾸면서 작성한 상환 명문이다. 정수부의 밭은 선대로부터 전래되어 수년간 경작하다가 상환하게 되었다. 대상 토지는 신리(新里) 뒤쪽 강변 몽토동(夢土洞)에 있는 위자(爲字) 밭 7두락지이다. 대체로 상환명문의 경우 서로 교환하는 상대방의 토지가 기재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 문서에는 쓰여 있지 않다. 김용서(金用西)는 증인으로, 김유평(金有平)은 필집으로 이 거래에 참여하여 각각 착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矣身山地事成完▣…▣內矣身所居北面私自壬子定巡山發賣▣…▣於面中大有功焉再昨冬奸鄕鄭仁國輩誣訐▣▣之山及面中田畓幷爲奪付民庫各年▣…▣所謂以饒居氷租六十石進上所用藏氷價一百二十兩罰錢六十兩公然責納是遣去己巳年分矣身定父山於巡▣…▣錢三十兩於面中成文買得禁養松楸矣以此山地又稱法外廣占不給本價奪付雇廳盖許多錢穀之白地▣…▣項錢穀與山地明査推給亦呈▣▣▣則 巡使道題音內推▣(給)者推給徵給者徵給事是乎旀又呈 御使道▣…▣痛惡 兵校呂善黙則前以此事入於按廉已爲懲治是▣▣▣(在果詳)査委折取考本券一一推給宜當事題▣…▣後來歷則狀者之徵穀徵錢果如其數是遣山地之給價見奪亦▣(爲)的實是如乎錢穀與山地出給事分付則▣…▣道山地?依當初定界成完文以給亦爲置依狀者所願▣▣龍虎六谷依本文永永出給之意玆以▣…▣心以法令爲法令切定成給是如乎今則矣身幸蒙特恤之澤推尋山地也更不煩訴是乎矣梧枝面▣…▣武斷鄕曲威脅民財因爲致富爲旀一邑事曰左則左曰右則▣(右)鄕民之畏趙鈒如畏虎傷人害物比比有▣…▣納續昨冬又入於暗行 御使道按廉已被刑杖之境然足水未淸不悛前習更爲出入校院指揮隨從群▣…▣議擧事驩呶臆奪矣身之山地付於雇廳爲計是何用心是何事理乎用山之法入葬者爲主禁養當然而▣…▣前後所呈所志議送完文與本券九張幷以帖連仰訴伏乞▣…▣鈒乱法之習俾無矣身山地已決之下作梗橫侵之地千萬望只爲▣…▣▣(癸)酉三月 日〈題辭〉自本邑査實論報以處向事本官 初四日[官印]▣[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成造陽宅四正入局凡成造須得四正位然後推地運不剋本命可以興工可如子年用事以子加寅上丑在卯得四正位辰戌丑未坐向幷吉丑年以丑加寅上寅在卯得四正位寅申巳亥坐向幷吉寅年以寅加寅上卯在卯得四正位子午卯酉坐向幷吉餘皆放此寅午戌生 申子辰生 己酉丑生子午官灾 子午孫亡 子午元敗天才彔丑未多子孫 丑未亂風 癸丁買糴癸丁主死亡 寅申富貴 艮坤大亡寅申得才 卯酉命福 甲庚官灾甲庚人物興 辰戌萬福 乙辛喪事卯酉富貴 己亥年年敗家 寅申主死亡乙辛三年內得才 癸丁年年入喪 己亥富貴辰戌大通 艮坤富貴 卯酉主死亡巽乾年年大亡 甲庚長壽 辰戌大凶艮坤富貴 乙辛富貴 壬丙亂風己亥大亡 巽乾亂風 巽乾大凶壬丙多官灾 壬丙官灾亥卯未生 子午進福乙辛喪事丑未富貴巽乾富貴寅申大凶壬丙多才卯酉死亡癸丁進福己亥大凶艮坤大凶甲庚大凶辰戌亂風壬坐 午丙門生貴子亥乾門加官進福子坐 午丙門生貴子亥 巳丙門聰明富貴 未坤門旺六畜及第戌乾乾門加官進彔 門百事俱吉癸坐 巳丙門主聰明美貌秀才未坤門進橫財黃甲及第戌乾門家和孝順百事皆吉昌丑坐 丑坐與癸坐同艮坐 午丁門出人黃甲及第申庚門進財六畜寅坐 申庚門加官進彔午丁門明六畜田蚕甲坐 申庚門旺田蚕六畜午丁門主出豪强 戌乾門家和而只有外訟卯坐 子癸門富貴雙專 巳丙門食彔旺人戌乾門加官進財乙坐 子癸門聰明過人戌乾門美貌文章辰坐 戌乾門出色衣人子癸門旺六畜人外申庚門家和孝順巽坐 戌乾門全家孝義申庚門生子聰明子癸門進橫財致富巳坐 丑艮門旺牛亥壬門生色衣人未坤門藝術獲財丙坐 丑艮門進財亥壬門家和孝順未坤門因人富貴午坐 丑艮門因妻致富辰巽門夫婦和順丁坐 艮寅門生人聰明子巽門文武雙全未坐 辰巽門因妻致富丙■巳門出人美貌寅艮門旺牛馬坤坐 寅甲門出人文武之才戌乾門出人志氣之士辰巽門旺六畜申坐 戌乾門富貴辰巽門聰明秀才寅甲門因人進昌財庚坐 戌乾門出義氣辰巽門出人美貌寅甲門進財彔酉坐 未坤門出人孝義辰巽門因妻致富寅甲門進田旺人辛坐 寅甲門加官進財子癸門旺田蚕人丁辰巽門美貌奇童戌坐 辰巽門出人慷慨午丁門旺田蚕寅甲門進財乾坐 寅艮門藝術成家未坤門忠孝俱全亥坐 丑艮門出人秀才寅戌門旺田蚕申庚門家門孝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99년 박장현(朴章鉉) 호적표(戶籍表)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郡守 朴章鉉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9년(광무 3) 2월에 강진군수 신성휴가 기록한 고군내면 약산리 4통 3호에 거주했던 박장현의 46세 당시 호적표. 1899년(광무 3) 2월에 강진군수(康津郡守) 신성휴(申性休)가 46세 박장현(朴章鉉)에게 발급한 호적표이다. 같은 집의 전년도 호적표에는 호주가 박장현의 아버지 박재빈으로 기록되어 있었으나 호주가 바뀐 것으로 보아 그 사이 박재빈이 사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박장현이 살았던 주소는 전라남도 강진군 고군내면(故郡內面) 약산리(樂山里) 제4통 제3호이다. 그의 본관은 밀양(密陽)이며, 아버지는 재빈(載彬), 할아버지는 천익(千益), 증조는 웅준( 碓俊), 외조는 김쾌갑(金快甲)이다. 이전 구호적과 다른 점은 외조 및 자신의 처, 어머니 등의 본관을 기록하지 않은 점과 처의 4조(祖)를 기록하지 않은 것이다. 함께 살던 식솔로는 어머니 김씨, 아내 김씨, 아들 윤원(潤瑗), 윤원의 처 김씨, 둘째아들 윤통(潤統), 셋째아들 윤성(潤成), 넷째아들(潤玉)이다. 딸 1명도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현존인구는 남7명, 여4명, 도합 11명이다. 집은 자신의 소유 초가 3칸뿐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謹頌侍餘體候連爲萬寧耳 宗下姑依 是則幸也 第料有陽宅地世界云云之基야요아조有傳ᄒᆞᆫ마라 盧柳張河之基이라하여 於心不忘 故躬往亦見基則莫是吾盧之可居之地也 時哉時哉 適有山林一片處適當한 基地之有하오니 一次來臨ᄒᆞ와 察覽圖成 如何速速來旬內로 來臨ᄒᆞ시기을雖秋忙한時라도 不失此時을企望 若不此時 宗下之來十日后出他ᄒᆞ겻시니 以此諒之焉餘謹不備候舊十月一日 宗下 盧大蓮可否間速速키回示如何【피봉】〈前面〉光州郡本村面日谷里▣〔盧〕軫永殿〈後面〉全南木浦府達聖寺盧大蓮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