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魯陽院立古沙東追慕儒賢亦美風乾坤元理陰陽配晝夜精神日月蒙李杜文章千載後栗尤道學一心中每年香火春秋續四面衣冠會座同 後學瀛州李炳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建院慕賢聞我東滿鄕士友動仁風淵源千載無間斷稽古曾年有所蒙追憶先師涵泳下更看後學講磨中盛衰自有關於運天理循環今古同 後學彦陽金益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別紙 昔年所講心經今已精熟否當時病冗未得對討卒業常用茹恨也若於此書得力則爲聖爲賢何所不可顧此愧負一生爾筆墨各一奉呈以資箚錄昔年臨訪每不能忘卽見遞中書如奉譚晤慰何可盡喩此不善之積殃禍未殄亡妻之服才闋而又哭長女悲傷之餘喘息僅存而外食之患日月斯棘自料在世似無多日矣靜俟而已惠魚此地所無珍荷無已相見無期寒節加愛【戊午十月二十五日】鬼事日迫不料其相聞也忽於便中承拜惠書如奉談晤極慰孤懷仍審侍奉之安此時所望豈外於是來薧此地所無病胃有賴良謝比患泄痢倩草不宣謹謝狀○臘劑藥糖各少許略表【己未二月二十七日】得書極有慰然之意如使蘇長公見之則必撫掌以爲兒女情矣此間事欲言則長黙會斯可矣相見無期惟祈加珍病倩不宣【己未九月二十三日】某頓首再拜言思想常懸忽於匪意承拜惠書且奉賢胤謹悉比來興寢之候旣慰且感無以爲喩某疾病支離生意僅僅正以此時 召旨荐疊蹜蹙之狀難以名言時運不幸年事大失塡壑之期不遠而邇公私之憂曷有其極祥期已迫伏祝節哀順變以副遠誠謹奉疏伏惟鑑察不備謹疏○祝文筆墨呈上【壬戌八月二十三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別紙 靑春之遊白首相失憂病若此卽未哭几筵又未遂披宿草之計悔恨難忘耳哀何不思而妄執滅性千萬更加精思俯從禮制無負泉下遺愛之至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輓詩 洛建之書世等閑嗟君來讀水雲間如今卄載成陳跡一望南天涕自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華陽夫子簡帖跋【丁丑】 剛齋宋文簡公【稚圭】 斗南朴公世經我先祖尤菴文正公門人也公之後孫仁休自湖南之古阜齎公所得師門簡牘及大字數帒來尋舊誼其意甚勤余延見敍寒暄訖盥手奉閱其所齎者雖片言隻字間固有所感發人者而公之爲人與其爲學因亦可以想得矣蓋因材而篤是聖門敎人之法而程朱以來諸賢每以躐等爲戒於學者苟非公之篤志自修先生何以勉其精熟於心經而仍有得力於此爲聖爲賢何所不可之云耶公旣承此敎則其所奮勵尤當如何也且大字固有見逸不能全者而惟安貧守志四字亦可見期許之不草草矣此豈非後人之所不可不知者耶余方讀心經而衰頹已甚無復精熟得力之望玩繹此帖益愧其虛度壯年也遂略書感歎之意如此而仍爲朴君戒勗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77년 강재윤(姜載潤)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乾隆四十二年七月初二日 姜載潤 乾隆四十二年七月初二日 正祖 姜載潤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 1개(적색, 정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01_001 1777년(정조 1)에 정조(正祖)가 강재윤(姜載潤)을 통훈대부(通訓大夫) 행영릉령(行寧陵令)으로 임명한 고신(告身). 1777년에 正祖가 姜載潤을 通訓大夫 行 寧陵令으로 임명한 告身. *姜載潤이 通訓大夫 行 寧陵令으로 임명됨. *背面: 吏吏李之綱 *상태: 문서 우측 상단 일부 훼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64년 이형필(李馨弼)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同治三年甲子式 行郡守 幼學 李馨弼 同治三年甲子式 靈光郡 李馨弼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1顆(7.3×7.4), 靈光郡戶口(흑색, 12.3×3.6)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13_001 1864년(고종 1)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형필(李馨弼)의 준호구(準戶口). 1864년(고종 1)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이형필(李馨弼)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형필은 영광군 묘량면(畝長面) 제22 창동리(昌洞里) 제1통 제1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58세 정묘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현재 부인은 없으며,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이규순(李圭淳), 이정순(李正淳), 이일순(李日淳)이고, 며느리[婦]는 진산강씨(晉山姜氏), 광산승씨(光山承氏), 나주임씨(羅州林氏)이며, 손자는 이민술(李民述), 손자며느리는 안정나씨(安定羅氏)이다. 가족들의 인적사항 다음에 아들의 외조인 고만구(高萬九)의 직역과 이름이 작성되었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지인(靈光郡守之印)]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98년 강재호(姜載浩) 준호구(准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嘉慶三年戊午正月日 行郡守 幼學 姜載浩 嘉慶三年戊午正月日 靈光郡守 姜載浩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靈光郡守之印(적색, 정방형), 周挾字改印(흑색, 장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25_001 1798년(정조 22) 1월에 영광군에서 유학(幼學) 강재호(姜載浩, 49세)에게 발급한 준호구(准戶口). 1798년에 영광군에서 幼學 姜載浩에게 발급한 准戶口. *주소: 佛甲面 雲堤里 第三統 第二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斗南朴先生遺稿序 完山崔秉心 華陽宋子之門名賢達士彬彬出焉斗南朴先生以學問德行亦嗚一世今未三百年而遺文留墨散落殆盡可勝嘆哉然一臠而知全鼎一羽而知全鳳則以存者考之亦可見其學問之精踐履之篤矣以立敬爲本窮理爲先精通心近二書明於太極性命之蘊眞靈道器之分而性情心三詠及心說一篇尙傅於世矣至於引接後進則惟日不倦必使玩索義理而體之於身心焉其門人以四端理七情氣之說對擧而難之遂力辨云四端發於理者理無不善故也七情發於氣者氣有善惡故也其義不過如是非謂理先發氣先發耳無形無爲而爲主者理有形有爲而爲器者氣此雖石潭之訓而卽朱夫子之意太極雖爲陰陽之主而反爲陰陽所運用此雖師門之說而卽朱夫子之旨聖人起不能易君輩但當遵而勿失無或別生意見也先生學益進志益高華陽大書安貧守志靜裡乾坤八字而贈之以褒其賢及其歿也輓之曰洛建之書世等閑嗟君來讀水雲間如今卄載成陳跡一望南天涕自潛以寓痛惜之意亦可知矣後之觀此稿者必有同余之感者矣今後孫仁圭在源盡心收拾將付剞劂來謁弁文仁圭從余多年誼不得辭然病㞃幾隕神精喪漠艱呼數語而歸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刱建通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古阜鄕校通文【丙申】 儒生金甲載吳海謙等【五十二人】 右文爲通諭事斗南朴先生卽華陽宋子門人也其學問有淵源踐履有規矩心事正大固可爲後學之師表矣先生以立敬爲本窮理爲先整飭衣帶對越終日動靜無間表裏交修經禮史文以至歷代理亂人品高下無不就斯論斯尤長於春秋嘗言數萬文數千指大義只在尊周且精通心近二書闡明性理之奧矣至於引接後進則惟日不倦必使玩索義理而體之於身心焉其門人以四端理七情氣之說對擧而難之遂力辨云四端發於理者理無不善故也七情發於氣者氣有善惡故也其義不過如是非謂理先發氣先發耳無形無爲而爲有形有爲之主者理有形有爲而爲無形無爲之器者氣此雖石潭之訓而卽朱夫子之意太極雖爲陰陽之主而反爲陰陽所運用此雖師門之說而卽朱夫子之旨聖人起不能易君輩但當遵而勿失無或別生意見也先生志益堅道益高宋子曰樂善好義鮮與倫比又曰爲聖爲賢何所不可又大書安貧守志靜裡乾坤八字而贈之以褒其賢嗚乎先生守潭華相傳宗旨而牖後學者大矣此果不爲百世之表準歟噫有盛德必百世祀若先生者非其人耶井邑實宋子受命之地亦朴先生講學之所也其遺風餘韻至今尙在而溪山草木亦含光華則建築院宇奉安宋子以朴先生配享不亦宜乎故鄙等不量{氵+翦}劣玆敢布告伏願僉君子齊聲贊揚以至於有成之地千萬幸甚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全州鄕校答通【丙申】 儒生全中權李道衡等【四十人】 右回通事斗南朴先生沒數百年後而古阜儒林始發建院之議嗚呼其晩矣蓋先生華陽宋夫子門徒之傑然於南服者也先生以重厚之資持守甚確辭氣從容其爲學也立敬爲本窮理爲先動靜無間表裏交修經禮史文天序天秩以至歷代之理亂人品之高下無不就斯論斯尤邃於易學精於春秋大義心經近思之書誦不離喉太極性命之源靡不究極其性情心三詠又心說敬說可謂發明朱宋之大指也宋子嘗曰樂善好義鮮與倫比又曰心經今已精熟爲聖爲賢何所不可宋子之寄托於先生者儘大矣先生之歿輓之曰洛建之書世等閑嗟君來讀水雲間如今卄載成陳跡一望南天涕自潛噫先生學問之高明踐履之篤實實南服之士之從古今希覯而建院妥靈之論寥寥數百年間噫古今縫掖之士公議之攸存顧安在哉況井邑一區宋子受命之地亦朴先生講學之所則過者豈不咨嗟乎亟擧建院共享兩先生則爲世道爲斯文幸甚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羅州鄕校答通【戊戌】 儒生吳大善李鍾奭等【五十一人】 右回通事華陽宋子講春秋大義以明天理正人心爲究竟法及門諸賢多濟濟彬彬斗南朴先生亦其一也其學也居敬窮理其德也眞知實踐耳經禮子史歷代理亂莫不就斯論斯尤長於春秋嘗曰數萬文數千指大義只在尊周心近二書純熟如己言太極性命之蘊道器眞靈之分皆自胸中流出不但傳古人已成之言而已也嘗答四七之問曰栗翁吾邦聖人朱子後一人後學但遵守其議不可妄生異議也先生知道之難行固守東岡確乎有不可拔之志華陽褒以安貧守志靜裏乾坤及其歿也以詩輓之曰洛建之書世等閑嗟君來讀水雲間如今卄載成陳跡一望南天涕自潛可想其痛惜之至而于以見先生之賢矣富春之釣臺猶有嚴子陵之廟惟是井邑則宋子之受命處亦朴先生之講學地而建院之議發於二百載之後嗚乎其晩矣而可見公議之不泯矣亟擧遵奉永爲士林矜式之地則斯文幸甚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