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41년 장무량(張武良)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武良 康津縣監<着押> 周挾無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41년(영조17) 강진현(康津縣)에서 장무량(張武良)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발급한 준호구 1741년(영조17) 강진현에서 신유년(1741)의 호적대장을 참고하여 발급한 장무량의 준호구이다. 고금도(古今島) 진리(鎭里)에 거주하는 호주 장무량은 현재 38세이고 직역은 수군(水軍)이며,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이어서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양인(良人) 장홍(張弘), 조부는 장덕룡(張德龍), 증조부는 구전(九全)으로 모두 양인이다. 외조부는 업무(業武)로 본관이 김해인 김선안(金善安)이다. 처 김소사(金召史)는 38세이고 본관은 김해이다. 소사(召史)는 주로 양인 신분의 여성에 붙여 일종의 직역처럼 신분을 드러내는 용어로 쓰인다. 한자어는 아니며 한글 고문서 등을 참고해보면 당시인들이 '조이, 조리, 죠이, 됴이' 등으로 불렀음을 알 수 있다. 김소사의 아버지는 김애연(金愛延), 조부는 김실(金實), 증조부는 김연삼(金延三), 외조부는 김원병(金元炳)이다. 어머니 김소사는 83세이고, 아들 금생(今生)은 8세이다. 맨 뒷부분에 행현감(行縣監)의 압(押)과 관인(官印)이 찍혀 있고, 장방형의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83년 장대운(張大運)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大運 康津縣監<着押>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83년(정조7) 강진현(康津縣)에서 장대운(張大運)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발급한 준호구 1783년(정조7) 강진현에서 계묘년(1783)의 호적대장을 참고하여 발급한 장대운의 준호구이다. 고금도(古今島) 진리(鎭里)에 거주하는 호주 장대운은 현재 34세이고 직역은 대변군관(待變軍官)이며,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이어서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절충장군(折衝將軍) 장무량(張武良), 조부는 장홍(張弘), 증조부는 장덕룡(張德龍), 외조부는 본관이 김해인 김애현(金愛賢)이다. 아내인 나주추씨(羅州秋氏)는 34세이다. 이어서 나주추씨의 사조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가선대부(嘉善大夫) 추상련(秋尙連), 조부는 추명금(秋命金), 증조부는 추송이(秋松伊), 외조부는 본관이 평산(平山)인 조봉이(趙奉伊)이다. 그리고 아들 장계철(張啓哲)은 10세인데, 장대운의 호구 문서에 처음 등장한다. 맨 뒷부분에 행현감(行縣監)의 압(押)과 관인(官印)이 찍혀 있고, 장방형의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71년 장대윤(張大允)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大允 康津縣監<着押>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71년(영조47) 강진현(康津縣)에서 장대윤(張大允)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발급한 준호구 1771년(영조47) 강진현에서 신묘년(1771)의 호적대장을 참고하여 발급한 장대윤의 준호구이다. 고금진리(古今鎭里)에 거주하는 호주 장대윤은 현재 26세이고 직역은 대변군관(待變軍官)이며,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이어서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 절충장군(折衝將軍) 장무량(張武良)은 68세로 생존해 있으며, 조부는 장홍(張弘), 증조부는 장덕룡(張德龍), 외조부는 본관이 김해인 김애현(金愛賢)이다. 아내인 이천서씨(利川徐氏)는 26세이다. 이어서 이천서씨의 사조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서일태(徐日泰), 조부는 서원적(徐元迪), 증조부는 서계축(徐啓軸), 외조부는 이암극(李諳極)으로 본관은 완산(完山)이다. 증조부 이름은 앞의 1768년 준호구에는 서계축(徐啓丑)으로 쓰여 있다. '축' 자를 음가가 같은 '축(軸)'과 '축(丑)'으로 혼용한 것으로 보인다. 함께 살고 있는 아우 장대운(張大雲)은 현재 21세이다. 맨 뒷부분에 행현감(行縣監)의 압(押)과 관인(官印)이 찍혀 있고, 장방형의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98년 장계득(張啓得)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啓得 康津縣監<着押>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98년(정조22) 강진현(康津縣)에서 장계득(張戒得)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발급한 준호구 1798년(정조22) 강진현에서 임자년(1798)의 호적대장을 참고하여 발급한 장계득의 준호구이다. 고금도(古今島) 진리(鎭里)에 거주하는 호주 장계득은 현재 35세인 홀아비[鰥夫]이고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이어서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장천익(張天翼), 조부는 절충장군 장무량(張武良), 증조부는 장홍(張弘), 외조부는 서공명(徐公明)으로 본관은 달성(達城)이다. 홀아비이기 때문에 처(妻)에 대한 정보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올해 16세인 딸 아지(阿只)가 있다. 맨 뒷부분에 행현감(行縣監)의 압(押)과 관인(官印)이 찍혀 있고, 장방형의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98년 장대운(張大運)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大運 康津縣監<着押>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98년(정조22) 강진현(康津縣)에서 장대운(張大運)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발급한 준호구 1798년(정조22) 강진현에서 무오년(1798)의 호적대장을 참고하여 발급한 장대운의 준호구이다. 고금도(古今島) 진리(鎭里)에 거주하는 호주 장대운은 현재 50세이고 직역은 대변군관(待變軍官)이며,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이어서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절충장군(折衝將軍) 장무량(張武良), 조부는 장홍(張弘), 증조부는 장덕룡(張德龍), 외조부는 본관이 김해인 김애현(金愛賢)이다. 아내인 나주추씨(羅州秋氏)는 50세이다. 이어서 나주추씨의 사조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가선대부(嘉善大夫) 추상련(秋尙連), 조부는 추명금(秋命金), 증조부는 추송이(秋松伊), 외조부는 본관이 평산(平山)인 조봉이(趙奉伊)이다. 그리고 아들 장계철(張啓哲)은 26세이다. 맨 뒷부분에 행현감(行縣監)의 압(押)과 관인(官印)이 찍혀 있고, 장방형의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기미년 박천구(朴天球)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朴天球 李生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미년에 박천구(朴天球)가 이생원(李生員)에게 상대방의 백씨(伯氏) 상(喪)을 위로하면서 숙부를 비롯한 여러 식구들의 건강을 염려하는 내용의 간찰 기미년 11월 3일에 박천구(朴天球)가 이생원(李生員)에게 보낸 간찰이다. 상대방의 백씨(伯氏) 상(喪)은 꿈에서조차 생각지 못한 일이고, 부음을 받고서 놀랍고 슬펐던 심정이 진정이 되지 않는다며 애도를 표하고, 우애가 돈독하였는데 비통한 심정을 어떻게 견디고 계시냐고 안부를 물었다. 아직 양례(襄禮)는 치르지 않았다고 들었는데, 숙부께서는 병이 나지는 않았고 형께서도 비참한 가운데 염려가 더욱 클 텐데 그 때문에 더욱 그립다고 하였다. 또 근래 날씨가 점점 쌀쌀해지는데 형의 건강에 손상은 없는지, 식구들 모두 어떠한지 두루 안부를 물었다. 자신은 달포 전에 당숙부의 상을 당해서 참담하다고 하였다. 상대방의 조카 되는 형을 오랜만에 만났다가 바로 작별하여 아쉬움과 위안이 교차한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74년 장대운(張大雲)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大雲 康津縣監<着押>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74년(영조50) 강진현(康津縣)에서 장대운(張大雲)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발급한 준호구 1774년(영조50) 강진현에서 갑오년(1774)의 호적대장을 참고하여 발급한 장대운의 준호구이다. 고금도(古今島) 진리(鎭里)에 거주하는 호주 장대운은 현재 24세이며,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이어서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절충장군(折衝將軍) 장무량(張武良), 조부는 장홍(張弘), 증조부는 장덕룡(張德龍), 외조부는 김애현(金愛賢)이다. 처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것으로 보아 혼인하지 않고 분가한 것으로 보인다. 맨 뒷부분에 행현감(行縣監)의 압(押)과 관인(官印)이 찍혀 있고, 장방형의 주협무개인(周挾無改印)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병인년 박정곤(朴珵坤)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朴珵坤 査頓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인년에 박정곤(朴珵坤)이 사돈에게 혼인을 맺게 된 기쁨과 며느리에 대한 칭찬을 하면서 보내온 예물에 대해 감사 인사를 하는 내용의 간찰 병인년 3월 13일에 박정곤(朴珵坤)이 사돈에게 보낸 간찰이다. 옛 우의도 이미 돈독했는데 이번에 새롭게 혼인을 맺게 되어 몹시 기뻤지만 혼례 자리에서 편안하게 대화를 나누지 못하고 돌아와서 아쉬운 마음이 가득하다고 인사하였다. 그리고 요즘 생활은 편안하시고 아드님도 잘 지내며 식구들 모두 평안한지 두루 안부를 물었다. 자신은 돌아와서 평소처럼 지내고 있다고 하고, 새로 맞이한 며느리가 차분하고 용모가 단정하여 부덕(婦德)을 갖추었으니 새사람을 맞이하는 경사가 매우 크고 기쁘다고 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아들이 부족한 구석이 많으니 사돈께서 너무 미워하지 말고 잘 지도하여 성인의 방도를 알게 한다면 사돈 맺은 우의가 어찌 크지 않겠냐고 하였다. 그리고 보내온 난물(餪物)이 너무도 풍성한데 이쪽에서 보낼 물품이 전혀 없어서 죄송하고 부끄럽다고 인사하였다. 난물은 딸을 시집보내고 사흘 째 되는 날 친정에서 보내는 음식을 말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3년 장재풍(張載豊)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載豊 康津縣監<着押> 帖子印,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13년(순조13) 강진현(康津縣)에서 장재풍(張載豊)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발급한 준호구 1813년(순조13) 강진현에서 계유년 호적대장을 참고하여 발급한 장재풍의 준호구이다. 고금도(古今島) 진리(鎭里)에 거주하는 장재풍은 나이 32세로 홀아비이고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이어서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장대운(張大運), 조부는 절충장군 장무량(張武良), 증조부는 장홍(張弘), 외조부는 가선대부 추상련(秋尙連)으로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홀아비이기 때문에 처(妻)에 대한 정보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맨 뒷부분에 행현감(行縣監)의 압(押)과 관인(官印)이 찍혀 있고, 장방형의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이 찍혀 있다. 행현감의 압 아랫부분 여백이 도할(刀割)된 상태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9년 장지성(張指誠)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張指誠 康津縣監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19년(순조19) 장지성(張指誠)이 자기 호(戶)의 인적사항을 기록하여 강진현(康津縣)에 제출한 호구단자 1819년(순조19) 고금도(古今島) 진리(鎭里)에 거주하는 장지성(張指誠)이 자기 호(戶)의 현황을 기록하여 강진현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원래의 호주였던 장득철(張得哲)이 사망하여 동성(同姓) 사촌인 장지성이 대신 호주가 되었으며, 현재 나이는 31세이고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이어서 장지성의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다. 아버지는 한량(閑良) 장대운(張大運), 조부는 절충장군 장무량(張武良), 증조부는 장홍(張弘), 외조부는 가선대부 추상련(秋尙連)으로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장지성은 아내가 없는 홀아비로서 다섯 살인 딸 아지(阿只)만 기재되어 있고 처(妻)에 대한 정보는 없다. 호구단자는 호주가 작성하여 관에 제출하면 대조 및 확인 작업을 거친 후 다시 돌려주는 과정에서 지방관의 서압(署押)이나 관인(官印), 주협무개인(周挾無改因), 또는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 등이 찍히기도 하는데, 이 호구단자는 그러한 흔적은 없이 하단에 '서(書)'라고 쓰여 있어 확인 후 다른 대장(大帳)에 올렸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 문서는 기묘식년의 호적대장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졌고, 실제 작성은 반년 전인 무인년(1818) 9월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80년 장대운(張大運)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大運 康津縣監<着押>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80년(정조4) 강진현(康津縣)에서 장대운(張大運)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발급한 준호구 1780년(정조4) 강진현에서 경자년(1780)의 호적대장을 참고하여 발급한 장대운의 준호구이다. 고금도(古今島) 진리(鎭里)에 거주하는 호주 장대운은 현재 31세이고 직역은 대변군관(待變軍官)이며,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이어서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절충장군(折衝將軍) 장무량(張武良), 조부는 장홍(張弘), 증조부는 장덕룡(張德龍), 외조부는 본관이 김해인 김애현(金愛賢)이다. 아내인 나주추씨(羅州秋氏)는 31세이다. 이어서 나주추씨의 사조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가선대부(嘉善大夫) 추상련(秋尙連), 조부는 추명금(秋命金), 증조부는 추송이(金松伊), 외조부는 본관이 평산(平山)인 조봉이(趙奉伊)이다. 맨 뒷부분에 행현감(行縣監)의 압(押)과 관인(官印)이 찍혀 있고, 장방형의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古今島鎭里辛卯式戶籍單子戶鰥夫張龍伊年五十二戊戌本仁同父大運祖折衝將軍武良曾祖 弘外祖嘉善大夫秋尙連本羅州率女年十四等庚寅九月日行縣監[押][帖][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古今島鎭里辛卯式戶籍單子戶閑良張至誠年四十三己酉本仁同父學生大運祖折衝將軍武良曾祖學生 弘外祖嘉善大夫秋尙連本羅州率女阿只年十八出嫁庚寅九月日行縣監[押][帖][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古今島鎭里甲午式戶籍單子戶鰥夫張龍伊年五十五己亥本仁同父大運祖折衝將軍武良曾祖 弘外祖嘉善大夫秋尙連本羅州率女年十七等癸巳九月日行縣監[押][帖][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姜氏 贈淑夫人者光緖十八年十月 日[施命之寶]依法典從夫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徐氏 贈貞夫人者光緖十八年十月 日[施命之寶]依法典從夫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爲通政大夫行敦寧府都正者光緖十八年十月 日[施命之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贈通政大夫承政院左副承旨者光緖十八年十月 日[施命之寶]通政大夫行敦寧府都正 祖考依法典追 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贈通政大夫兵曹參議者光緖十八年十月 日[施命之寶]通政大夫行敦寧府都正 曾祖考依法典追 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孺人 氏贈貞夫人者光緖十八年十月 日[施命之寶]通政大夫行敦寧府都正 妣依法典追 贈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