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경기도 으로 검색된 결과 104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죽산(竹山, 경기도 안성지역 옛 지명) 땅이다. 早發至玄峙朝飯, 抵龍山登酒幕中火, 未及陳村, 聞金大妃喪訃音, 抵陳村留宿。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양지(陽地)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에 있는 마을 이름이다 용인(龍仁) 지금의 용인시로, 한반도 및 경기도의 중심에 있으며, 동쪽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장조의 장지는 처음에는 경기도 양주시의 배봉산(拜峰山)에 있었던 영우원(永祐園)이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칠원(柒原)에 이르러 아침을 먹은 뒤에 진위(振威, 경기도 평택) 읍 앞에 이르렀다. 비를 만나, 서둘러 오매(烏梅, 수원시 오산동) 객점에 이르렀다. 의관이 다 젖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고봉현(高峯縣) 지금의 경기도 고양시를 말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남태령(南泰嶺)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에서 과천시 과천동으로 넘어가는 고개로서,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의 경계가 되는 고개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형 창협과 함께 성리학과 문장으로 널리 이름을 떨쳤다. 1689년(숙종15)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아버지가 진도의 배소(配所)에서 사사되자 형들과 함께 경기도 영평(永平)에 은거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등이다. 1610년(광해군 2)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관에 들어가 설서(說書), 북평사(北評事), 선전관(宣傳官) 등을 지냈다. 1618년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관직에서 물러나 경기도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영접도감(迎接都監)에서는 이경증이 청한 내용을 인용하고 평안도뿐만 아니라 황해도와 경기도를 포함한 3도에 모두 부교를 설치하지 말라고 통지할 것을 청하여 인조의 허락을 받았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경기도 남양주에 있는 광릉은 세조(世祖)의 능(陵)을 말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광릉은 경기도 남양주에 있는 세조(世祖)의 릉(陵)을 말하며, 참봉의 품계는 종9품(從九品)이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오산(烏山) 경기도 남서쪽에 있다. 옛날에는 서해에서 오산에까지 바닷물이 들어와 배가 드나들었다고 하여 오산(鰲山)이라 불렸다고 하지만 정확한 것은 알 수 없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오매(烏梅) 경기도 수원시 오산동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소사원은 삼남대로 경기도 구간의 마지막 원으로 충청도에서 넘어가는 관문 역할을 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효릉(孝陵)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에 있는 인종과 비 인성왕후(仁聖王后) 박씨의 능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외조부는 이행윤(李行潤)이고, 본관은 양성(陽城, 현 경기도 안성)이다. 아들은 나운집(羅雲集)이고, 나이는 36세이며, 병술년(1826)생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명릉(明陵)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산30-1번지 서오릉 안에 있는 조선 제19대 왕 숙종과 계비 인현왕후, 두 번째 계비 인원왕후의 무덤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공문서

大正三年 七月 卅一日 李宜容 始興郡守 大正三年 七月 卅一日 李宜容 始興郡守 경기도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산소는 경기도 안산군 물항동에 소재해 있다. 사초는 묘소에 떼를 입히고 정비하는 일을 가리킨다. 4일부터 17일까지의 기록이며, 내역은 날짜별로 정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大正五年 拾貳月 九日 李宜容 蘇萊面長 大正五年 拾貳月 九日 李宜容 蘇萊面長 경기도

상세정보
104
/6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