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문현주, 『조선시대 호구단자의 작성에 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석사학위논문, 2008.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대정현(大靜縣)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 있던 조선시대의 지명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조선 후기에 국가의 재정이 궁핍해지자 정부에서는 백성들로부터 돈이나 쌀 등을 받고서 사령장을 발급하였다. 이 사령장을 납속첩이라고 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40년 문과에 합격하고 1543년 홍문관 박사 겸 세자시강원 설서를 역임하여 당시 세자였던 인종을 가르쳤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시대의 양반들은 금전이 수반되는 거래 행위를 기피하여 자신의 노비에게 금전의 수수(授受)나 물건의 매매 등을 위임하였다. 이때 작성된 문서가 패지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시대의 양반들은 금전이 수반되는 거래 행위를 기피하여 자신의 노비에게 금전의 수수(授受)나 물건의 매매 등을 위임하였다. 이때 작성된 문서가 패지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아마도 당시 부안현의 환곡 가운데 일부는 관노들이 담당하고 있었던 것으로 짐작되는데, 주지하는 바와 같이 조선후기의 환곡의 운영은, 환곡제도를 처음 제정할 당시의 취지에서 크게 벗어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 시대에는 토지의 면적을 표기할 때 수확량, 파종량, 경작시간 등을 기준으로 산출하여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돈녕부는 조선 시대 종친부에 속하지 않은 종친과 외척을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용양위는 조선 중앙군인 5위(衛)의 하나로 1882년(고종19)에 폐지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현감은 조선 시대 최하위의 지방 행정구역 단위인 현(縣)의 우두머리로 지방 수령으로서는 가장 낮은 관직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 태조 이성계가 이곳에서 하룻밤을 자고가면서 이런 궁벽한 곳에도 객주집이 있다고 하여 객주집터라 하여 집관(館)자, 터기(基)자를 써서 관기라고 불리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신철구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진명(軫明)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문서도 수정해야 함. 1개(적색, 정방형) 전주 송진택가 전주역사박물관 이동희 편, 『조선시대 전라도의 감사·수령명단』, 전북대학교 전라문화연구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泰仁縣監 전라북도 태인군 泰仁官[着押] 2개(적색, 정방형) 전주 송진택가 전주역사박물관 이동희 편, 『조선시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曰承流宣化之責。惟在於方伯守令。而今之按閫闑者。無范滂澄淸之志。任字牧者。乏龔黃循良之治。分憂承化。罕見其人。而國計民憂。置之度外。凶年餞歲。野多餓殍。而不念振活之方。愚氓憚民。或犯綱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祖先文字。留子孫家。以爲子孫觀。未爲不可。切不可刊行于世。辱先大矣。何者。今俗有祖先文字。則刊板爲多帙。無論知不知家。皆送之。受以爲壁塗者。吾嘗目焉。秤重而送紙房。作還紙者。吾亦耳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使朝鮮君民。至有今日。皆皇明賜也。丙子城下之恥。可忍哉。使臣子秉彛之性。不昧乎尊攘大義。而至於數百載之久。窮荒之野。庶人屋樑。例書崇禎字者。此非斥和諸公扶植之力哉。因慷慨累歔不已。公御家。寬溫簡重。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中廟朝選翰苑忠。淸介直。名重於紳。官止弼善。世稱止齋先生。今羅氏之居羅城西。以文學世其家者。皆其後也。又三傳。而曰南磵先生諱海鳳。當光海時。積忤㐫黨。屛跡山林。仁廟反正。除禁火司別提。謝恩不仕。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1911년 6월 15일에 조선총독부령 제73호 경학원규정에 따라 경학원을 부활하였으며, 천황의 하사금으로 설립되어 총독부의 식민 정책에 부합하는 교육 기관으로 전락했다.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