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省記 으로 검색된 결과 2075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性氣豪爽。鬱鬱有凌駕千人之氣。至成童。束閣書冊。日與俠少輩。馳馬飛鹰。流連不返。其大人憂之。謂族弟芝南公曰。古者易子而敎。君未可爲之諭之使返於正耶。芝南乃招以語曰。牛耕者也。若不可耕而善博觸人。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술이 익을 무렵 쌀알만한 녹색 기포가 생기는데 그 모양이 마치 개미가 기어가는 것 같아 이를 '술개미'라 하고, 그러한 술을 '부의주(浮蟻酒)' 또는 '녹의주(綠蟻酒)'라 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것인 듯합니다.분묘(墳墓)에 화재가 난 경우에 대해서, 예에 사당을 지나면 수레에서 내리고 묘소를 지나면 경의를 표한다고 하였는데, 모든 묘제(廟祭)와 묘제(墓祭)에 어떤 일이 생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高興申永雨 高興奉爐趙永鉉 高興金貴桓 高興司尊宋聲旭 釜山奉爵白永植 寶城奠爵金洪鍾 高興庚申九月初三日秋享初獻文泰錫 寶城亞獻李楨宇 高興終獻廉東玉 寶城執禮任平模 寶城祝 申有植 高興典祀朴星奇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生寄書于諸宗曰。世變雖至此極。吾君之服。不可不服。與門生知舊。痛哭於精舍後深處。聲淚俱徹。於是無敢有異議者。已未二月因山定日。先生曰値此千古非常之變。而豈可晏然如常時哉。且今受制於彼賊。雖不能依禮。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性既得爲師, 則其師之者誰也? 其非心乎? 心既師性, 則非弟而何? "心統性情", "統"字只作兼統之意, 不以統帥看, 則與"性帥心弟"之言, 恐無逕庭, 如何主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슬픈 것은 상위(喪威)를 겪은 이래로 정신이 혼미해지고 근골이 마비되어 사색의 구멍이 전부 닫히고 떨쳐 일어날 힘이 완전히 끊어졌으니, 비유하자면 서리를 맞은 약한 풀이 쓸쓸히 생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雙汀金在淇, 與奇松沙(八), 與吳後石, 答吳難窩, 與梁草史(相衡), 贈族姪啓宖, 答密陽宗中, 與南松崔基相, 與本倅金(天洙), 答朴駿相, 與應敎李(炳鋈), 與主倅閔(泳采), 答主倅金(聖基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今以別紙錄呈, 蓋鄭評事文孚事, 先人嘗稱道而惜之, 今見此記, 又躬訪於此處人士, 則其功大矣, 而生旣被誣, 不遇於世, 沒又無人表章者, 誠可惜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城居前察訪朴興宗等, 謹齋沐百拜上書于閤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 못……읊조리니 굴원의 〈어부사(漁父辭)〉에 "굴원이 쫓겨나 강담에서 노닐고, 못가를 거닐면서 시를 읊조리매, 안색이 초췌하고 형용에 생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鄙面而生其爲庇風雨壽屋一也。飯後出菴門。不數十步。有石䑓。如今長頸匏之掛壁。蔕連菴後石峰上。有土膚。被以金莎中。安數尺之塔。三方皆阧削。視地窈然。若余者匍匐。據石而臨之。猶眩轉不能久視。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將何施而董成之臣百拜莊誦丹忠自激臣竊伏惟念湖南我國肇王跡之地蓋山川靈秀宜乎異人之篤生風土溫厚宜乎王業之是資龍飛鳳舞之勢盡萃於完山璿璜玉泒之源先發於湖鄕終南佳氣由是而欝葱漢南雄都因玆而剙基殆若天作之高山以啓姬周之寶籙矣肆我英宗大王建肇慶廟而倣周家之祀后稷之禮號豊沛館而依漢祖思故鄕之意億萬年無疆之休豈不由於湖南一二日在玆之念豈不在於湖南若夫人才之蔚興風俗之文明物産之茂盛何莫非我聖祖化家爲國之所根柢乎然而湖南之山川不改而湖南之民瘼日甚湖南之風俗依舊而湖南之生理漸艱分其條而欲論則指不可以盡屈列其目而欲言則書不可以盡記蓋其矯弊之責如之何而可也得人而治之是己請因聖問所及者歷陳之噫井田之制廢而結役之法行三十八畝爲一結而一畝爲十四負則庶幾乎什一之稅也惟其量田之時沃瘠不分長廣失實雖用甲戌之尺庚子之量安得無混淆之弊乎以言乎大同之弊則一結之米不過十二斗豈不輕歇而日滋奸謀歲加濫捧以民間常用之斗昔之所納不過十二斗今則至於十七斗朝家本無加賦之令而古今之所入輕重如此則民安得不悴乎利歸於下而怨歸於上豈不大可寒心者乎此其爲結役之弊也噫常平之制廢而糴糶之法作果是養民之善政而今爲害民之痼弊每當捧糴之時一包之穀精備以納或至十六斗或至十七斗及其分給之時太半空殼一包之糓不過八九斗也粒粒辛苦之米盡入於官倉則窮春契活之資專在官穀而所受如此則此豈創法之本意乎營邑不覈虛實而任其所弄則吏奸之潜售亦何足恠乎羅浦之頻移固爲不緊而濟倉之旋廢亦何妨乎此其爲糶糴之弊也噫以均稅論之則此非病民之法而所以病民者貪吏之故也胥徒之致也魚鹽漸縮物價聳貴只綠食者之衆也豈是均稅之害也噫漕倉自咸移沃者不過因時變通之政豈有得失之可論乎取耗之式創自國初而權近量減之語果有所見而惜無文子之可考矣險洋立標固無風波臭載之憂矣沿海護送則宜無尾閭之弊矣然而斗剩之潛除賃船之故敗相續是可曰國有常刑乎船工之納賂駕糧之和賣私情狼籍所費不貲稅米之濫捧專由於此人心之不良其亦甚矣噫以軍丁論之則最是痼弊而亦難矯正富實者皆得逃避貧殘者無資以免緇徒還俗則可知僧役之重於俗人矣寺奴投良則可見其苦之甚於良人矣此其爲軍政之弊也噫以關防論之則淸海張保皐之所仿設也帶方劉仁軌之所經理也統營之不置於淸海以其形地之不便也楊元之一敗於帶方由於用兵之失律求禮鎭之陛節度營及潭陽之金城山長城之笠巖山無非設險之義而皆不若赤裳山之天府也八良峙之築城固無益於關防而左右閫之移艙亦何補於守禦乎噫以法令論之則法立而不犯令行而不廢然後王政可擧也封山之設禁爲其斧斤之以時入山林也然而名山濯濯自無靈明之氣此昔人所以勸野墾而禁山耕者也庖禁自是朝家之令典而東俗喜食牛肉無異於酒禁之難行農牛漸貴耕作失時此豈細憂哉昔程子以年凶歸之殺牛之寃氣此非仁人之所可念者乎扇轎皆是些少之弊固不足論而至於宮房導掌之弊不可與吏鄕之弊同日而語也各邑之斗斛各異皆由於胥吏之幻弄也同律度量衡聖人之大法而我國所用不同奸僞之習由是而滋生欺詐之謀因此而變幻此非可憂之甚者乎凡此七條之弊紛爲一路之瘼此實我殿下特軫憂念而發問者也臣伏讀聖策自肆予不德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生旣以言事。方在謫中。浩歎奈之何。曰目睹國家危亡之機。決於呼吸。爲臣子者。何不爲憂慮乎。盖先生憂國愛君之誠。出於天性矣。二十七日余曰。萬東廟撤享時。全羅儒生會同。將營叫閽之擧。道乃某某有名的二人者。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 答柳鳳煥(在鳳) 卷 6 書 : 答奇公吉(老善), 答吳柱原(榮均), 答奇允明(堯錫), 答朴會周(英柱), 答白聖岡(鳳圭), 答崔允實(光奎), 答吳義養(直敎), 答朴聖居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成己丑獄。三峯果何說。殃魚誠可惻。惟歲壬辰夏。倭酋大侵寇。八域如土崩。人民鳥獸走。東萊已陷敗。【宋府使象賢死之】鳥嶺又不守。日兵薄京城。大駕已西狩。各道諸義兵。勝敗亦多端。【金判官之晉州。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城起於此接而築之。勢甚牢固。號鐵甕。實一道保障。至魚川。後麓有亭曰四絶。指山水風月也。時丁端陽。歌鼓喧闈於堂上。堂下則楊柳陰裡嫩妓佳娘鳴鐺耳盛服色搖亂鞦韆者。不計數百。此土年例渡月林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그리하여 이러한 군병들이 평상시에는 생계를 꾸려나갈 수가 없고76) 급박한 사태에 임해서는 싸우려는 마음이 생기지 않게 하였습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則理本生氣。自流行言。則氣或害理。此其平日雅素之言也。至若答金景範問目有曰。爲昧者言。不得不曰。善者根於理。不善者作於氣云云。夫平說則謂不善作於氣可也。極言之則不善亦生於理。如程子所謂惡。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聖起宮室之制。 規之日測之景。 後生倣茅茨之儀。 詩稱胥宇之章。 禮有正寢之則。 主人農圃中迂學。 詩酒間醉翁。 志壯畫龍。 未得點睛之妙術。 心存買櫝。 徒起還珠之浩嘆。 西河之索居無聞。

상세정보
2075
/10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