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曉起 鷄聲半雜小溪聲。斗柄橫天曉月明。庭面團團松露滴。園心瑟瑟竹風鳴。盈樽有酒悲窮士。處世無官愧此生。東國無人言孝悌。開簾不復訪君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早春 緩步深園賞早春。霏霏煙雨過東隣。紅光先入梅花吐。靑氣初生柳絮新。無限悲懷翁歎老。轉漆愁意客傷神。寒門要路同時至。不似炎凉世態人。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夏日作 深泥行盡到林長。酷熱侵身叫欲狂。言必論賢存義理。事多循俗奈炎凉。計優治業能勤力。才拙吟詩强搜腸。五柳垂門三逕菊。潯陽古迹復山陽。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人後作 巷口人稀靜若虛。芳隣必擇上仁居。無言石是千年佛。相愛村纔五比閭。竹戶淸風觀楚史。梅窓暇日寫唐書。出門俄送登高客。貪看名山幾策驢。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友人相呼 雲影盡收山影孤。石頭渾醉萬愁無。坐看獜經能懷義。起舞龍泉可防胡。己已相從君鮑叔。吟詩非愛我堯夫。使吾願得千間廈。大庇東方寒士徒。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聞時擾更起思親 崎嶇世道正難行。風雨漁陽尙未晴。夜夜夢迷湖北路。時時志在漢南城。高樓幾灑思親淚。遠地應多憶子情。借問鸎兒知我事。晩風嬌語轉還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用前韻。與友復唱。 吾友於吾勸敎深。一言責善重千金。讀書自有安民策。戀闕能懷輔國心。我如居易同香社。君若陳遵動士林。可憐明發相分後。詩意短長誰共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述懷 口何輕也語何長。自笑主人性太强。雲不染塵常淡淡。煙惟近俗舊蒼蒼。世無賢毋三遷敎。家有古書萬卷藏。消息南州多險惡。聞來志士淚沾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朴久之【永相丁酉】 皮封頭簽罪生疏上云云。鄙意功不然。嘗見諸門往復。多書侍生孤子。門人孤子或哀子。況書疏以極尊人爲主。疏上上當加再拜。竊觀世人。上師門書皮封書某里生某姓生至爲不可。若是泛泛平降處。則常事至於師門。何等所重皮封裏面。當書門人姓名。再拜上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崔贊改【庚子】 聞門下。今春作智異翫智異。若翫三神。皆周山水事。亦可謂了矣。門下固天生生朝鮮。朝鮮事何事不了。禁獄典館許多威霜。猶不廢夏侯尙書。耽羅黑島如干毒瘴。亦不染涪翁髭髮。氣力康健。不須更問如勳者地也朽壤氏也。孱閥撑胸。素抱一未能試。以山水事言之。四山雖閱。北不脚白頭。南不目漢挐。今也。則銳氣都消脚目。非復前日。人其爲恨洩有時乎。遇鍾期不慚流水之奏。敢此唐突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族孫箕赫【甲辰】 細浦歲祀業擬往參。頃將束裝。而傳聞洶洶。難脚其境。無奈何止矣。手眞忽到。反極愧悚。愚於八域閱人亦多矣。文行表特於君實初見。勉之勉之。尤克有終。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柳持平【壬辰】 仙庄三數霄侍宿可但勝十載前舊交哉彈紫陽琴。歌鹿鳴。亂遠遊賡。三律幷小序。結襪子送餞于江上。歷歷當時。景象常七分。憧耿諸心眼間。顧世無龍眠居士。誰能爲公與我模寫眞本傳爲勝事歟。況所贐文行忠信說與。華陽洞次尤翁韻二編。歸恒披閱。不惟動也。受賜多南方學者。往往謄播。其爲補風敎。如何可量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崔贊政【己卯】 按大明一統志。程朱所過一憩馬一嘯詠之地。無不起書院。自公行過。南中人士無不想慕。望之若景星鳳凰。仰之如泰山北斗。好賢無已。今古同然。安知他日不有一統志之擧耶。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崔贊政【丙申】 國步艱難。於古何限。實未有此時。若此時事中殿先弑大駕。又遷況剃髮。是大東初事。義兵雖欲不起得乎。鄕議攸齊。猥以盟主驅之策之。不惟此任。任重責大。奈龍鍾之眼盲脚酸何。然丈夫旣生此世死則已。豈以蝸屋蛇蟄臥。絶婦人手乎。多小措畫。不惜導示。母至誤着。千萬千萬。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族孫在福【丙午】 秋夏來閴。無聞聲息。紆鬱紆鬱。近適聞路。便則得男子云。可謂喜而不寐者也。其爲慶賀。何能盡喩。徑欲直往見撫。而襄脚未能勇往。人事可爲疏矣。嚮所詢改葬。蓋非父母無服旣服緦。則當首腰絰無疑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羅士彦【容煥癸卯】 麥出其可曰活歟。四聞景象將朝夕矣。念昔尊上舍大人義廳歌詩。尊家忠憤已自有來。尊何以爲慮此時乎。擧言生不辰。此蓋爲凡人言。若以不凡人言。此時實亦其辰處四窮。首卽娘囑托。靡所加以奔汨喫着。此時困阨。安知不爲異日受用之資耶。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玉三【容璿】問目【丙午】 忌祭讀祝。或以鷄鳴前後說。余嘗問肅齋曰。當其夜天氣淸明之時行之可也。又問鼓山曰。公祭皆以子夜半行之。私家則鷄鳴後讀祝可也。兩先師語如此。雖不敢妄議。余則以鼓山語永爲家法焉。重庵祭鼓山文。淸脩高節。黃花緣竹兩處。艮齋以帝魏事用佛語誚之一款。余問重庵答云。虛心平氣看之。則可知矣余快覺前疑。卽往從矣。有心哉子之問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崔贊政 天解吾東。今日之運送明公。其間扶持五百許年。綱常況昨秋一疏。尤是鈺振於終條理。未豞得徹下。批之如何。而雖婦孺靡不歌於口而舞於心。蘇源明曰。吾不幸生衰俗所不恥者。識元紫芝。勳於明公亦云。平生胸肚所蓄。非無明公此志。而奈不幸時不遇回甲光陰浪。抛擲無何鄕中春間。所謂義擧。是勳出門第初步。而人心未赴。束手中途。天也誰尤。自咎龍鍾乎。然則所不恥識明公者。果安在哉。自是以來。寢驚寤慄。常恐移累於明公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東遊錄 金剛一萬二千峯。餘興飄飄盡嶺東。臥遊恰有三杯酒。終日空堂許盪胸。○楓山灝氣千年積。蓬海滄波萬丈深。【右二句尤齋詩】山海爭雄誰得似。巴溪句律更長吟。○千山揖讓皆同德。萬水朝宗作大家。【右二句華西詩】到得華翁天且泣。詞林今古摠虛誇。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