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逢李石湖戱題 天與淸貧奈自憐。安吾所命做眞人。赤心存我那隨變。靑眼逢君乃切親。花到爛紅還易老。竹依舊綠更添新。此生恨未程門學。立雪何時更坐春。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遯菴從閒話 松竹風凉夏氣淸。西暉苒苒上簾旌。芝蘭臭味君嘗得。葵藿誠心我自傾。石裂泉源從穴出。峯開雲影補虛生。耘禾前野農歌滿。引入詩人畫太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登。紫霞峯遊仙亭。 遊仙亭上獨徘徊。故待神人來不來。放杖欄頭因久坐。前峯祗有紫霞回。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登珍山玉溪亭 珍山之上玉溪亭。遠客登臨眼忽醒。借問主人何處去。白鷗無語下前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崔友。暮過龍城。 落日龍城路。忙忙二客還。暮煙生遠樹。微雨過前山。奔走同千里。苦辛各一般。主家何處在。近隔亂林間。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見我國人。着洋服。有歎。 人是我人服是洋。書生見此忽心傷。自玆禮義東方國。敎法陵夷滅五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次。廉蘆月。龜山精舍原韻。二首。 千仞崔嵬業已成。一山壁立萬山輕。詠歸沂水春風暖。興入濂溪霽月明。要路靑雲皆外府。書生白屋奈寒情。十年堅坐誠何事。老大奇材少識名。一簣不虧九仞成。無官何必恨身輕。春園楊柳風初拂。秋水蘆花月正明。老理古經知好樂。靜觀時物得眞情。龜山亦在人間地。未遯平生好學名。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天下無難事戒 處世最難事死耳。死外豈復有難事。果能辦得一死。天下大都無難事。孔曰成仁。孟曰取義死。蓋謂如此死不如此死。死雖萬死。人不以死許。觀近日域中。生可謂死。死可謂在。卽然則度此生。惡乎爲可當於平閒無事時。豫把死一字。習熟講討。冪置我胸肚間。庶無錯蒼黃急遽之頃。書以自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天降亂離歌【語在方正學絶命詞中】 開化開港兆朕久。天降亂離兮。倫彝滅絶分義亡。天降亂離兮。災異乖常無時無。天降亂離兮。魍魎夜又交蹄跡。天降亂離兮。氣化人事所反覆。天降亂離兮。弑母脅約變莫極。天降亂離兮。疆土三千盡歸彼。天降亂離兮。百哭萬哭哭爲歌。天降亂離兮。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啞而聾續歌【乙未夏間童謠新出無處不爛唱曰啞而聾】 天運如此。國運如此。啞而聾。啞而聾。世事如此。人事如此。啞而聾。啞而聾。不啞焉容。不聾焉容。啞而聾。啞而聾。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寢驚起歌 胡爲乎連夜。寢驚起寢。或放哭驚。或褫慄起。或涕泗交流。袖尙不忍狹。黑尙不忍黑。況髮也尙忍削。陽界頃暫留。髮也本受父母。師敎而冠。君長而成。一削。無君無師無父母如此。而生敢曰生此髮所重。重如此。然不可與不知者道。獨抱皇明大一統。倀立徊徨。孰有導。飛天難。入淵難。四顧實無處可容天地廣大。且勿說惟有一死答我君師父共長終。曾子全歸。張子沒寧。平生所履。是坦途舊樣體髮舊樣衣地下萬萬年孔氏之徒。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金子元 堪歎流俗弊。聲利彌滔天。今日所相勉。躬行宜莫先。壯年勤負笈。千里遠來尋。非不商量合。先須一乃心。目慙身上少經綸。窮臥空山寂寞濱。縱乏出謀需世用。講明斯道喩來人。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檢川金孝子記實 咸平邑誌有曰。檢川金善日。以孝復戶。善日余按知爲吾金。其實迹未有聞。後過高山檢川間。村老往往說金孝子基。蓋其細瑣。姑置大槪。如割股斷指廬墓。而虎護蛇避等語。不啻如目擊。始信孝子孝行大槪。大槪如此。其細瑣不問可詳。我國朝樹風。可謂靡綱不擧。而孝子之垂。今澌泯豈不可恨。然載邑誌不可謂全爲澌泯矣。況至於復戶。國朝樹風。不其在玆乎。左尹其贈職。嘗宅高山檢川云。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錦谷先生手筆【忘不記年】 着實○將上堂聲必揚○吾心誠有志於學。天其遂吾願。○人欲淨盡。天理流行。淸明在躬。志氣如神。○智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肅齋先生手筆 人生斯世。非學問。無以爲人。此栗谷先生語也。通知愚貴賤而言。○眞實心地。刻苦工夫。此黃勉齋語。【丁卯】○智藏齋。【戊辰】夙興夜寐。無忝爾所生。【己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金子元歸 子元負笈相守。告歸而請益。謹誦老洲先師書以贈曰。大抵斯學。是吾人終身事。而莫不權輿於發軔之初。立心之正。則以諸葛武侯鞠躬盡瘁。死而後已成敗利鈍。非所逆睹。爲則。進修之勇。則以頃羽燒廬舍破釜甑。持三日粮。示士卒無還心。爲準。若其用切之序。則又莫詳於大學一書。苟能循是以往。何患不到聖賢地位也。愚之初拜。亦如是言。今君雖受大學所以有許多合商量處。君須千萬自愛。母忘今日之此言也。蔽一言曰。爲己務實四字已矣。【是歲菊秋之旬六】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己未立春二首 睡覺東窓起。時惟月建寅。此身悲白髮。今日是靑春。殘雪寒梅雨。淸風孤竹隣。却將樽酒綠。相與醉良辰。風塵南北路。來去燕鴻賓。無恙身何老。迎春意更新。詩吟杜甫句。酒漉陶潛巾。此世知何世。踽踽莫與親。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莘田書室。與薇山族姪。安三湖。宋雪舟同酬。 暮暉俄送復朝暉。白首相逢每不違。乘露對花紅纈面。臨流攀柳綠滋衣。山河擧目人同醉。風雨傷心客未歸。鳩杖共隨鳴雁羽。春秋南北去來飛。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