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병마절제도위는 조선 시대 각 도의 병마절도사 밑에 있던 종6품의 서반외관직(西班外官職)이다. 이섭규는 공주의 진관과 병마절제도위를 겸직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頒國服于朝鮮民族。法令酷毒。官民莫不慴從。惟公儼若罔聞。所謂警察官者。以國服不着。詰問于公。公對以我不知。彼色沮不敢慢。怒移傍侍而退。旣而。自總督稱以恩賜。來饋金幣。公郤之。彼以兵劫威甚迫。公誓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不可久留遂冒雨而出庵門取西路魚貫而進或升或降五里許度門巖內外滑壁帶雨愈險紆鬱幽暗之中攀危棧步削磴抱萬疊度千回一路狼狽不可形喩但叢薄間往往有躑躅餘花淡紅深赤慰人詩眼稍稍下降如從靑天落來行過數三十里許始入上普聞庵盖此路雖不如天嶺之危險而其高則可捋伯仲其長則又如一候亭焉庵在山腰偪窄之地如鷦鷯捿枝別無奇景庭邊有石稜稱以東臺臺上有山神堂畵神像颯爽如活金冠藍袍騎一虎抱一虎庵中有四衲子德律善眞兩主僧而悟眞自金山來住海峯自金剛摩訶衍來住云喫午飯爲兩所滯仍留宿德律且供朝夕香蔬海峯呈躑躅一杖翌日丙申朝霧而晝晴仍發行指路立石臺海峯僧亦從余五里餘過下普聞庵卽前日所住國香寺是也蕭條冷落無異前日而原州邑中病漢相遞來臥云北邊一弓地有雉嶽祠自下普聞降平地逶迆而北三四里過新達巷村自新達巷五六里過巨廩垈村自巨廩垈七八里入靑蓮庵丹靑數間屋子極精妙有老比丘數人左麓有元耘谷墓墓前有穹碑前面刻高麗國子進士元天錫之墓十一字隧道下又有碑上覆以閣許眉叟穆篆且銘元天錫以高麗進士麗亡後不仕遁居此山自號耘谷屢徵不起我太宗大王親幸欲見終隱避不出後人名駐蹕石曰太宗臺距此地又爲四五十里云天錫沒後葬于此子孫世居原州至今蕃衍焉靑蓮庵之北一弓地又有石逕庵數間屋子亦甚精潔有八九僧徒義善富燁喜仁富膽等卽主僧而周安自五臺山月精寺來住云園後有山神堂畵樣與普聞山神如印一板可怪蜂筒醬瓮秩秩如村家産業庭下有稻田六七頃庭外有楊柳小塘仍自石逕庵齎午糧轉入立石臺周安指路富瞻負爐器相追隨乘危壁俯絶澗石路亦云險阻行到二十里許山上有石穴脫衣巾從穴中入正似玉流洞金剛門奇哉出穴門數十步有立石臺臺之高可爲千仞其下構木爲梯攀梯而登石其松韻頓覺神暢俯瞰絶壑黯黯然眩暈欲生臺之上又兀立一大巖如百層岑樓仰之阧截直入霄漢雖飛禽走鼯莫可度越石罅裏或有矮松裊裊舞風異哉雖不如須彌塔之奇而亦何必多讓於玉鏡臺之高排雲矗立足可爲墨池之一供臺之下瀑流邊撑爐器炊午飱復路入石逕庵庵僧又進盛饋郵奴義曾牽馬而來遂舍輿拂鞍出庵四五里路別海峯釋歸普聞仍西行十五里許返丹邱凡周流三日將近二百里路而坐羽化堂復望雉嶽纔可爲一亭堠耳其高其遠乃如彼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朝先師諱辰也。 痛切山樑, 不覺吐衷至此。 想垂諒也。震旣硬謂先師絶志山, 而斥尊以伏謁洪城全門鄭胤永一對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숙종실록』 30년 12월 28일(갑오)의 기사에 의하면, 조선 전기의 병선 중 대맹선은 전선으로, 중맹선은 귀선으로, 소맹선은 방패선(防牌船)으로 각각 변화하였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字達可號圃隱延日人也高麗忠肅王丁丑十二月戊子生仕至門下贊成事而盡忠輔國恭讓王四年壬申四月初四日趙英珪等椎殺於善竹橋年五十六是年七月高麗亡講書談理專主於朱子父母喪皆廬墓終制故當時食稻衣錦供佛飯僧之俗漸變衣冠文物盡用華制故當時鞮屨卉裳之陋習改焉用家禮立祠堂而祭祀之禮正拒北虜歸義主而春秋之法明盡心危邦卒以身殉而忠貫白日矣朝鮮太宗辛巳贈領議政益陽府院君謚文忠中宗十二年丁丑九月壬戌從祀文廟開城有菘陽書院朝鮮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이 호구단자는 기존 조선시대 구호적의 양식으로 작성되었으나 세부 내용은 신호적(新戶籍)의 기재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1896년 「호구조사규칙」과 「호구조사세칙」이 시행된 이후, 인쇄된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강수계는 조선 후기의 관료이자 문인인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 1792~1868)을 선양하기 위하여 최익현(崔益鉉), 유인석(柳麟錫), 추성구(秋性求) 등의 문인들이 설립한 조직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이 호구단자는 기존 조선시대 구호적의 양식으로 작성되었으나 세부 내용은 신호적(新戶籍)의 기재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1896년 「호구조사규칙」과 「호구조사세칙」이 시행된 이후, 인쇄된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이 호구단자는 기존 조선시대 구호적의 양식으로 작성되었으나 세부 내용은 신호적(新戶籍)의 기재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1896년 「호구조사규칙」과 「호구조사세칙」이 시행된 이후, 인쇄된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이 호구단자는 기존 조선시대 구호적의 양식으로 작성되었으나 세부 내용은 신호적(新戶籍)의 기재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1896년 「호구조사규칙」과 「호구조사세칙」이 시행된 이후, 인쇄된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명문은 주로 매매 등의 거래 내역을 작성하여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발급한 조선시대의 계약서를 말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조선왕조실록에서는 문서로서의 유지가 『문종실록』에 처음 보이고, 문종 이후로 유지가 통용되었음을 보여주는 사례가 빈번하게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 어휘 해설 ◀❶ 별파진(別破陣) : 조선 후기에 군기시(軍器寺) 및 각 군영(軍營)에 소속되어 화약(火藥)을 제조하거나 화포(火砲)를 다루는 일에 종사하던 병종을 가리킨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麗祖之一三韓也我先祖壯節公實左右之以成其業終以身解主危及其身後靈異益著班班在乘牒間可考也麗祖臨御追封公壁上虎騎衛太師開國公贈謚壯節公錫以三重大匡毅景翊戴匡衛怡輔砥節底定功臣之號麗祖歿與太師武烈公裴玄慶太師忠烈公洪儒太師武恭公卜智謙太師忠節公庾黔弼太師煕愷公崔凝俱躋廟庭配享爲麗代元勳世號六太師曁睿宗西巡訪公後官之賜御製詩歌各一章以奬之入我朝文宗大王特擧公六人配享于麻田崇議殿迄今俎豆不絶乃異數也公之存賜姓于平山公之死賜葬于春川而全羅之谷城寔公之所自出也顧地界荒憬文獻莫懲無有能追誦遺烈記公之姓名者噫公之精忠大節足以貫金石而昭日月公之宏勳巍積足以焯耳目而光簡策苟有志於世道者莫不聳稱而爭傳而其鄕人子弟迺反昧昧無所矜式其可乎哉萬曆己丑年間申侯沃氏佩符玆邑與其時觀察使李公洸皆其裔也合謀而起卽城之地立祠以享公縣多土姓俾掌春秋粢盛贍以土田藏獲且聚境內髦士藏修於此要以風厲土俗於是乎此邦之士始知壯節公之爲鄕人焉越四年壬辰倭寇卒至至丁酉湖區爲賊藪兵火蕩析所在丘墟而公之祠宇位版獨全其舊今觀察使韓公亦公之後也仗鉞來巡聞而異之遂重修其廟而一新之其所以揭虔妥靈者無所不用其極刻公行狀陷之壁間飭諸縣吏母廢故式詔諸鄕氓庶知依歸走人於累百里外抵欽書要記其顚末蓋以公於欽爲鼻祖也欽謹再拜擎跪而曰天下之義莫大於君臣其所以纏綿固結而不可解者固是生於人心之本然而非有待於外也然世道衰薄彝倫蠧蝕則其中心之所固有亦且倫胥陷溺而爲全軀保妻子之計以後其君者往往接跡於世其有能奮發挺立於其間知有君父而不知有其身知國家之安危而不知其身之有禍福甘心於折首而卒乃保主立名興王定覇如公之爲者其亦一世之偉人矣況我東方雖檀君箕子所敎化之地中更幅裂戰伐相尋者近千載羅代僅能統合於中葉而終値甄萱弓裔之亂割據分峙又幾四五十年非公輔佑麗祖以基五百之祚則其聲明文物之盛禮樂衣冠懿進於中國者何自而致之哉因是以論則公非獨有功於麗代雖謂之有功於大東可也六太師咸有大造於東土而唯公之世繼有子姓聞人達士代不絶書殆七百祀他則無傳焉豈公不食之報而福善之天有常而不忒耶觀察韓公以宅相之賢乃克原念本始追崇遺躅使之表著於時其用心之勤可謂曰至而承流宣化亦可謂知所先務矣谷之人興於義篤於忠爲國家宣力不墜公風烈者吾知其爲韓觀察之功而觀察公之名與公之祠宇竝傳於無窮無疑矣欽辱與觀察公爲同年及第又同爲公後故樂推言之以告來者皇明萬曆三十一年歲在癸卯仲秋上浣十八代孫嘉善大夫行龍驤衛上護軍兼藝文館提學欽謹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호적표는 1896년(건양 1)에 조선왕조의 구호적과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작성하게 된 대한 제국의 호적부 양식으로 광무 연간 직전부터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광무연간에 주로 시행되었으므로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축동은 서울시 중구 북창동에 있던 마을로, 조선시대에 가축을 기르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인 사축서(司畜署)가 있어 사축섯골이라 하였는데, 이를 한자명으로 사축동 또는 축동이라 한 데서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족계권후찬 族禊券後贊 씨족을 고찰해보건대김씨의 조상은 금천이라아 훌륭하도다 우리 종조성스러운 조선에서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용양위는 조선 전기 중앙군의 근간인 오위(五衛)이다. 부사과는 오위의 종6품 관직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조선시대에는 가옥이나 토지 및 노비 등을 매매하거나 양자(養子)를 들일 때 원칙상 관에 신고하여 공증을 받아야 했는데 이때 관에서 발급한 공증서가 바로 입안이다.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