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勉尹童錫賢 三世孝家。余曾爲汝兄書之。汝非汝兄之弟乎。汝須奉偏慈。凡千事一以汝兄爲準期。做三世四孝於汝家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任【泰求黎】三子歸方丈山 後十年。泰山下有孫明復先生。古人已云。今君輩所工士友傳說。不啻膾炙。自此吾黨有人矣。吾黨之篤學力行。吾獨許君輩。豈待後十年乎。方丈豈讓泰山下乎。君輩之爲先生。亦豈讓孫明復乎。吾之入斯域。垂四十齡。君輩始見於君黨。其爲喜幾乎。不寐也此漢朝暮將盡君輩長進。豈能久見。惟願益向上去。則泰山頂上已不屬泰山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飭任生卿仲【相鎬】 論語曰。吾嘗終日不食。終夜不寢。以思無益不如學。人生斯世。非學問無以爲人。栗谷書諸要訣首。孔子大聖也。於天下古今事。無不窮思。其言如此。栗谷我東孔子也。其言又如此。人生世爲人之事。捨學問復有可爲事。則其言豈其如此。任生卿仲。似有躕躇此事。故特表出右二語。鞭督之。卿仲乎功已此事。如針箚膚主一勿貳。只甲不乙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宋原孝【曾憲癸卯】 後字之扁其永定歟。晦翁之後。尤翁之後與。又好居人後箇箇所執。嗚呼。心石家又生心石也。虎父無犬子。豈徒歸俚語乎。鄙常謂我國德。殷之宋。孔子家朱子家也。竊願原孝。善繼善述。母負孔朱家中。後尤翁家聲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南平政堂。望鳳凰山。與翠柏徐使君載雨。以詩相酬。 鳳凰山上鳳凰遊。鳳去山空雲獨留。幸遇東方君子國。莫辭南土碩人州。望美樓中心思苦。聽猶軒下德輝流。煙花百里春有脚。太守名聲永不休。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次。翠柏重陽韻。 吟社秋風恨莫裁。霜華冉冉雁同來。滿山白雨楓空落。繞砌黃金菊自開。晩節淸名其孰在。重陽佳會與君回。酒醒獨坐思歸路。百里長江百里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南衙。因兵擾。向光州冶坪高戚從家。 遲遲征馬下橋頭。松鶴山前細雨流。白玉蘊心朋契合。黃塵滿目客愁稠。鴉啼近隔疏林岸。雁響遙窮古渡洲。何事奔忙來且去。不如江上夢閒鷗。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讀書 忠篤可行蠻貊鄕。不愁千百路岐長。黃金散盡餘空橐。白首無成守短床。衆毁浮沈看石木。群情好惡視毛瘡。分明義理書中在。橕目點燈讀紫陽。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國憂 厭俗幾年屋水南。杞憂焦灼不曾堪。海雲妒起沈紅日。野樹霑濃鎖碧嵐。情悲宋帝難茸草。心慕周妃賦葛覃。爲看精衛東來鳥。恨咽空吟木石含。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山中自歎二首 狼虎吼風路未開。窮山遠客幾時回。蕭條古木靑邱野。白雪天寒忍久來。曲曲溪山面面開。一條小路轉微回。居人白屋寒如此。惟待春天暖日來。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友人說文 文酒相逢歲暮時。海天風雪雁聲稀。虹橋一斷無消息。白髮傷心萬事違。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梧山亭韻 梧碧山明待鳳時。修齊餘業在平治。晦翁心事寒泉遠。濂老胸懷霽月遲。善蹟應非虛樹立。令名不是自營私。亭中獨歎牙絃絶。古調峨洋世少知。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詩山夜話 萬事商量勢已傾。相知四海眼誰靑。救時恨乏回牛力。迷道歎無老馬靈。世變忘讎從彼俗。年深忍恥苟吾生。聞君言語猶淳古。踐履工夫在敬誠。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自慨 世無鍾子少知音。難使人心似我心。沒利愚夫生忘死。趨名俗客古非今。莫離幽境先登路。或恐輕塵上襲襟。工拙未扶吾道脈。抱經十載獨悲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到沙湖。陪松沙先生感吟。 吾道有宗導指南。眞源今復在沙潭。如求良玉遊荊嶽。欲得神驪上岢嵐。學問至今多蹶跌。訓謨自古貴泓涵。應知好事終無恨。爲說謹勤古道探。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偶吟 寒聲入戶竹風輕。孤月照明萬古情。敎我養成山水志。智仁自足樂平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自題三首 老去吾心事。商量不在新。衆歸荊棘路。自惜蕙蘭身。林下悲今士。燈前讀古人。凋零花柳木。何日更回春。吾廬吾自愛。隱在碧山前。竹逕聽蕭瑟。松欄坐兀然。臨風悲末路。對月賦殘編。好惡莫須說。行雲流水邊。十年湖海客。日暮泣途窮。源活泉流遠。根深木氣通。交人情寡合。處世趣難同。市利爭追去。厭看兩眼紅。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德彬【亞斗己亥】 春間一唔。足可照十許年肝膽。塵下聲華耳已飽矣。見今擧世視吾輩讀書。反不若偶人○鳥隊於田間。而聞座下心常艶慕悔不趁入云。是實心誠好之者。雖汨於塵宂。未龍直下吾工。而其誠意如是泉翁不云乎。從先生。長者遊者皆爲好人。今座下縱不從師挾冊。而其爲好人也。必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李乃平【羲烈】 書贄【庚子】 書贄實匪意。況所言非余敢當。尤愧尤愧。大抵學問終始要訣一書備矣。要訣已熟四子六籍。亦次第事。就中目下所當務者。急急。把扶陽抑陰之書。以明吾取舍。老洲不云乎。季世之人。最宜多讀孟朱書。君其銘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李治亮【世範辛丑】 㖽唔時。聽座下言論。見座下趨向。已謂座下超越常品。辱惠忽到。超越常品。尤有以驗之。座下喪變疊出。隨遇理遣。如是優優。豈餘人所可及者耶。所詢承重喪。禮諸條一一得中。亦可見座下平日於禮。說上用切之篤實矣。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