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병인년 류두빈(柳斗㻞)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丙寅八月卄一 朞服老拙 玉瑞改斗㻞 丙寅八月卄一 [1926, 1986] 柳斗㻞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인년에 朞服老拙 柳斗㻞이 보내는 간찰 병인년에 朞服老拙 柳斗㻞이 보내는 간찰. *상태: 적색볼펜으로 수정한 흔적 있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丁□년 [류]주승([柳]柱昇)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丁二念一 老拙功制人 柱昇 丁二念一 [1927, 1987] 柱昇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丁□년 2월에 功制人 柱昇이 보내는 간찰 丁○년 2월에 功制人 柱昇이 보내는 간찰. *상태: 본문 중 적색볼펜으로 수정한 흔적 있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갑인년 이차형(李次炯)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종교/풍속-관혼상제-혼서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인년 11월에 李次炯이 큰아들 在成의 신부 柳生員댁에 혼인 날짜를 정해서 보내는 연길단자. 갑인년 11월에 李次炯이 큰아들 在成의 신부 柳生員댁에 혼인날짜를 정해서 보내는 연길단자이다. 고흥류씨 족보에 柳世榮(1774~1846)의 사위로 李在成이 기록되어 있어 이 문서의 수신인인 신부 柳生員댁은 류세영가로 짐작된다. 연길이란 우리말로 '날받이'라 한다. 대례날짜를 정하여 통보하는 것으로 혼일택일지(婚姻擇日紙)라고도 불렀다. 이 문서에는 신랑은 奇, 신부는 耦로 표시하여 태어난 해를 기재하였다. 신랑은 丁亥生이고 신부는 辛卯生이다. 다음으로 대례일과 신부가 시댁에 들어가는 于歸 등 혼례에 필요한 의례를 진행하기 위한 시간과 방위를 기록하였다. 行禮일은 갑인년 11월 27일 午時에서 未時사이이고, 于歸일은 11월 28일 隨時라고 되어 있다. 연결문서로 혼서(婚書) 1점, 피봉 1점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김선종(金善鍾)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陽五月十四日 金善鍾 陽五月十四日 金善鍾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金善鍾이 보낸 간찰 金善鍾이 보낸 간찰. *원문: 謹煩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류상근(柳相根)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五月十日 族從 相根 野山丈 五月十日 柳相根 柳重憲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5월 10일 族從 相根이 野山丈(柳重憲)에게 보내는 간찰 5월 10일 族從 相根이 野山丈(柳重憲)에게 보내는 간찰. *상태: 간찰 앞뒤로 쓰임 *국한문혼용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류영선(柳永善)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柳永善 柳重憲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고창의 柳永善이 고흥의 족인 柳重憲에게 보낸 간찰 고창의 柳永善이 고흥의 족인 柳重憲에게 보낸 간찰. *원문: 伏拜下狀就承審肇夏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송대섭(宋大燮)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査弟 宋大燮 宋大燮 査頓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宋大燮이 사돈 형께 보낸 간찰 宋大燮이 사돈 형께 보낸 간찰. *원문: 伻還伏承惠書尤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간찰(簡札) 피봉(皮封)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柳大錫氏 柳大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柳大錫이 받은 簡札의 皮封 柳大錫이 받은 簡札의 皮封.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간찰(簡札) 피봉(皮封)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野山 待榥氏 柳重憲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柳重憲이 받은 簡札의 皮封 柳重憲이 받은 簡札의 皮封.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공문서

대정(大正) 연간 최병욱(崔炳郁) 소유임야(所有林野) 신고서(申告書) 4 고문서-소차계장류-신고서 정치/행정-보고-신고서 大正 年 月 日 崔炳郁 全羅北道知事 大正 年 月 日 崔炳郁 全羅北道知事 전라북도 부안군 원형 적색4개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대정 연간에 최병욱이 부안군 부령면 연곡리에 소유하고 있는 토지를 전라북도에 신고하면서 작성한 신고서. 대정(大正) 연간에 최병욱(崔炳郁)이 부안군(扶安郡) 부령면(扶寧面) 연곡리(蓮谷里)에 소유하고 있는 토지를 전라북도(全羅北道)에 신고하면서 작성한 신고서이다. 최병욱은 보안면(保安面) 우동리(牛東里)에 살면서 그의 14대조(代祖) 최생명(崔生明) 이하 종중재산인 부령면 연곡리의 임야 12정(町) 가운데 3정을 소유하고 있다고 신고하였다. 신고한 토지의 면적은 동쪽 최병욱의 논(畓)에서 남쪽의 구(溝)을 지나 서쪽 김계상(金桂相) 임야 표지에서 북쪽 길 표시까지이다. 일제는 1910년부터 1918년까지 우리나라를 완전히 식민지로 강점한 전후 한국에서 식민지경제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임야에 대하여 대규모의 조사사업을 단행하였다. 일제의 임야수탈 정책상 일반토지와 마찬가지로 임야도 자본투자의 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근대적 의미의 소유권 확립과 그 이전(移轉)을 근간으로 하는 근대적 임야 소유관계 확립이 필수적이었다. 일제는 종래 한국의 토지·임야 소유제를 반(半)봉건적 소유제도로 재편하는 과정에서 근대적인 사적 소유제를 형식적으로 도입한 임야조사사업을 실시하여 토지조사사업과 함께 식민지 수탈의 양대 기초로 삼았다. 일제당국은 이 사업의 목적이 토지조사에서 제외된 임야와 임야 내 개재지(介在地)의 소유권, 경계를 법적으로 확립함으로써 종래 분쟁의 화근이었던 혼란스런 권리관계를 명백히 하여 인민의 이용후생에 이바지함과 동시에 한국임정의 정비에 자료를 제공함에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실질적인 목적은 한국 임야에 근대적인 등기제도를 도입해 지번제(地番制)를 창설함으로써 삼림수탈의 주대상이던 국유임야를 최종적으로 사유임야의 소유관계를 재편해 확고부동한 소유권만을 재공인함으로써 임야에 대한 권리확보 및 이용을 편리하게 하려는 데에 있었다. 이러한 제도적 보장 하에서 일본인 임업자본가를 보호 육성하고 일본인 이민들에게 창출된 국유임야를 분급하려고 하였던 것이다. 요컨대, 국유임야 창출의 극대화 및 법인과 사유임야 소유권의 재법인을 통해 한국인의 소유권과 사유림을 약탈하려 하였던 것이다. 이 사업은 1916년 시험적 준비조사를 거쳐 1917년부터 1924년까지 9년간 1차 사정사무(査定事務)가 완료되었고, 이에 부수하는 2차 재결사무(裁決事務)는 조선총독부임야조사위원회의 주관으로 1919년 개시되어 1935년 비로소 완결되었다. 또한, 조선 후기이래 임야사점(林野私占)이 확대되어 소유자나 다름없는 지위를 점유해 특수한 연고관계를 가진 상당수의 임야를 연고권만을 법인한 국유림으로 귀속시켰다. 한국의 주체적 임야조사였다면 당연히 민유로 사정되어야 할 한국민의 임야를 연고림이라는 명목으로 국유화한 면적만도 무려 337만 5000정보에 달한다. 한편, 임야조사사업으로 일본인의 기존 임야점유가 합법화됨은 물론, 강제로 편입된 국유임야가 최종적으로 법인됨에 따라, 일제와 결탁한 일부 한국인들이 임야를 대부 또는 불하받게 되었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임야조사사업 항목 참고.) 한편, 최병욱 명의(名義)의 토지에 대한 신고서의 모든 사항을 기록한 해는 융희 4년(즉,1910년)인데 토지신고일은 대정(大正)으로만 기재되어 있어 정확한 신고연대는 확인할 수 없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류영선(柳永善)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二月念三日 族弟 功服人 永善 二月念三日 柳永善 柳重憲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고창의 柳永善이 고흥의 족인 柳重憲에게 보낸 간찰 고창의 柳永善이 고흥의 족인 柳重憲에게 보낸 간찰. *원문: 卽伏拜下復就伏審春殷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류영선(柳永善)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二月念五日 族從 永善 二月念五日 柳永善 柳重益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고창의 柳永善이 고흥의 족인 柳重益에게 보낸 간찰 고창의 柳永善이 고흥의 족인 柳重益에게 보낸 간찰. *원문: 元月惠狀何等感篆病極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간찰(簡札) 별지(別紙)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簡札의 別紙로 추정 簡札의 別紙로 추정. *원문: 胎錄梅谷亦無故而金城五寸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70년 홍종호(洪鍾皓)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時庚戌四月日 唐城 洪鍾皓記 時庚戌四月日 洪鍾皓 柳大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0년에 고창 洪鍾皓가 고흥의 柳大錫에게 보낸 간찰 1970년에 고창 洪鍾皓가 고흥의 柳大錫에게 보낸 간찰. *松隱記을 써서 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간찰(簡札) 피봉(皮封)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全北高敞郡面 全北高敞郡面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全北高敞郡面에서 보낸 簡札의 皮封 全北高敞郡面에서 보낸 簡札의 皮封.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72년 박재주(朴在柱)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壬子八月臘日 査弟 朴在柱 壬子八月臘日 朴在柱 柳大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2년에 朴在柱가 사돈 柳大錫에게 보낸 간찰 1972년에 朴在柱가 사돈 柳大錫에게 보낸 간찰. *원문: 向者火輪轉天今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종말(宗末) 류원(有源) 등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辛未十月十七日 宗末 有源 等 3名 辛未十月十七日 有源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미년 10월에 宗末 有源 等 3名이 보내는 간찰 신미년 10월에 宗末 有源 等 3名이 보내는 간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신사년 신채▣(申采▣)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辛巳四月十一日 査弟 申采▣ 柳生員 辛巳四月十一日 申采▣ 柳生員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사년 4월에 査弟 申采▣가 柳生員에게 보내는 간찰 신사년 4월에 査弟 申采▣가 柳生員에게 보내는 간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간찰 간찰. *俄者面稟則彼老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간찰 간찰. *日前轉到…… *상태: 간찰 뒷부분 떨어져나감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