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41년 류영보(柳榮輔)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辛丑至月小晦 宗末 榮輔 辛丑至月小晦 柳榮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41년 동짓달 小晦에 류영보(柳榮輔)가 류지호(柳志浩)에게 보내는 답장편지 1841년(헌종 7) 동짓달 小晦에 류영보(柳榮輔)가 류지호(柳志浩)에게 보내는 답장편지이다. 편지의 내용은 서울 소식과 함께 보내 준 전복에 대한 감사인사이다. 먼저 한 해가 저물어가니 그리운 마음 절실하던 중 뜻밖에 보낸주신 편지를 받고 마치 한 자리에 같이 있는 것 같았다고 하면서 僉宗들께서 건강하시다니 다행이라며 안부인사를 전하고, 연이어 부모상을 당하였는데도 들을 길이 없고 서신도 받지 못하였으니 어찌 도타운 정이 있다고 할 수 있겠느냐고 아쉬운 마음을 토로하였다. 자신은 노년에 떠도는 나그네의 괴로움을 말로 다 할 수 없다고 하면서 새로운 本倅가 나갔으니 장차 連臂하여 통지할 계획이라고 하였다. 보내 준 전복은 매우 감사하다는 인사를 전하고, 이곳의 諸宗들도 잘 있다고 하면서 나머지는 심부름꾼이 와서 재촉하므로 이만 줄인다고 하였다. 연결문서로 피봉 1점이 있다. 편지봉투에 기재된 내용을 통해 1841년 당시 류영보는 한양 고동(雇洞)에 살았으며 벼슬은 승지(承旨)였고, 류지호는 흥양현 호산(虎山)에 살았음을 알 수 있다. 류영보는 자가 흥숙(興叔), 본관은 고흥이다. 아버지는 류욱(柳頊)이다. 1813년(순조 13) 증광시(增廣試)에 합격하였으며, 관직은 정언(正言)을 지냈다. 류지호(柳志浩)는 자가 通吾이고, 호가 農隱이며, 본관은 고흥이다. 1793년에 태어나 1856년에 사망하였다. 배우자는 여산송씨이다. 흥양현 읍내면 虎山東邊里에 살았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1820년 처암(處菴) 최계성(崔繼成) 묘갈명(墓碣銘) 고문서-시문류-묘문 개인-전기-묘문 崇禎紀元后三庚辰 中學敎授南綺老撰 崇禎紀元后三庚辰 南綺老 崔繼成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820년(순조 20)에 남기노가 작성한 처암선생 최계성의 묘갈명 병서의 초안. 1820년(순조 20)에 남기노(南綺老)가 처암(處菴) 최계성(崔繼成)의 평생 사적(事蹟)을 작성한 묘갈명(墓碣銘) 병서(幷序)의 초안(草案)이다. 최계성의 자는 소선(紹先)이며, 처암은 그의 호다.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고궁당(固窮堂) 최수손(崔秀孫)의 넷째 아들이다. 조는 최생명(崔生明), 증조는 최광지(崔匡之)이며, 고려시중 문성공 최아(崔阿)의 후손이다. 어머니는 최씨(崔氏)로 사정(司正) 최효로(崔孝老)의 딸이다. 처암은 어려서부터 재능이 남보다 제법 뛰어나 고궁당이 일찍이 아이를 안고 정원을 거닐다가 하늘을 가리키면서 물었다. 누가 네 구석에 어떤 기둥을 두었길래 하늘이 이처럼 광활한가. 어린 아들이 대답했다. 하늘이 땅을 덮고 땅이 하늘을 실었으니 그 가운데가 자연히 광활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고궁당은 아들을 기이하게 여겼다고 한다. 그는 장성하여 부모에게 지극 정성으로 효도하고 부모의 질병은 하늘이 가져가라고 빌기도 하였다. 상(喪)을 당하자 예를 다하여 치뤘으며, 형과 누이를 어버이 섬기듯 똑같이 섬겼다. 일이 조정에 알려져 명종(明宗) 때 정려(旌閭)를 받았는데 그 사실이 삼강록(三綱錄)에 실려있다. 정묘년에 사마시(司馬試)에 다시 응시하지 않고 부령(扶寧)의 옹정(甕井)에 거처를 마련하여 처암(處菴)이라고 부르며 당대의 유명한 유림들과 교류하며 지냈다. 부인은 김씨(金氏)인데 소생이 없고 후처 최씨(崔氏)에게서 하(河), 온(溫), 활(活), 말(沫) 등 네 명의 아들을 두었다. 이들 중 하와 온은 요절하여 자식이 없다. 활은 부령김씨(扶寧金氏)를 취하여 아들 시립(時立), 산립(山立), 선립(善立) 등 3명을 두었고, 말은 여산송씨(礪山宋氏)를 취하여 딸 1명을 두었다. 공의 묘는 석동(席洞)의 선영 아래에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22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제수물목책자(祭需物目冊子)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壬戌三月 壬戌三月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22년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된 제수물목책자 1922년 3월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된 제수물목책자(祭需物目冊子)이다. 제곡제전수입기(祭穀祭錢收入記)와 제수물목기(祭需物目記)로 나누어 기록하였다. 제곡제전수입기에는 전주최씨 각 분파와 유사가 기록되어 있는데 처암공파(處軒公派), 처암공파(處菴公派)-최성중(崔性中), 참봉공파(參奉公派)-최장홍(崔章洪), 봉사공파(奉事公派)-최기환(崔杞煥), 통정공파(通政公派)-최한홍(崔漢洪), 단사(壇祀)-최순환(崔順煥), 검열공파(檢閱公派)-최자윤(崔子允)이 도합 225냥을 출연(出捐)하였다. 줄포에서 100냥, 읍내에서 150냥의 빚을 내었다. 제수물목은 문어(文魚), 건시(乾柿), 홍조(紅棗), 생률(生栗), 생석어(生石魚) 24속 1개-51냥, 홍어(洪魚) 3수-35냥, 대구, 상어, 대하, 북어(北魚), 정육(正肉) 32냥 5전, 저(猪) 1마리-65냥5전, 해의(海衣), 계자(鷄子), 홍합(紅蛤), 게, 외자(桅子), 진유(眞油), 궐아(蕨芽), 청채(靑菜), 청총(靑蔥), 생합(生蛤), 건새우, 반합(半蛤), 수근(水芹), 두유(豆乳), 곡자(曲子), 맥아, 생태(生太), 청총(靑蔥), 청채(靑菜), 소맥설(小麥屑), 진미(眞米), 생석어(生石魚) 2속 6개-13냥 5전, 백산(白散), 염(鹽), 백염(白鹽), 시(匙), 남비(南沸), 남초(南草), 필(筆), 초리(草履), 마리(麻履),줄포노자(路子), 읍내노자, 차일세(遮日貰), 백지(白紙) 등 도합 507냥 8전 5푼이었다. 쌀의 용도는 주미(酒米), 병미(餠米), 이미(飴米), 제반미(祭飯米), 시사일(時祀日) 오반(午飯), 녹미(彔米) 등 나락은 2섬 1두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46년 오정환(吳鼎煥)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丙戌年二月九日 柳野山丈座前 丙戌年二月九日 吳鼎煥 柳重憲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6년에 음성의 吳鼎煥이 고흥의 柳重憲에게 돌아가신 아버지의 小祥祭를 알린 간찰 1946년에 음성의 吳鼎煥이 고흥의 柳重憲에게 돌아가신 아버지의 小祥祭를 알린 간찰. *상태: 인쇄지, 수신란에만 필기 됨 *원문: 鼎煥稽顙再拜言鼎煥罪逆深重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宋成鏞 宋成鏞 柳大錫 3課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宋成鏞이 쓴 德陽齋 遺墨 宋成鏞이 쓴 德陽齋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1課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園深仙鶴宥時來라고 쓴 遺墨 園深仙鶴宥時來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理라고 쓴 遺墨 理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瀛이라고 쓴 遺墨 瀛이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42년 류희석(柳喜錫) 등 편지(便紙)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壬午▣...▣ 族人 柳喜錫 等 3名 壬午▣...▣ [1942] 柳喜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2년에 族人 柳喜錫 등이 보내는 편지 1942년에 族人 柳喜錫 등이 보내는 편지. *상태: 便紙 중간 위,아래 박락 심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류성기(柳成基) 편지(便紙)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弟 成基 柳成基 柳大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류성기(柳成基)가 류대석(柳大錫)에게 보낸 편지. 류성기(柳成基)가 류대석(柳大錫)에게 보낸 편지와 1983년 3월 29일에 운곡사유회(雲谷祠儒會)에서 고흥향교대표전교(高興鄕校代表典校) 신양양(申穰兩)에게 보낸 편지이다. 운곡사(雲谷祠)에서 여러 문중 어르신들과 상의한 사우의 일은 별지로 첨부하였습니다. 옛 책의 문헌을 보고 결의하였으며 운곡사의 유사(有司)에게 전교(典校)의 명의로 공문을 통보하였습니다. 반론을 대비하기 위해 정확한 근거를 정립하고 후손들에게 좋은 교훈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는 내용이다. 편지에 첨부된 별지는 '도지원우편착오(道誌院宇篇錯誤)에 대(對)한 문헌고증(文獻考證)'이라는 제목을 가지고 있다. 지난 대향(大享) 유회(儒會) 때 고흥향교 서고에 보관 중인 전남도지 기록에 관한 일에 여산송씨(礪山宋氏)측에서 각종 서류지출 서차(序次)에 대해 이야기한 것은 말도 안되는 일이고 역사는 고서의 문헌이나 확실한 증거가 있는 고증을 따라야 한다. 하지만 여산송씨 사람이 순차를 본인 자유로 바꾸었으니 이는 안될 일이다. 이러한 연유로 송씨 가문에서 한 주장들을 문헌을 통해 하나하나 반박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경진년 류동일(柳東日)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庚辰九月初五日 宗下 東日 柳生員宅 族案 庚辰九月初五日 柳東日 柳生員 1顆(흑색, 원형)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진년에 종인 柳東日이 보낸 간찰 경진년에 종인 柳東日이 보낸 간찰. *간찰 오른편을 접어 수신자와 발신자를 적음 *원문: 拜後閱月悵歎曷已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42년에 류중헌(柳重憲)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壬午十一月初四日 生 柳重憲 壬午十一月初四日 柳重憲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2년에 고흥의 柳重憲이 선조의 撰文에 관해 아무개에게 보낸 간찰 1942년에 고흥의 柳重憲이 선조의 撰文에 관해 아무개에게 보낸 간찰. *수신자를 알 수 없음 *원문: 客夏丁君便惠書情禮俱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42년 류영선(柳永善)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壬午復月念八日 族弟 永善 壬午復月念八日 柳永善 柳重憲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2년에 고창의 柳永善이 고흥의 족인 柳重憲에게 보낸 간찰 1942년에 고창의 柳永善이 고흥의 족인 柳重憲에게 보낸 간찰. *원문: 久違德誨悵慕冞極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67년 류삼석(柳三錫)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丁未二月十三日 族弟 三錫 丁未二月十三日 柳三錫 柳大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7년에 완주 柳三錫가 고흥 族人 柳大錫에게 보낸 간찰 1967년에 완주 柳三錫가 고흥 族人 柳大錫에게 보낸 간찰. *원문: 客冬新元荐承下緘到今稽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67년 류성근(柳成根)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丁未二月十三日 成根 大錫前 丁未二月十三日 柳成根 柳大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7년에 柳成根이 고흥의 종인 柳大錫에게 보낸 간찰 1967년에 柳成根이 고흥의 종인 柳大錫에게 보낸 간찰. *국한문혼용, 노트 용지에 필기 *원문: 謹未審春寒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송염섭(宋濂燮)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十一月初六日 宋濂燮 十一月初六日 宋濂燮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1월에 宋濂燮이 虎峴 柳生員에게 보내는 간찰 11월에 宋濂燮이 虎峴 柳生員에게 보내는 간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송주태(宋柱泰)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宋柱泰 柳生員 宋柱泰 柳生員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宋柱泰가 柳生員에게 보낸는 간찰 宋柱泰가 柳生員에게 보낸는 간찰. *상태: 배면에 便紙 연습 흔적있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간찰 간찰. *拜啓 貴體萬安卽……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갑인년 이차형(李次炯)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종교/풍속-관혼상제-혼서 甲寅十一月二十七日 慶州后人 李次炯 甲寅十一月二十七日 李次炯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인년 11월 27일에 慶州后人 李次炯이 큰아들 在成의 신부인 류생원댁에 폐백과 함께 보낸 혼서. 갑인(1854)년 11월 27일에 慶州后人 李次炯이 큰아들 在成의 신부인 柳生員댁에 폐백과 함께 보낸 혼서이다. 편지는 따님을 큰아들 在成의 아내로 허락해 주셔서 감사하며, 옛 어른들의 예절에 따라 납폐(納幣)의 의례를 행한다는 내용이다. 연결문서로 피봉(皮封) 1점, 涓吉 1점이 있다. 고흥류씨 족보에 柳世榮(1774~1846)의 사위로 李在成이 기록되어 있어 이 문서의 수신인인 신부 柳生員댁은 류세영가로 짐작된다. 이 시기의 혼인은 지역과 가문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議婚, 납채, 연길, 納幣, 大禮, 于歸의 6단계를 거치는 것이 보통이었다. 신랑 측에서 중매인을 통해 혼인 의사를 표시하고(의혼) 신부 측에서 혼인을 받아들인다는 의식인 납채를 치른다. 납채를 할 때 신랑 측에서 예물과 함께 사주단자를 신부 측에 전해주고, 신부 측에서는 신부의 궁합과 비교하여 혼인날을 택해 신랑 측에 연길을 보낸다. 날짜까지 확정이 되면 신랑 측은 각종 예물을 함에 담아 신부 측에 보내는데 이를 납폐라 한다. 혼인날이 되어 신랑은 목욕재계를 하고 조상 사당에 배례를 하고 신부집으로 떠나 신부와 처음 만나고 대례인 교배례와 합근례가 이어진다. 대례가 끝나면 신랑은 신부의 친척과 인사를 하고 첫날밤을 치른 후 신부를 집으로 데려오는데 이것을 우귀라 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1957년 최규희(崔圭禧) 저존재중건기(著存齋重建記) 고문서-시문류-기 교육/문화-문학/저술-기 丁酉三月 日 十一代孫圭禧 丁酉三月 日 1957 崔圭禧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57년 3월에 최규희가 작성한 저존재중건기. 1957년 3월에 최규희(崔圭禧)가 작성한 저존재중건기(著存齋重建記)이다. 태인(泰仁) 관아의 남쪽 도동리(島洞里)에 날 듯이 높은 모양에 저존재(著存齋)라는 편액을 달아놓은 재실이 있는데, 바로 기문의 저자인 최규희의 11대조 주부(主簿) 최녕(崔寧)의 배우자 의인(宜人) 송씨(宋氏)의 묘재(墓齋)이다. 지난 1888년 봄에 실화(失火)로 재실이 소실되었는데, 1946년 가을에 문중의 장로가 유사(有司) 경렬(璟烈), 정렬(錠烈), 민렬(敏烈) 등에 명을 내려 중건을 논의하였다. 문중에서는 옛 터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짓기로 흔쾌히 결정을 하였고, 문중원들이 각자 출연하여 이듬해 봄에 토목공사를 시작한 지 겨우 한 달여만에 완공하였다. 편액에 쓴 '著存'이라는 말은, 귀신이 드러나고 존재하는 것이 마음에 잊히지 않는다는 뜻으로, ?예기(禮記)? 제의(祭義)에서 나온 말이다. 이것이 뜻하는 의미를 이 책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삿날에 방에 들어가면 애연히 자리에 모습이 보이는 것이 반드시 있고, 주선하며 문을 나가면 숙연히 목소리가 들리는 것이 반드시 있고, 문을 나가 들으면 개연히 탄식하는 소리가 들리는 것이 반드시 있다. 그렇기 때문에 선왕(先王)의 효심으로 말하면, 눈에서 부모의 모습이 떠나지 않고, 귀에서 부모의 소리가 끊이지 않고, 마음에서 부모의 심지(心志)와 기욕(嗜欲)이 잊히지 않았던 것이다. 애모(愛慕)함이 극에 이르면 엄연히 존재하는 듯하고, 성각(誠慤)함이 극에 이르면 눈앞에 드러나서, 드러나고 존재하는 것이 마음에 잊히지 않는 법이니, 어떻게 공경하지 않을 수가 있겠는가.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