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류중빈(柳重彬)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七月卄四日 族弟 重彬 七月卄四日 柳重彬 柳重憲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柳重彬이 고흥 호동의 족인 柳重憲에게 족보 일로 보낸 간찰 柳重彬이 고흥 호동의 족인 柳重憲에게 족보 일로 보낸 간찰. *원문: 伏未審秋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宋運會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宋運會가 초서로 쓴 遺墨 宋運會가 초서로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龜라고 쓴 遺墨 龜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宋運會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宋運會가 초서로 쓴 遺墨 宋運會가 초서로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德이라고 쓴 遺墨 德이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風이라고 쓴 遺墨 風이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宋運會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宋運會가 초서로 쓴 遺墨 宋運會가 초서로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宋運會 宋運會 2課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宋運會가 초서로 쓴 遺墨 宋運會가 초서로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66년 고흥류씨문중(高興柳氏門中) 청첩장(請牒狀)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丙午十一月日(陰十月日) 高興柳氏門中 丙午十一月日(陰十月日) 高興柳氏門中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6년 11월에 高興柳氏門中에서 보낸 請牒狀 1966년 11월에 高興柳氏門中에서 보낸 請牒狀. 선조인 英密公 생가에 遺墟碑를 건립하고 除幕式을 하니 많은 참석 부탁드린다는 내용 *특징: 국한문혼용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79년 송종순(宋鐘純) 편지(便紙)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1979.12月9日 鐘純 매형 1979.12月9日 宋鐘純 柳濟洪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9년 12월 9일에 송종순(宋鐘純)이 류제홍(柳濟洪)에게 보낸 편지. 1979년 12월 9일에 송종순(宋鐘純)이 류제홍(柳濟洪)에게 보낸 편지이다. 안부를 묻는 말과 함께 오는 12월 23일이 남매 곗날이라고 전달하고 형제 부부 간에 함께 자리할 수 있기를 바란다는 내용이다. 류제홍은 1926년 8월 4일에 태어났다. 자(字)는 송천(松泉)이고 다른 이름은 제구(濟九)이다. 부인은 송영기(宋永基)의 딸 남양송씨(南陽宋氏)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80년 여수향교(麗水鄕校) 통고문(通告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一九八0年二月二十六日 麗水鄕校 內 遺蹟保存會 丁基魯 一九八0年二月二十六日 丁基魯 柳大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80년 2월 26일에 麗水鄕校 내 유적보존회에서 柳大錫에게 보낸 通告文 1980년 2월 26일에 麗水鄕校 내 유적보존회에서 柳大錫에게 보낸 通告文. 左水營李忠武公 幕下盡 忠諸公追慕碑 建立에 관해 참석 부탁드린다는 내용 *특징: 국한문혼용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82년 경필운동임시유회소(京弼雲洞臨時儒會所) 통고문(通告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壬戌十二月二十二日 京弼雲洞臨時儒會所 壬戌十二月二十二日 京弼雲洞臨時儒會所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82년 12월 22일에 京弼雲洞臨時儒會所에서 보낸 通告文 1982년 12월 22일에 京弼雲洞臨時儒會所에서 보낸 通告文. 내년1월 20일에 경성 필운동 130번지 9호 宋桂憲 집에 모여 華陽書院에 대해 논의하자는 내용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68년 류옥석(柳玉錫)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同治七年戊辰十二月初六日 張漢得 柳玉錫 同治七年戊辰十二月初六日 張漢得 柳玉錫 張漢得[喪不着], 柳相浩[着名]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68년에 張漢得이 柳玉錫에게 밭을 팔면서 작성해준 토지매매문서. 1868년(고종 5) 12월 초6일에 幼學 張漢得이 幼學 柳玉錫에게 밭을 팔면서 작성해준 토지매매문서이다. 문서에 따르면 토지를 소유하게 된 경위는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며, 매매사유는 移買次 즉, 다른 곳의 토지를 구입하기 위해서라고 밝히고 있다. 매매한 밭의 위치와 면적은 邑內面 虎東 松峴坪에 있는 暑字丁 7마지기[斗落只], 負數 7卜3束인 곳이다. 거래금액은 錢文17냥으로 논의 거래가격에 비해 낮음을 알 수 있다. 밭주인 장한득은 거래당시 喪中이었기 때문에 서명할 수 없다는 의미로 喪不着이라고 기재하였다. 일반적으로 부모나 승중 조부모의 喪中인 사람은 喪不着이라고 표기하고 着名을 하지 않았다. 거래 당사자 외 증인 및 필집으로 柳相浩가 참여하여 문서를 작성하였다. 明文이란 어떤 권리를 증명해 주는 문서로 흔히 토지와 노비, 가옥 등을 매매하는 문서명으로 쓰인다. 토지매매명문은 파는 사람이 작성하여 사는 사람에게 주는 것이다. 여기에는 대체로 매매 연월일과 買受者, 賣渡事由, 賣渡物의 소재지, 量案上의 字 ․ 番, 結負[卜]束과 斗落, 배미[夜味] 등 매매 대상물의 정보와 가격, 그리고 賣渡人[財主], 筆執, 證人 등이 기록된다. 그러나 시대와 작성하는 사람에 따라 이들 가운데 일부가 생략되기도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계미년 류재호(柳載浩)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癸未二月十八日 族末 載浩 癸未二月十八日 [1823] 柳載浩 柳生員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계미년 柳載浩이 종인 柳生員에게 보낸 간찰 계미년 柳載浩이 종인 柳生員에게 보낸 간찰. *상태: 배면에 수신자와 발신자의 주소가 적힘, 하단 일부 찢김 *원문: 承審惠書不?欣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류중헌(柳重憲) 간찰(簡札) 피봉(皮封)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柳重憲 吳石農 柳重憲 吳震永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柳重憲이 吳震永에게 보낸 簡札의 皮封 柳重憲이 吳震永에게 보낸 簡札의 皮封.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류호석(柳浩錫) 간찰(簡札) 피봉(皮封)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柳浩錫 柳大錫氏 孝盧 柳浩錫 柳大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柳浩錫이 柳大錫에게 보낸 簡札의 皮封 柳浩錫이 柳大錫에게 보낸 簡札의 皮封.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42년 박영일(朴永日)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종교/풍속-관혼상제-혼서 朴永日 柳大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2년 1월 12일에 朴永日이 보낸 四星單子 1942년 1월 12일에 朴永日이 보낸 四星單子. *癸亥 六月 十二日 子時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44년 송영기(宋永基)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종교/풍속-관혼상제-혼서 甲申二月四日 南陽人 宋永基 甲申二月四日 宋永基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4년 2월 4일에 송영기(宋永基)가 보낸 혼서(婚書). 1944년 2월 4일에 송영기(宋永基)가 보낸 혼서(婚書)이다. 안부를 묻는 말과 함께 혼례를 진행하기 위해 사주단자를 보내달라고 부탁하는 내용이다. 류대석(柳大錫)의 장남 류제홍(柳濟洪)의 혼서이다. 류대석은 1900년(광무 4) 8월 18일에 태어났으며 몰년은 알 수 없다. 초명(初名)은 기석(基錫)이다. 자(字)는 계언(桂彥)이고, 호(號)는 송은(松隱)이다. 부인은 박영진(朴璟鎭)의 딸인 진원박씨(珍原朴氏)이다. 류제홍은 1926년 8월 4일에 태어났다. 자(字)는 송천(松泉)이고 다른 이름은 제구(濟九)이다. 부인은 송영기(宋永基)의 딸 남양송씨(南陽宋氏)이다. 혼서는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납채할 때 보내는 문서이다. 예서(禮書)·예장(禮狀)이라고도 하며, 장지(壯紙)를 간지(簡紙) 모양으로 접어서 썼다. 넓은 의미의 혼서에는 사주단자(四柱單子)와 혼인택일에 관한 서장(書狀)까지 포함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죽암(竹菴) 최규동(崔圭東) 묘갈명(墓碣銘) 고문서-시문류-묘문 개인-전기-묘문 安東金魯東 撰 金魯東 崔圭東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모년에 김노동이 작성한 죽암공 최규동의 묘갈명 병서의 초안 모년에 김노동(金魯東)이 죽암공 최규동(崔圭東)의 평생 사적(事蹟)을 작성한 묘갈명(墓碣銘) 병서(幷序)의 초안(草案)이다. 최규동(崔圭東)은 자는 재숙(在淑), 호는 죽암(竹菴)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최씨의 시조는 고려문하시중 아(阿)이며, 연촌선생(烟村先生)에 이르러 선덕이 드러나고 벼슬로는 최성원(崔成元), 학행으로 이름이 난 자는 최광립(崔光岦), 효로 이름이 난 자는 증조 최한풍(崔翰豊)이다. 조는 최이(崔禰), 부는 한팔(翰八), 모는 금성박씨(錦城朴氏)이다. 죽암은 태어나 자라면서 준수하고 점잖아 무게가 있었으며 부모에게 효도를 다하여 섬기고 상중(喪中)에는 예를 다하여 허물이 없게 하였다. 형제간에 우애가 돈독하고 사람들을 믿음과 어진 마음으로 대하여 모든 이에게 칭송을 받았으며 가난한 사람을 보면 형편에 따라서 두루 구휼하였다. 나라에 국난(國難)이 일어나자 의사 이석용(李錫庸)과 더불어 꾸민 일이 발각되어 추궁당하며 갖은 곤욕을 치렀으나 끝까지 굴복하지 않았다. 주암(舟巖)은 선조 연촌(烟村) 최덕지(崔德之)가 만년에 머물던 곳으로 오랫동안 대대로 내려온 세천지(世阡地)였는데 불행하게도 다른 사람의 소유로 넘어가서 그동안 백년의 세월이 지나갔다. 이를 안타깝게 생각한 죽암이 온갖 노력을 기울인 끝에 마침내 최씨 문중의 소유로 회복되었다. 죽암은 무인년에 그가 태어난 곳에서 63세로 사망하였다. 부인은 전의이씨(全義李氏)이며 2남 3녀를 두었다. 아들은 용호(龍鎬)와 재호(在鎬), 사위는 소재륜(蘇在倫), 박찬기(朴燦琦), 박홍양(朴洪陽) 등이 있으며, 그리고 4명의 손자 낙현(洛賢), 양현(洋賢), 생현(泩賢), 정현(涏賢) 등이 있다. 죽암공의 묘는 남원 몽촌(夢村)에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山이라고 쓴 遺墨 山이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