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고흥향교(高興鄕校) 간찰(簡札) 피봉(皮封)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高興鄕校 高興鄕校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高興鄕校에서 보낸 簡札의 皮封 高興鄕校에서 보낸 簡札의 皮封.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중봉(皮封重封)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皮封重封 皮封重封. *특징: 謹封이라 적혀있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42년 박영일(朴永日)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종교/풍속-관혼상제-혼서 壬午正月十二日 朴永日 壬午正月十二日 朴永日 柳大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2년 1월 12일에 박영일(朴永日)이 보낸 혼서(婚書). 1942년 1월 12일에 박영일(朴永日)이 보낸 혼서(婚書)와 사성단자(四星單子)이다. 몸 건강하게 잘 지내고 있는지에 안부와 함께 혼인과 관련된 말씀에 사주단자를 함께 보낸다는 내용이다. 사성단자에는 '癸亥 六月 十二日 子時'에 태어났다는 내용이 적혀있다. 이 혼서는 류대석(柳大錫)의 첫째 딸의 혼서이다. 류대석은 1900년(광무 4) 8월 18일에 태어났으며 몰년은 알 수 없다. 초명(初名)은 기석(基錫)이다. 자(字)는 계언(桂彥)이고, 호(號)는 송은(松隱)이다. 부인은 박영진(朴璟鎭)의 딸인 진원박씨(珍原朴氏)이다. 혼서는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납채할 때 보내는 문서이다. 예서(禮書)·예장(禮狀)이라고도 하며, 장지(壯紙)를 간지(簡紙) 모양으로 접어서 썼다. 넓은 의미의 혼서에는 사주단자(四柱單子)와 혼인택일에 관한 서장(書狀)까지 포함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34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제수물목(祭需物目)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甲戌三月 甲戌三月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34년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된 제수물목 1934년 3월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된 제수물목(祭需物目)이다. 물목은 건시(乾柿), 생률(生栗), 홍조(紅棗), 염석어(鹽石魚), 북어(北魚), 건석어(乾石魚), 홍어(洪魚) 2미-80전, 청어(靑魚), 생석어(生石魚) 5속 5미-1원 50전, 상어(尙魚), 계란(鷄卵), 건하(乾鰕), 생해(生蟹), 진유(眞油), 반합(半蛤), 해의(海衣), 청총(靑蔥), 정육(正肉) 3근-90전, 생합(生蛤), 궐아(蕨芽), 진미(眞米), 모말(牟抹), 외자(桅子), 저(猪) 1두-5원, 송탄, 백태(白太 )수근(水芹), 백채, 백염(白鹽), 고초(枯草), 백지, 백로지(白鷺紙) 2장-5전, 노석(蘆席), 초리(草履), 마리(麻履), 노자(路子), 송지(松枝), 병미(餠米), 제반미(祭飯米) 등 도합 24원 44전이고 쌀은 3두 2승이다. 제수전(祭需錢)을 낸 사람은 최춘환(崔春煥), 최경삼(崔敬三), 최여일(崔汝日), 최경삼(崔景參), 최승재(崔承在), 최민옥(崔玟玉), 최성재(崔成在), 최일홍(崔一洪), 최도윤(崔道允), 최명칠(崔明七), 최병만(崔秉萬), 최자윤(崔子允), 최석중(崔石仲), 최인홍(崔仁洪), 최윤집(崔允集), 최성균(崔成均), 최광칠(崔光七), 최군선(崔君先), 최동주(崔東周), 봉사공파(奉事公派)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45년 고흥유림대성회(高興儒林大成會)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乙酉十二月十五日 高興儒林大成會 柳重憲 座下 乙酉十二月十五日 高興儒林大成會 柳重憲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5년에 高興儒林大成會에서 고흥 호동의 柳重憲에게 보낸 간찰 1945년에 高興儒林大成會에서 고흥 호동의 柳重憲에게 보낸 간찰. *국한문혼용 *원문: 敬啓者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924년 최병욱(崔炳郁) 등 상서(上書) 초(抄)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甲子元月十五日 崔炳郁 崔光煥 崔基洪 侯爵閣下 甲子元月十五日 1924 崔炳郁 李完用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24년 정월에 부안에 사는 최병욱 등 3인이 후작 이완용에게 올리기 위하여 작성한 상서의 초안. 1924년 정월 15일에 부안(扶安)에 사는 최병욱(崔炳郁), 최광한(崔光煥), 최기홍(崔基洪) 등 전주최씨(全州崔氏) 3인이 후작(侯爵) 이완용(李完用)에게 올리기 위하여 작성한 상서의 초안이다. 부안김씨(扶安金氏)와의 오랜 산송(山訟)과 관련하여 작성한 것인데, 이 문서를 이완용에게 올리려고 한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즉 지난 1898년에 전라도관찰사로 고등재판소 판사를 겸하였던 이완용이 판결을 내려 부안의 김씨와 최씨 양쪽의 산송 관련문서를 모두 소각하고 선산의 경계를 다시 분정(分定)하면서 오랜 산송이 일단락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다 끝난 줄만 알았던 산송은 1921년에 와서 다시 시작되었다. 그해 일제에 의해 임야조사(林野調査)가 전국적으로 실시되었는데, 이때 김규상(金珪相)이라는 자가 완문(完文)과 입지(立旨) 등 증빙서류를 가지고 있다면서 분쟁의 대상이었던 선산 지역의 소유권을 주장하고 나선 것이다. 이완용이 산송서류를 모두 불태워버리라고 판결을 내렸지만, 부안김씨측에서 후일을 위해 일부 문서를 남겨 두었던 것이다. 최병욱 등은 이 상서에서 예전에 이완용이 부안군수와 함께 직접 산형(山形)을 살피고 양측의 관련문서를 모두 소각한 사실을 지적하고, 그 증빙서류들이 신빙성이 전혀 없는 문서들이라는 점을 주장하고 있다. 최병욱 등은 작년 11월에도 이완용에게 진정서를 올렸지만, 중간에 이완용의 건강이 좋지 않아서 회신을 받지 못했다고 말하고, 얼마 안있으면 임야조사 결과와 관련하여 공시(公示)가 있을 터인데, 임야당국에서 어떻게 조치를 내릴지 알 수 없다고 불안한 마음을 토로하고 있다. 그러니 일찍이 재판을 주재하고 판결을 내려 모든 일을 상세히 알고 있을 이완용이 당국에 특별히 한 마디라도 보증이 될만한 말씀을 내려 주셔서 이 원통함을 풀어달라고 호소하였다. 이러한 상서가 실제로 이완용에게 전달되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거의 같은 내용의 탄원서가 그해 9월에 이완용에게 다시 올려지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면, 이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61년 김상익(金相翼) 원정(原情) 초(抄)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辛酉二月初六日 金相翼 辛酉二月初六日 1861 金相翼 哲宗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861년(철종 12) 2월에 부안에 사는 김상익이 작성한 원정의 초안. 1861년(철종 12) 2월에 부안(扶安)에 사는 김상익(金相翼)이 임금에게 격쟁(擊錚)하면서 올릴 목적으로 작성한 원정(原情)의 초안이다. 부안에 사는 부안김씨(扶安金氏)와 전주최씨(全州崔氏) 사이에 벌어졌던 오랜 산송(山訟)의 내막을 보여 주는 문서의 하나이다. 부안의 석동산(席洞山)은 김씨 문중에서 이미 오래전부터 수호해 왔던 선산이었다. 김상익은 이 문서에서 자신들의 선산이 있는 석동산은 14세조인 한성소윤(漢城少尹) 김세영(金世英)이 관직을 버리고 낙향한 뒤 묘역으로 삼아 4백여 년을 가꾸었던 곳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그런데 중간에 소윤공의 현손(玄孫)의 사위가 처가 동네인 이곳에 내려와 더부살이를 하다가 그 후손들이 차츰 묘를 하나 둘 쓰기 시작하더니 마침내는 소윤공의 묘역 전체를 독차지하려는 흉악한 속내를 드러냈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지난 무신년(1848)에는 소윤공의 분묘를 허물 작정으로 비문(碑文)을 깎아냈는가 하면 분묘의 용미(龍尾)에 길을 뚫어 놓았으니, 저들이 같은 핏줄이 흐르고 있는 소윤공의 외손으로서 어찌할 수 있는 일이냐 라고 비판하고 있다. 그리고 최씨측에서 이 산록을 외가로부터 상속을 받은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논 밭과 노비를 상속하는 일은 있어도 어찌 대대로 지켜온 선산을 외손에게 주는 일이 가능하겠냐라고 반문하고 있다. 그러나 당시 송사를 맡았던 관리가 최씨측의 농간에 빠져 김씨의 억울한 사정을 제대로 심리하지 못했고, 자신의 증조인 김광일(金光逸)이 원통한 나머지 격쟁을 하여 호소를 하려다가 도리어 관가에 붙잡혀 여러 달 옥살이를 하다가 병에 걸려 출옥하였으나 귀가하던 중 병사하였다고 하였다. 그런데도 최씨측에서는 3백여 년 동안 가꾸어 왔던 구목(邱木)을 마구 베고 재실(齋室)과 문루(門樓)를 마구 허물어버리고 나무들을 임의로 팔아버렸으며, 마침내 소윤묘가 있는 선산 전국(全局)을 차지하기에 이르렀고, 수목으로 뒤덮혀진 소윤묘는 벌초조차 할 수 없어 주인 없는 무덤이나 다를 바 없게 되었다고 하였다. 김씨측에서는 영읍(營邑)과 한성부(漢城府)에 소를 올리기도 하였지만 일은 쉽게 해결되지 않았다. 김상익은 이 원정에서 특히 용미에 길을 뚫고 재실과 문루를 훼손한 최씨 일족을 잡아다가 형벌로 다스리고 소윤묘 근처에 쓴 최씨측 무덤 7기를 파낼 수 있도록 영읍(營邑)에 특별히 처분을 내려달라고 탄원하였다. 그러나 이 문제는 해결되지 못하고 상황은 더 악화되었다. 바로 이 해, 즉 1861년에 몇몇 부안김씨 유생들이 위에서 언급한 최씨가의 무덤을 사굴(私掘)하고 송추(松楸)를 무단히 베어냈다. 이 때문에 최씨 일족이 격쟁(擊錚)을 하여 임금에게 이 문제를 탄원하였고, 이로 인하여 이 사건을 주도했던 몇몇 부안김씨들이 감옥에 갇혀 국문을 당하고 유배를 가는 등 형벌을 당하면서 두 문중의 산송은 더욱 격화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72년 류호석(柳浩錫) 편지(便紙)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壬子二月 日 小生 柳浩錫 壬子二月 日 柳浩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2년 2월에 류호석(柳浩錫)이 보낸 편지. 1972년 2월에 류호석(柳浩錫)이 보낸 편지이다. 선조 영밀공(英密公) 신암(信菴)이라고 불리는 류청신(柳淸臣)이 충절에 대해 오해를 받았었는데 후에 그의 오해가 풀렸다. 이에 사림들이 안타깝게 여기고 후손들 또한 한스럽게 생각하였다. 이에 뜻을 다시 세우고 봉하기 위해 오래된 비문을 세척하고자 한다는 내용이다. 류청신은 1257년에 태어났으며 1329년에 졸하였다. 류청신의 초명(初名)은 비(庇)였다. 류청신은 고려 때 재상(宰相)을 지냈으며 『신암실기(信菴實記)』를 지었다. 정인지(鄭麟趾)가 지은 『고려사(高麗史)』에서 간신으로 왜곡되어 기록된 것을 후손 류일영(柳日榮)이 바로잡기 위해 『신암실기』를 국역하였다고 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79년 류익상 편지(便紙)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1979년6월15日 족손 익상 류대석 1979년6월15日 류익상 柳大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9년 6월 15일에 류익상이 류대석(柳大錫)에게 보낸 편지. 1979년 6월 15일에 류익상이 류대석(柳大錫)에게 보낸 편지이다. 여러 가지 좋은 가르침과 따뜻한 정을 베풀어 주셔서 감사한다는 말과 함께 집에 잘 들어왔다는 안부를 전하였다. 사진을 보시고 칭찬을 받아 기뻤으나 더 가르침을 받지 못하고 돌아와 아쉽다는 내용이다. 류대석은 1900년(광무 4) 8월 18일에 태어났으며 몰년은 알 수 없다. 초명(初名)은 기석(基錫)이다. 자(字)는 계언(桂彥)이고, 호(號)는 송은(松隱)이다. 부인은 박영진(朴璟鎭)의 딸인 진원박씨(珍原朴氏)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66년 고흥류씨종중(高興柳氏宗中) 청첩장(請牒狀)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丙午十月 高興柳氏宗中 丙午十月 高興柳氏宗中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6년 10월 高興柳氏宗中에서 보낸 초청장 1966년 10월 高興柳氏宗中에서 보낸 초청장. 英密公先祖遺墟碑 제막식을 11월 24일 고흥군 풍양면 양류동에서 하니 참석바란다는 내용 청첩인은 柳采文,柳大錫,柳在學,柳三錫,柳浩錫,柳濟水임 *상태 : 1장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80년 여수향교(麗水鄕校)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一九八0年陰正月十八日 丁基魯 一九八0年陰正月十八日 丁基魯 柳大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80년 음 1월 18일에 麗水鄕校에서 柳大錫에게 보낸 通文 1980년 음 1월 18일에 麗水鄕校에서 柳大錫에게 보낸 通文. 李忠武公營下 忠勳諸公 追慕碑建立追進委員會에서 入單每位 배당금이 4만원씩으로 결정되었으니 이달 말일까지 완납하라는 내용 *특징: 국한문혼용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40년 고산중종(高山宗中) 통고문(通告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庚辰臘月念三日 高山宗中 虎山宗中 庚辰臘月念三日 [1940] 高山宗中 虎山宗中 ▣…▣(4.5×4.5, 흑색)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0년 12월 23일에 高山宗中에서 虎山宗中으로 보낸 通告文 1940년 12월 23일에 高山宗中에서 虎山宗中으로 보낸 通告文. 襄靖府君의 墓閣을 세우기 이해서는 여러 가문의 도움이 필요하니 도움을 부탁하는 내용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6년 류홍석(柳洪錫)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丙子六月十日 族弟 洪錫 丙子六月十日 柳洪錫 族人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6년에 柳洪錫이 족인에게 보낸 간찰 1936년에 柳洪錫이 족인에게 보낸 간찰. *국한문간찰 *원문: 門戶離別한지於焉間三朔이되도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30년 류대윤(柳大潤)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道光十四年甲辰九月初一日 柳大潤 柳春錫 柳大潤 道光十四年甲辰九月初一日 柳大潤 柳春錫 柳大潤 柳春錫[着名]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30년에 柳春錫이 柳大潤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해준 토지매매문서. 1830년(순조 30) 9월 1일에 同姓侄 柳春錫이 同姓叔 柳大潤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해준 토지매매문서이다. 문서에 따르면 토지를 소유하게 된 경위는 衿得畓 즉, 방매인이 자신의 몫으로 분재받은 것이며, 매매사유는 집안이 가난하여 移買店取하기 위해서라고 밝히고 있다. 매매한 밭의 위치와 면적은 邑內面 虎山 可葬坪에 있는 暑字丁 3마지기[斗落只] 9배미 負數 11負 3束인 곳이다. 거래금액은 錢文65냥이다. 본문기는 都文記에 함께 있어 부득이 넘겨주지 못한다고 하였다. 조선시대 토지거래에서는 이전 거래에서 작성했던 본문기와 새로운 거래 당사자와 작성하는 新文記를 매득인에게 넘겨주어야 했다. 이는 넘겨주지 않은 문서를 악용하여 이중매매 등의 불법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본문기를 넘겨주지 못할 경우에는 사유를 기재하여야 했다. 이 거래에 다른 증인이나 필집은 두지 않고 畓主가 자필로 문서를 작성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46년 송주항(宋柱恒)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丙戌四晦日 損生 宋柱恒 丙戌四晦日 宋柱恒 柳重憲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6년에 損生 宋柱恒이 柳重憲에게 보내는 간찰 1946년에 損生 宋柱恒이 柳重憲에게 보내는 간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67년 류제수(柳濟水)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丁未五月二十八日 族姪 濟水 丁未五月二十八日 [柳]濟水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7년 5월 28일 族姪 濟水가 柳大錫에게 보내는 간찰 1967년 5월 28일 族姪 濟水가 柳大錫에게 보내는 간찰. *상태: 청색볼펜으로 기록 *국한문혼용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67년 박태삼(朴泰三)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丁未全月念五 姻弟 朴泰三 丁未全月念五 朴泰三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7년 姻弟 朴泰三이 虎山 松峴草堂에 있는 柳松隱(류대석)에게 보내는 간찰 1967년 姻弟 朴泰三이 虎山 松峴草堂에 있는 柳松隱(류대석)에게 보내는 간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기해년 송기홍(宋基洪)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己亥十月十五日 宋基洪 己亥十月十五日 宋基洪 柳桂彦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해년 宋基洪이 고흥의 柳桂彦에게 보낸 간찰 기해년 宋基洪이 고흥의 柳桂彦에게 보낸 간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류중성(柳重性)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念三日 族從 重性 柳松隱, 柳德溪 念三日 柳重性 柳松隱 柳德溪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族從 重性이 柳松隱, 柳德溪에게 보내는 간찰 族從 重性이 柳松隱, 柳德溪에게 보내는 간찰. *十三日無事到邑…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류중빈(柳重彬)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七月一日 重彬 七月一日 柳重彬 柳重益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柳重彬이 고흥 호동의 柳重益 등 문중 어른께 보낸 간찰 柳重彬이 고흥 호동의 柳重益 등 문중 어른께 보낸 간찰. *국한문혼용 *원문: 伏未審邇來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