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4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제수물목(祭需物目)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甲戌三月 甲戌三月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34년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된 제수물목 1934년 3월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된 제수물목(祭需物目)이다. 물목은 건시(乾柿), 생률(生栗), 홍조(紅棗), 염석어(鹽石魚), 북어(北魚), 건석어(乾石魚), 홍어(洪魚) 2미-80전, 청어(靑魚), 생석어(生石魚) 5속 5미-1원 50전, 상어(尙魚), 계란(鷄卵), 건하(乾鰕), 생해(生蟹), 진유(眞油), 반합(半蛤), 해의(海衣), 청총(靑蔥), 정육(正肉) 3근-90전, 생합(生蛤), 궐아(蕨芽), 진미(眞米), 모말(牟抹), 외자(桅子), 저(猪) 1두-5원, 송탄, 백태(白太 )수근(水芹), 백채, 백염(白鹽), 고초(枯草), 백지, 백로지(白鷺紙) 2장-5전, 노석(蘆席), 초리(草履), 마리(麻履), 노자(路子), 송지(松枝), 병미(餠米), 제반미(祭飯米) 등 도합 24원 44전이고 쌀은 3두 2승이다. 제수전(祭需錢)을 낸 사람은 최춘환(崔春煥), 최경삼(崔敬三), 최여일(崔汝日), 최경삼(崔景參), 최승재(崔承在), 최민옥(崔玟玉), 최성재(崔成在), 최일홍(崔一洪), 최도윤(崔道允), 최명칠(崔明七), 최병만(崔秉萬), 최자윤(崔子允), 최석중(崔石仲), 최인홍(崔仁洪), 최윤집(崔允集), 최성균(崔成均), 최광칠(崔光七), 최군선(崔君先), 최동주(崔東周), 봉사공파(奉事公派)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