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백일장(白日場) 시권(試券) 고문서-증빙류-시권 정치/행정-과거-시권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백일장 試券. 백일장 試券이다. 백일장은 유생의 학업을 장려하기 위해 실시하는 시험으로, 대낮에 詩才를 겨룬다는 의미이다. 1414년(태종14)에 국왕이 성균관에 가서 옛 성인과 스승에게 獻爵禮를 실시한 이후 유생들에게 時務策을 논의한 데에서 유래하였다. 조선 후기 지방에서 실시되는 백일장은 관찰사와 수령 등 관 주도로 이루어지거나, 향교나 서원의 지방 유림들이 중심이 되어 실시하였다. 문서의 앞부분이 떨어져 나가 작성자 등 문서와 관련된 여러 가지 사항을 파악할 수 없다. 다만 시의 내용이나 형식을 봤을 때 詩題는 '푸른 그늘 꽃다운 풀, 꽃 피는 시절보다 낫구나[綠陰芳草勝花時]', 科目은 大古風으로 추정된다. 이 시제는 중국 송나라 왕안석(王安石)의 詩 「初夏卽事」에서 '綠陰幽草勝花時'라는 구절을 차용한 것이고, 과목인 대고풍은 無韻詩 가운데 칠언의 긴 시편을 말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67년 류준석(柳準錫)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丁未五月十五日 族弟 季錫 丁未五月十五日 柳準錫 柳大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7년에 柳準錫이 고흥의 족인 柳大錫에게 보낸 간찰 1967년에 柳準錫이 고흥의 족인 柳大錫에게 보낸 간찰. *국한문혼용, 노트 용지 2장에 연결하여 필기 *원문: 伏惟比辰에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67년 류희석(柳熙錫)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丁未五月念四日 宗末 柳熙錫 丁未五月念四日 柳熙錫 柳大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7년에 柳熙錫이 고흥의 종인 柳大錫에게 보낸 간찰 1967년에 柳熙錫이 고흥의 종인 柳大錫에게 보낸 간찰. *국한문혼용, 노트 용지 2장에 연결하여 필기 *원문: 向般付書ᄂᆞ想必入覽이오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신봉칠(申奉七)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舊六月二十一日 申奉七 虎東里 柳大錫 舊六月二十一日 申奉七 柳大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舊六月에 申奉七이 柳大錫에게 보내는 간찰 舊六月에 申奉七이 柳大錫에게 보내는 간찰. *배면에 虎東松峴 추기 *국한문혼용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기미년 송계성(宋桂星)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己未三月廿八日 宋桂星 己未三月廿八日 宋桂星 査頓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미년 宋桂星이 사돈댁에 보낸 간찰 기미년 宋桂星이 사돈댁에 보낸 간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원위(元暉)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至月 族從 元暉 至月 元暉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동짓달에 族從 元暉가 보내는 간찰 동짓달에 族從 元暉가 보내는 간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송규섭(宋圭燮)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至月十一日 罪姻 宋圭燮 至月十一日 宋圭燮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동짓달에 宋圭燮이 보내는 간찰 동짓달에 宋圭燮이 보내는 간찰. 부탁하신 水稻種子 2斗와 壽詩를 함께 보낸다는 내용, 간찰 말미에 晬宴韻 있음 *상태: 문서앞뒤로 쓰여있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고흥류씨중앙종친회(高興柳氏中央宗親會) 간찰(簡札) 피봉(皮封)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高興柳氏中央宗親會 柳大錫 顧問 高興柳氏中央宗親會 柳大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高興柳氏中央宗親會에서 柳大錫에게 보낸 簡札의 皮封 高興柳氏中央宗親會에서 柳大錫에게 보낸 簡札의 皮封.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70년 청원서(請願書)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정치/행정-보고-청원서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0년에 성균관 儒道會에서 박정희 대통령에게 보내는 청원서로 근대문서를 복사해 놓은 것 1970년에 성균관 儒道會에서 박정희 대통령에게 보내는 청원서로 근대문서를 복사해 놓은 것. *전국 儒道會 會員들 동의서, 請願要旨文, 陳情書, 陳情書回信, 신문기사 등 관련 문서들을 첨부하였음. *앞표지 인장: 4.0×1.7 좌측 상단에 ‘謹呈’ 날인되어 있음. *1冊 76張이 假綴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66년 최문홍(崔文洪) 상서(上書) 초(抄)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丙寅正月 初八日 文洪 族丈 丙寅正月 初八日 1866 崔文洪 族丈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866년(고종 3) 정월에 부안에 사는 최문홍이 문중의 족장들에게 보내기 위하여 작성한 상서의 초안. 1866년(고종 3) 정월에 부안(扶安)에 사는 최문홍(崔文洪)이 문중의 족장(族丈)들에게 보내기 위하여 작성한 상서의 초안이다. 오산(梧山) 최봉환(崔鳳煥, 1825-1892)의 서자(庶子)였던 그는 이 글에서 자신이 부친의 혈육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부친의 양자로 입적한 학홍(學洪)을 파양(罷養)하는 한편, 자신을 양자로 잇게 하여 이를 증빙하는 문서를 발급하여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그는 특히 경국대전(經國大典)의 양자조(養子條)를 예로 들면서 처첩(妻妾)에게 자식이 없으면 서자를 양자로 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율곡(栗谷) 이이(李珥)와 신재(愼齋) 김집(金集), 그리고 문익공(文翼公) 정광필(鄭光弼)같은 선현(先賢)들도 서자를 후사로 삼았다고 주장하였다. 최문홍은 또한, 지금 양자로 학홍을 입적한 것은 부상(父喪) 중에 임금의 명이 없이 일어난 일로 예법(禮法)에서 벗어난 일이라고 지적하였다. 특히 아비를 빼앗고 그 정(情)을 빼앗는 일은 사람의 힘으로서는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고도 하였다. 그리고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말을 인용하여 후사를 세우는 자는 반드시 관에 이 사실을 고하여야 한다고 하였고, 우암(尤菴) 송시열(宋時烈)도 양자의 청원을 허가하는 예조(禮曹)의 증명서 예사(禮斜)가 없으면 양자가 아니라고 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이같은 상서의 내용을 살펴볼 때, 최문홍은 최학홍의 양자 입적이 아직 법적인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하는 한편, 법전과 선례를 인용하여 서자인 자신을 부친의 후사로 만들기 위하여 절치부심 노력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오늘날 전하고 있는 전주최씨족보를 보면 최봉환의 조카인 최학홍이 양자로 입적된 것으로 나온다. 자신의 아버지의 양자로 가기 위한 최문홍의 노력은 끝내 결실을 맺지 못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900년대 초 최봉수(崔鳳洙) 등 상서(上書) 초(抄)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崔鳳洙 등 城主 崔鳳洙 扶安郡守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800년대 후반에 부안현에 사는 김주상 등 부안김씨 일족 18명이 성주에게 올린 상서를 베낀 문서. 1800년대 후반에 부안현(扶安縣)에 사는 김주상(金周相), 김동용(金東容), 김낙근(金洛瑾) 등 부안김씨(扶安金氏) 일족 18명이 연명을 하여 성주에게 올린 상서를 베낀 문서이다. 문서의 작성연대는 적혀 있지 않지만, 그 내용 가운데 무신년(1848년, 즉 헌종 14년)과 신유년(1861년, 즉 철종 12년), 그리고 병인년(1866년, 즉 고종 3년)에 부안김씨와 전주최씨 사이에 벌어졌던 산송(山訟)을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19세기 후반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부안김씨는 이 문서에서 자신들의 선산이 있는 석동산은 14세조인 한성소윤(漢城少尹) 김세영(金世英)이 고려 때 관직을 버리고 낙향한 뒤 묘역으로 삼아 4백여 년을 가꾸었던 곳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그런데 중간에 소윤공의 현손(玄孫)의 사위인 최계성(崔繼成)이 처가 동네인 이곳에 내려와 더부살이를 하다가 그 후손들이 차츰 묘를 하나 둘 쓰기 시작하더니 급기야는 객(客)이 주인의 행세를 하면서, 영읍(營邑)과 경영(京營)에 산송을 제기하기에 이르렀으니 호랑이를 키운 꼴이 되었다고 호소하고 있다. 특히 지난 신유년에 일부 부안김씨 일족이 최씨가의 무덤을 사굴(私掘)하고 송추(松楸)를 무단히 베어내고, 이 때문에 최씨 일족이 격쟁(擊錚)을 하여 임금에게 이 문제를 탄원한 뒤에는 이를 주도했던 몇몇 부안김씨 인사들이 감옥에 갇혀 국문을 당하고 유배를 가는 등 형벌을 당하기도 하였다. 이에 대하여 부안김씨들은 세 가지 억울한 점을 상서의 맨 앞에서 거론하고 있다. 첫째는 선록(先麓)을 다시 빼앗긴 점, 둘째는 사굴한 최씨네 무덤을 다시 덮어놓은 점, 셋째는 송가(松價)를 다시 징수한 점 등 김씨들로서는 억울한 감정을 토로하고 있다. 이 같은 부안김씨의 상서에 대하여 관에서 내린 제사(題辭)가 문서의 끝에 베껴져 있다. 이에 따르면 부안현감은, 전후 장문(狀文)의 내용으로 미루어 보아 최씨문중이나 김씨문중의 곡직(曲直)이 분명하고 처음에는 서로 다툴 의도로 송사를 시작한 것은 아니라고, 중립적인 입장에서 판결을 내리고 있다. 그렇지만 지금에 와서 말하면, 빌린 집에 들어와 객이 주인 행세를 한 듯도 해 보이지만, 일이 매우 커졌으니 갑자기 송사를 처리할 수는 없다는 게 현감의 판결이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67년 류대석(柳大錫) 등 편지(便紙)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丁未四月二十三日 萬宗齋修理委員 柳大錫 等 5名 丁未四月二十三日 柳大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7년에 만종재(萬宗齋) 수리위원(修理委員) 류대석(柳大錫) 등 5명이 류제철(柳濟喆)에게 보낸 편지 1967년 4월 23일에 만종재(萬宗齋) 수리위원(修理委員) 류대석(柳大錫) 등 5명이 류제철(柳濟喆)에게 보낸 편지이다. 만종재 수리와 고사(庫舍) 신축이 완료되어 방명비(芳名碑)에 글자를 새기는 일을 음력 5월 5일에 착수하기로 결정하여 성출금(誠出金)을 알려주었는데 지금까지 보내주지 않아 급하게 다시 알려주니 기한 내에 보내 방명비에 기입하도록 해달라는 내용이다. 문서는 국한문혼용의 인쇄본이며, 복본이 5장이 더 있고, 피봉과 함께 남아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67년 김남권(金南權) 편지(便紙)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一九六七年五月五日 高興郡守 金南權 一九六七年五月五日 金南權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7년 5월 5일에 고흥군수(高興郡守) 김남권(金南權)이 보낸 편지 1967년 5월 5일에 고흥군수(高興郡守) 김남권(金南權)이 보낸 편지이다. 지난 5월 3일에 실시한 제6대 대통령선거가 각 계 각 층의 지도자 여러분들께서 전력을 다해 투표에 신경 써 주신 덕분에 선거가 좋은 방향으로 잘 끝날 수 있었으며, 이 열기를 이어서 제2차 경제개발오개년계획을 중심으로 하여 연간(年間) 사업과 주민들의 숙원사업을 성공리에 완수할 수 있도록 각별한 지도와 도움을 부탁드린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85년 대노사유회(大老祠儒會) 안내장(案內狀)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乙丑九月二十五日 大老祠 院長 金東炫 乙丑九月二十五日 金東炫 柳大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85년 9월 25일에 大老祠儒會에서 柳大錫에게 보낸 案內狀 1985년 9월 25일에 大老祠儒會에서 柳大錫에게 보낸 案內狀. 尤菴 宋先生(宋時烈)의 大老祠 秋享을 봉행하니 참석을 부탁드린다는 내용 *특징: 국한문혼용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86년 전국시가비건립동호회(全國詩歌碑建立同好會) 안내장(案內文)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全國詩歌碑建立同好會 柳大錫 全國詩歌碑建立同好會 柳大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86년에 全國詩歌碑建立同好會에서 柳大錫에게 보낸 案內文 1986년에 全國詩歌碑建立同好會에서 柳大錫에게 보낸 案內文. 1986년 11월 23일에 시행하는 於于柳夢寅詩碑 除幕式에 대해 안내하는 내용 *상태: 절첩 *특징: 국한문혼용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10년 류경준(柳敬俊)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隆熙四年庚戌三月十日 柳重栢 柳敬浚 隆熙四年庚戌三月十日 柳重栢 柳敬浚 柳重栢[着名], 柳龜浚[喪不着]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0년에 柳重栢이 柳敬浚에게 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문서. 1910년(융희 4) 3월 10일에 幼學 柳重栢이 幼學 柳敬浚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문서이다. 문서에 따르면 토지를 소유하게 된 경위는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며, 매매사유는 '要用所致' 즉, 필요한 곳이 있어서라고 밝히고 있다. 매매한 논의 위치와 면적은 邑內面 虎東 松峴坪에 있는 寒字丁 5升落 負數 1負 7束인 곳이다. 거래금액은 錢文 60냥이다. 당초 이 논은 柳永心의 祭田이었는데 1886년 12월에 7촌 조카인 柳瓘浚에게 錢文 10냥에 방매한 것이다. 거래 당사자 외 증인 및 필집으로 柳龜浚이 참여하여 문서를 작성하였으며, 그는 당시 喪中이었기 때문에 서명할 수 없다는 의미로 喪不着이라고 기재하였다. 일반적으로 부모나 승중 조부모의 喪中인 사람은 喪不着이라고 표기하고 着名을 하지 않았다. 토지 매입자 류경준(柳敬浚)은 자가 乃欽, 본관이 고흥이다. 1855년에 태어나 1935년에 사망하였다. 배우자는 礪山宋氏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僉宗 僉宗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宗中 碑役과 관련하여 僉宗에게 보내는 通文 宗中 碑役과 관련하여 僉宗에게 보내는 通文. *상태: 문서 일부만 남아 있어 내용 파악 어려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정봉구(丁炳龜)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癸酉]十一月二十九日 丁炳龜 [癸酉]十一月二十九日 [1933] 丁炳龜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3]년에 丁炳龜가 보내는 간찰 [1933]년에 丁炳龜가 보내는 간찰. *상태: 박락, 종이가 얇아 바스러짐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6년 박태삼(朴泰三)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丙子閏寎月八日 姻弟 朴泰三 丙子閏寎月八日 朴泰三 姻兄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6년에 朴泰三이 인척에게 보낸 간찰 1936년에 朴泰三이 인척에게 보낸 간찰. *원문: 子積餘分退停一朔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76년 류경(柳坰)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乾]隆四拾一年丙申十二月十二日 金富梓 柳坰 [乾]隆四拾一年丙申十二月十二日 金富梓 柳坰 金富梓[着名], 郭守奧[着名], 張光璨[着名]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76년에 閑良 金富梓가 幼學 柳坰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해준 토지매매문서. 1776년(영조 52) 12월 12일에 閑良 金富梓가 幼學 柳坰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해준 토지매매문서이다. 문서에 따르면 토지를 소유하게 된 경위는 스스로 구입한 것이며, 매매사유는 생일이 연달아 있어서 사용하기 위해서라고 밝히고 있다. 매매한 밭의 위치와 면적은 邑內面 虎山東邊 松峴坪에 있는 張字畓 下邊 3마지기이다. 거래금액은 錢文 84냥이다. 거래 당자자 이외에 증인으로 郭守奧과 필집(筆執)으로 張光璨이 참여하여 문서를 작성하였다. 류경(柳坰)의 본관은 고흥, 자는 益之이다. 1738(영조 14)년에 태어나 1785년(정조 9)에 사망하였다. 묘는 두원 蛇谷村後艮坐에 있다. 배우자는 영광정씨 정극인의 후손인 丁道明의 딸이다. 明文이란 어떤 권리를 증명해 주는 문서로 흔히 토지와 노비, 가옥 등을 매매하는 문서명으로 쓰인다. 토지매매명문은 파는 사람이 작성하여 사는 사람에게 주는 것이다. 여기에는 대체로 매매 연월일과 買受者, 賣渡事由, 賣渡物의 소재지, 量案上의 字 ․ 番, 結負[卜]束과 斗落, 배미[夜味] 등 매매 대상물의 정보와 가격, 그리고 賣渡人[財主], 筆執, 證人 등이 기록된다. 그러나 시대와 작성하는 사람에 따라 이들 가운데 일부가 생략되기도 하였다.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