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肅宗四十年享文廟薛聰字聦智慶州人僧元曉子新羅神文王時爲翰林高麗顯宗十三年壬戌贈弘儒侯從祀文廟又享慶州西岳書院崔致遠號孤雲又曰海雲慶州人新羅憲安王元年戊寅生十二歲入唐僖宗乙未擧進士官至承務郞侍御史憲康王十年乙巳歸國官至翰林學士後隱于伽倻山而終高麗顯宗十一年庚申贈內史令從祀文廟十四年癸亥追封文昌侯又享于慶州西岳書院安裕後名珦字士藴號晦軒順興人密直副使孚子高麗高宗三十年癸卯生登文科官至僉議中贊大學士忠烈王三十二年丙午卒年六十四諡文成忠肅王六年己未從祀文廟又享紹修書院【安裕後名珦字犯我文宗諱顯宗四年癸卯因禮曹啓之初名裕字改題八道縣校位版】鄭夢周字逹可號圃隱延日人成均生員瓘子高麗忠肅王後六年丁丑生登進士文科官至侍中益陽君洪武壬申殉于國時年五十六朝鮮贈領議政諡文忠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入格自己丑五年行羅黃兩州訓導不以官卑諄諄善教士民莫不悅服甲午初隷國子薦人翰苑乙未春解官歸鄕丙申春上京拜前職以禮讓䇿登重試壯元陞奉教時金安老當國用事行惡無常人莫敢誰何先生對䇿目之以指鹿之奸而反被誣十餘次酷刑骨碎矣先生拾碎骨盛佩囊曰父母遺軆不可棄也裂衣血䟽上上惻然特宥棘于固城二年在圍丁酉冬特旨以前任奉教召還賜内醖以示悔謝之意戊戌秋以衛武公抑戒論登擢英試魁由卽署歷兩司春坊而玉堂則自修撰至典翰轉藝文應教檢詳舎人庚子夏陞弘文館副應教上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忠肅宗大王十九年癸酉二月孫安珌上言讀加贈啓下禮曹禮曹回啓曰今觀全羅道南原幼學安珌上言則其矣祖父安瑛當壬辰之亂與贈贊成臣高敬命贈承旨臣柳彭老同聲倡義紏合義旅力盡兵潰同死於賊事蹟終始具載於三綱行實及天朝參軍呂應鍾朝鮮錄記事聞朝廷嘉之特贈高敬命禮曹判書柳彭老司諫其矣祖父瑛僉正而竝命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과거나 백일장을 비롯한 조선시대에 치러진 시험에서의 성적은 여러 단계로 매겼는데 우선 상상(上上), 상중(上中), 상하(上下), 중상(中上), 중중(中中), 중하(中下), 하상(下上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의 기록에 의하면, 명(明)나라의 장수나 차관(差官), 청나라의 호행장(護行將)이나 감군(監軍) 등을 접대하기 위해 접대도감이 설치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강당을 앞에 두고 뒤쪽 높은 곳에 사당을 건축하여 조선시대의 전형적인 사우(祠宇) 형태를 보이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空谷跫音出冥天日暈紅試看庭上樹黃葉烈風中曲阜孔淳鍾【淳昌】箕國山河舊漢城日月紅滿天風雨夜漁笛數聲中曲阜孔南烈【長城】風塵千載下誰作葵花紅可愛箕東日一明講會中河陰奉弼周【高敞】朝來春水綠暮去夕陽紅滿天風雨急款乃一聲中復齋李鍾澤【高敞】箕聖東來後朝鮮日月紅範疇無限義理會此堂中石川李璘寧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대에 제향을 받으니, 조정에서 그 공에 융숭하게 보답한 뜻이 지극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삼가 생각해보건대, 신하 가운데 국가에 큰 공로가 있는 자는 반드시 제사지내되 영세토록 조천(祧遷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위경규(魏璟奎, 1886~1946)는 조선 말기 유학자이자 교육자이다. 호는 단강(丹江)이며 본관은 장흥(長興)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명문은 주로 매매 등의 거래 내역을 작성하여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발급한 조선시대의 계약서를 가리킨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자문은 조선시대 관청에서 물건이나 금전을 받은 뒤 발급하는 영수증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자문은 조선시대 관청에서 물건이나 금전을 받은 뒤 발급하는 영수증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숭덕(崇德) 4년(1639, 인조 17) 7월 –원문 결락-▶ 어휘 해설 ◀❶ 공형(公兄) : 조선 시대에 각 고을의 호장(戶長), 이방(吏房), 수형리(首刑吏) 등 세 구실아치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시대에 있어, 논밭을 거래하거나 혹은 어떤 물건을 거래하는 데 있어 양반이 직접 참여하는 예는 결코 흔한 일이 아니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명문은 주로 매매 등의 거래 내역을 작성하여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발급한 조선시대의 계약서를 말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조선을 망하게 한 것이[1905년] 일본이 아니라 오적인데, 오적은 왕실의 의친(懿親)이요 교목세가(喬木世家)로 무슨 심보로 5백 년을 전복시키는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조선 시대에는 실직(實職)이 2품 이상인 종친(宗親)과 문무관(文武官)의 경우 그의 부(父), 조(祖), 증조(曾祖) 등 3대(代)에 걸쳐 사후(死後) 관직을 주었고 이를 추증(追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 최승희, 지식산업사, 2003 『豐川任氏世譜』 中編 一, 五 『한국의 과거제도』 , 이성무, 한국학술정보(주), 2004 『조선시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 최승희, 지식산업사, 2003 『豐川任氏世譜』 中編 一, 五 『한국의 과거제도』 , 이성무, 한국학술정보(주), 2004 『조선시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 최승희, 지식산업사, 2003 『豐川任氏世譜』 中編 一, 五 『한국의 과거제도』 , 이성무, 한국학술정보(주), 2004 『조선시대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