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49년 박경진(朴璟鎭)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己丑四月念五 査弟 朴璟鎭 己丑四月念五 朴璟鎭 柳重憲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9년 朴璟鎭이 사돈 柳重憲에게 보낸 간찰 1949년 朴璟鎭이 사돈 柳重憲에게 보낸 간찰. *원문: 客春三宵娓娓陪話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49년 류제한(柳濟漢)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紀元四二八二己丑五月二十八日 孤子 柳濟漢疏上 柳野山座前 紀元四二八二己丑五月二十八日 柳濟漢 柳重憲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9년 서울의 柳濟漢이 고흥의 柳重憲에게 돌아가신 아버지의 大祥祭를 알린 간찰 1949년 서울의 柳濟漢이 고흥의 柳重憲에게 돌아가신 아버지의 大祥祭를 알린 간찰. *원문: 濟漢稽顙再拜言濟漢罪逆深重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溪留上漢槎라고 쓴 遺墨 溪留上漢槎라고 쓴 遺墨. *상태: 배면에 三이라 적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靈藥得人形이라고 쓴 遺墨 靈藥得人形이라고 쓴 遺墨. *상태: 배면에 二이라 적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修라고 쓴 遺墨 修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1課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永이라고 쓴 遺墨 永이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17년 류경준(柳敬浚)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十月一日 父 敬浚 子 重憲 十月一日 柳敬浚 柳重憲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7년 10월에 아버지 柳敬浚이 아들 柳重憲에게 객지에서의 안부를 전하는 간찰 1917년 10월 1일에 아버지 敬浚이 全南 高興郡 高興邑 虎東里에 사는 아들 柳重憲에게 안부를 전하는 간찰이다. 편지 서두에 쓰인 '寄子重憲書'과 말미에 '父 敬浚'이라고 쓰여 있는 것을 통해 아버지가 아들에게 보낸 편지임을 알 수 있다. 아버지 경준은 편지에서 헤어진 후에 달이 바뀌었을 뿐 아니라 날도 더해지고 家山이 천리나 떨어져 있으니 그립다고 하면서 가족들 모두 어떻게 지내는지 안부를 물었다. 이어서 집을 떠날 때를 생각하면 아직도 절절하다고 하면서 자신은 갑자기 고창 흥덕에서 이번 달 1일에 상경하여 3일에는 개성으로 갈 계획이라며 자신의 상황을 알렸다. 여행은 이제 옛날과 같지 않다고 하면서 아들 중헌에게 돌아갈 시기를 알 수 없으니 집의 소식은 井邑 西一面으로 부쳐달라고 하면서 다음에는 柳濟鉉이 좋겠다고 말하였다. 추신으로 族弟 龜浚의 소식을 듣고 싶다고 하였다. 류경준(柳敬浚)은 자가 乃欽이고, 본관이 고흥이며, 1855년에 태어나 1935년에 사망하였다. 배우자는 礪山宋氏이다. 묘는 고흥군 虎山 東山丙坐이다. 류중헌(柳重憲)은 자가 사집(士執), 호가 야산(野山), 본관이 고흥으로, 1873년(고종 10)에 태어나 1952년에 사망하였다. 배우자는 南陽宋氏 宋冑僖의 딸이다. 품성이 영민하고 효성스러웠으며, 經史와 義理에 밝았다. 고조부 류일영이 편찬한 ?信庵實記?를 간행하였다. 당시 全南 高興郡 高興邑 虎東里에 살았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송재홍(宋在弘) 백일장(白日場) 시권(試券) 고문서-증빙류-시권 정치/행정-과거-시권 宋在弘 宋在弘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보성에 사는 宋在弘이 작성한 백일장 試券. 보성에 사는 宋在弘이 작성한 백일장 試券이다. 백일장은 유생의 학업을 장려하기 위해 실시하는 시험으로, 대낮에 詩才를 겨룬다는 의미이다. 1414년(태종14)에 국왕이 성균관에 가서 옛 성인과 스승에게 獻爵禮를 실시한 이후 유생들에게 時務策을 논의한 데에서 유래하였다. 조선 후기 지방에서 실시되는 백일장은 관찰사와 수령 등 관 주도로 이루어지거나, 향교나 서원의 지방 유림들이 중심이 되어 실시하였다. 백일장의 詩題는 '깊은 산속이라 4월이 되어 비로소 꾀꼬리 소리를 듣는다[山深四月始聞鶯]'이며, 科目은 小古風이다. 이 시제는 남송의 시인 육유(陸游, 1125~1210)의 詩 「新夏感事」 중에서 한 구절을 차용한 것이다. 소고풍은 無韻詩 가운데 오언의 짧은 시편을 말한다. 당시 송재홍은 백일장에 참여하여 次下의 점수를 받았다. 답안지 우측에 이 시권의 字號가 七藏이라고 쓰여 있다. 자호는 시권의 제출 순서를 말한다. 과거 시험에서 시권을 다 거두면 제출 순서대로 묶어 千字文의 순서에 따라 字號를 매겼다. 이를 作軸이라고 하는데, 예를 들면 天軸, 地軸, 玄軸 등으로 나아간다. 天軸의 첫 번째 시권은 一天, 두 번째 시권은 二天이라고 한다. 이 문서는 藏軸의 일곱 번째 시권인 것이다. 이 문서의 작성 시기는 1900년대로 추정되며 정확한 시기는 파악할 수 없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98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大韓二年戊戌十二月二十八日 金載廈 大韓二年戊戌十二月二十八日 金載廈 金載廈[喪不着], 金致善[着名], 南□熙[着名]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8년에 金載廈가 논을 팔면서 작성해준 토지매매문서. 1898년(광무 2) 12월 28일에 金載廈가 논을 팔면서 작성해준 토지매매문서이다. 문서에 따르면 토지의 매매사유는 '要用所致' 즉, 필요한 곳이 있어서라고 밝히고 있다. 방매한 논의 위치는 豆上道 觀德 握禮坪으로 이곳에 있는 歸字丁 3마지기[斗落只] 10부 3속을 錢文120兩을 받고 팔았다. 논을 매득한 이는 쓰여 있지 않아 알 수 없고, 거래 당시 답주인 김재하는 상중으로 서명을 하지 않고 喪不着이라고 기재하였다. 일반적으로 부모나 승중 조부모의 喪中인 사람은 '喪不着'이라고 표기하고 着名을 하지 않았다.거래 당사자 외에 證人 金致善과 笔執 南竟熙이 참여하였다. 문서가 작성된 1898년은 대한제국의 연호가 광무인데, 문서 첫머리에 광무 연호를 쓰지 않고 大韓으로 쓰고 있다. 明文이란 어떤 권리를 증명해 주는 문서로 흔히 토지와 노비, 가옥 등을 매매하는 문서명으로 쓰인다. 토지매매명문은 파는 사람이 작성하여 사는 사람에게 주는 것이다. 여기에는 대체로 매매 연월일과 買受者, 賣渡事由, 賣渡物의 소재지, 量案上의 字 ․ 番, 結負[卜]束과 斗落, 배미[夜味] 등 매매 대상물의 정보와 가격, 그리고 賣渡人[財主], 筆執, 證人 등이 기록된다. 그러나 시대와 작성하는 사람에 따라 이들 가운데 일부가 생략되기도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67년 변시연(邊時淵)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丁未至月九日 生 邊時淵 丁未至月九日 邊時淵 柳大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7년에 장성의 邊時淵이 고흥의 柳大錫에게 보낸 간찰 1967년에 장성의 邊時淵이 고흥의 柳大錫에게 보낸 간찰. *원문: 虎山虎山聞已熟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병오년 송형주(宋衡柱)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丙午四月朔日 宋衡柱 柳氏門中 僉尊執事 丙午四月朔日 宋衡柱 柳氏門中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오년 宋衡柱가 고흥유씨 문중 여러 어른께 보낸 간찰 병오년 宋衡柱가 고흥유씨 문중 여러 어른께 보낸 간찰. *원문: 柳氏門中 僉尊執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류영선(柳永善)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四月念五日 族弟 永善 四月念五日 柳永善 柳重憲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고창의 柳永善이 고흥의 족인 柳重憲에게 보낸 간찰 고창의 柳永善이 고흥의 족인 柳重憲에게 보낸 간찰. *원문: 久未承候悵慕何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류중생(柳重生)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雲谷祠 別有司 柳重生 柳重生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雲谷祠 別有司 柳重生이 보내는 편지 雲谷祠 別有司 柳重生이 보내는 편지. 春香祭 官薦定日알림 *국한문혼용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간찰 간찰. *月前詣□行□恩……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만종재(萬宗齋) 간찰(簡札) 피봉(皮封)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萬宗齋 萬宗齋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萬宗齋에서 보낸 簡札의 皮封 萬宗齋에서 보낸 簡札의 皮封.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만종재(萬宗齋) 간찰(簡札) 피봉(皮封)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萬宗齋 萬宗齋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萬宗齋에서 보낸 簡札의 皮封 萬宗齋에서 보낸 簡札의 皮封. *특징: 四千円이라 적혀있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82년 대노사유회(大老祠儒會) 후속경위서(後續經緯書)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대노사유회(大老祠儒會)에서 작성한 후속경위서(後續經緯書). 대노사유회(大老祠儒會)에서 작성한 후속경위서(後續經緯書)이다. 운곡사(雲谷祠) 내부에서 있었던 갈등에 대해 4가지로 정리한 경위서이다. 경위서의 내용을 살펴보면 첫 번째로 향사일(享祀日)을 음력 3월 1일로 결정한 내용, 두 번째로 사건을 저지른 사람이 하등의 반성도 없이 본 유회를 반박하고 상대측이 보낸 경위서에 서명하여 보냈음이 경악스럽다는 내용, 세 번째로 본 유회는 현재까지 원장은 공석으로 두고 있었는데, 서로 화합할 것을 종용하였으나 2월 28일에 수 개월 전 사퇴한 전 원장의 명의로 총회를 소집해서 일방적으로 회의를 통해 원장을 결정하고 이사진을 구성한 것은 불법이라는 내용, 네 번째로 본손(孫) 대표의 주체로 제례집행위원회(祭禮執行委員會)를 구성하여 지금까지 있던 일은 없던 일로 하고 조용히 행사를 마치기로 하였으나 상대측에서 따르지 않아 수포로 돌아갔으므로 심히 유감이라는 내용이 적혀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대노사유회(大老祠儒會) 임원명단(任員名單)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大老祠儒會 임원과 이사 명단 大老祠儒會 임원과 이사 명단. 大老祠儒會의 임원들의 이름과 이사들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가 적혀있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82년 대노사연락소(大老祠連絡所) 편지봉투(便紙封套)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大老祠連絡所 柳大錫 大老祠連絡所 柳大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82년 陰 8월에 大老祠連絡所에서 柳大錫에게 보낸 편지의 봉투 1982년 陰 8월에 大老祠連絡所에서 柳大錫에게 보낸 편지의 봉투.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82년 권희준(權熙{忄+睿}) 안내장(案內狀)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壬戌三月六日 大老祠儒會 副院長 權熙{忄+睿} 壬戌三月六日 權熙{忄+睿} 柳大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82년 3월 6일에 權熙{忄+睿}이 柳大錫에게 보낸 案內狀 1982년 3월 6일에 權熙{忄+睿}이 柳大錫에게 보낸 案內狀. 尤菴 宋先生(宋時烈)의 春享期를 거행하니 참여 부탁드린다는 내용 *특징: 국한문혼용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