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23년 고흥국도부양원(高興國島扶陽院) 망기(望記)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사회-조직/운영-망기 癸亥十一月 日 柳敬浚 癸亥十一月 日 高興國島扶陽院 柳敬浚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3년 11월에 고흥국도부양원(高興國島扶陽院)에서 류경준(柳敬浚)에게 보낸 망기(望記). 1923년 11월에 고흥국도부양원(高興國島扶陽院)에서 류경준(柳敬浚)에게 보낸 망기(望記)이다. 류경준을 군지부유사(郡誌副有司)에 천거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망기는 어느 한 직책에 합당한 인물을 천거할 때 사용하는 문서로 서두에 망(望) 혹은 천망(薦望)을 기입하였다. 망첩(望帖) 또는 망단자(望單子)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한 직책에 세 사람을 후보자로 열거하는 3 망이 원칙이었으나, 한 사람 혹은 여러 사람을 추천하기도 하였다. 국도(國島)는 나로도(羅老島)의 별칭이다. 고흥국도부양원은 고흥 국도에 있던 부양서원으로 추측된다. 류경준은 1855년(철종 6) 2월 12일에 태어났고 81세의 나이로 1935년 8월 11일에 졸하였다. 자(字)는 내흠(乃欽)이다. 묘는 호산(虎山) 동산(東山) 안에 있다. 부인은 여진우(礪鎭佑)의 딸인 여산송씨(礪山宋氏)이다. 부유사는 유사(有司)의 다음가는 직무(職務)나 사람으로 유사는 단체 또는 자생적 모임에서 사무를 맡아보는 직책이다. 흔히 '소임(所任)'이라고도 한다. 전통사회의 향교·서원·이정(里政) 등과 필요에 의해 구성된 자생적 모임, 즉 동계(洞契)·혼상계(婚喪契)·갑계(甲契)·수리계(水利契)·두레 등의 각종 계모임, 그리고 어떤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모이는 일시적인 성격의 집회 등에서 경리·연락·문서작성 등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安蘇山【致長】文 嗚呼天下之亂極矣。六洲懷襄。靑邱全疆。日夕浮沈。禮義從以斁喪邦國從以顚躓。自生民來。未有若此時之慘酷。宰相如閔趙洪。諸忠正之捐生取義。而其貞忠偉節。輝耀日月。道學。如淵翁勉翁兩先生之殉國成仁。而抑天使之以結梢於三千里五百年文明之運。而一治耶。以至朝野微官。及臺輿走卒。往往視死如鴻毛。知有綱常之大。此豈非列聖朝。培養之澤。諸先正化成之功耶。嗚乎。兄以邃學高見。遭遇不辰。無復有當世之念。去衣冠而斷往還。菲飮食而殄榮衛。以候自盡。星霜未幾。竟至不淑。嗚呼。天胡爲降此英異純粹之姿於叔季昏墊之世。而博於學周於德。若將有爲於牖頹俗回淳風。障狂瀾扶斯文。而反使之時象日迫。到白首藏修。而卒以卷歸泉臺耶。此何理也。氣數所憾。一至於此耶。彼依阿糾結。乾沒風壒。化物窮欲。不知返者。亦獨何心哉。昔兄過余于富春山中。余以赤馬梐毒。坐立須人。然覿兄容光。聞兄言論。其所溫和莊重。素養堅固者。反有倍蓰於夙聞。不覺興感。庶至忘病。但其陪從年少。微有促行底意思。余甚悵然。兄乃凝然移時。竟返駕焉。余謂繼此更奉歟。兄示以無出入之意。余亦足盭脚。梗未得追逐。奄致千古。恨何窮極。鷄絮一酹。亦莫之親。短詞替哭。此豈情素。膏肓誤人。到此愈極。相感者存。庶歆斯斝。嗚乎哀哉。尙饗。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讀書次第說贈族姪載仁 士而不可不學學矣。而又不可不知次第。若學而不循序致精。則於義理之要歸。規模之宏博。日又昧䵝。而自家日用。本須涵養。端倪察識之工夫。亦隨以無所開發進益矣。此朱夫子所以擬古敎人之方。雜採傳記。作小學書。使之主乎誠敬。收其放心。養其德性。無所不至。旣已養之。則因其心所知之理。以窮天下事物。然後可以入德。而有所成就。故敎之以大學。使知其規模本末。先後之節目。復欲便人所讀。正其錯簡。補其闕畧。使之開卷。心目瞭然。又作章句或問。而尤開發之。次而使讀論語。知所求仁爲己。而固其根基。又次讀孟子。知所義利分別。而得其發揮。然慮其精究。而或有差謬。故作集註或問。以盡明白。若其天人性命之至正。聖賢道學之精微。尤不可不知。故又使讀中庸。究極其奧妙。然苟無聖賢之聰明睿知。不足以得其要義。故刪定輯畧。而絀異反同。遂著章句若或問。而微辭奧旨。無所不貫融。能使天下萬世學者。得其門路階級。而其難易遠近淺深之序。蓋不紊矣。夫學者旣學聖賢。則當以聖賢之敎爲主。有一毫失次。則烏得免躐等助長之患也哉。惟望漸次進就。俾有實效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曺道三字說 道之在天下。實天命之所爲。非人智力之所及。夫人之生也。得於理以爲健順仁義禮智之性。得於氣以爲魂魄五臟百骸之身。然理無不是。故性必善。而但氣之運也。則有淳漓判合之不齊。人之稟也。則亦有淸濁昏明之或異。此所以智愚賢不肖之判然殊塗者也。然百倍其功。而變化其氣質。克去其己私。則愚必明。柔必剛。能復其性初。而入於聖賢之域矣。故聖人。欲明是道於天下萬世。故述先王之法而示之。其規模節目之尤詳且明者。則所謂大學是也。夫大學之道。以明德新民至善爲三綱領。而以格致誠正修齊治平八條目。丁寧反復。明白呈露者。無非說此三綱領。自明己德。而及天下之道也。曺君運承。味道甚勤。其表德曰道三。蓋取此義。是乃成己成物之道。必以格物致知。爲最初下手處。分別天理人欲之間。而無少差謬。則意得誠心得正。而自然身修。以至於家之齊國之治。天下之平。亦擧而措之耳。如其徒事口耳。以資一場說話。而不能用力於眞知實踐。則與記誦摽掠者。無所短長得失於其間。而只切白首紛如之歎矣。願道三。勉之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鄭持平【在健】文 嗚呼痛哉。國胡爲而至此。世胡爲而至此。聖賢之道不行。而世必乖亂。賢良之才不進。而國必危亡。此必至之勢也。歷選今古。何國不然。何代不然。顧我國。非不有邃學宿德。如勉翁淵翁之至誠惻怛。而奈奸凶之擁蔽聰明何。終竟景色。殄瘁以盡而已矣。嗚乎。公以文淸肖孫。講聖賢之書。膺淸朝之選。位備諫院。材具棟樑。當陳善閉邪。格王澤民。可以配事功於臯夔陟說。致熙皞覩中興。而反爲群壬所沮。低回微職。展布不得。且恥與惡人同朝。退臥田里。乃以講典籍訓子姪。爲修身齊家之法。而若將終身焉。然豈果於忘世者哉。絶進身之念。而但憂國愛君。斷斷忠義。初不以不仕有間。而反有功焉。時象益促。忠憤火烈。一釰知心。熊魚取舍。凜如霜雪。光爭日月。天雖陷而倫理不斁。國雖亡而紀綱賴存。以是將有辭後世矣。嗚乎夤緣。潘楊修好。始接公儀。見其動靜語黙。宛然若古昔名宰碩輔而同揆。意謂扶廣廈之將頹。障洪流之橫決。今焉已矣。天何豐其賦而嗇其數耶。嗚呼痛哉。余以赤馬病殼。苟延呼吸。自占杜靖計。亦累矣而止矣。足廢脚盭。未克洩几筵一慟。止此敶蕪辭㪺薄酤。替酹冥漠。限何窮極。靈惟不昧。庶幾歆格。嗚呼痛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李鳳瑞文 嗚呼痛哉。兄胡爲以遽化耶。天地俱陷。生反爲辱。以是鶱騰。不在人間耶。昔謂之元城好命。今乃從元城而同歸耶。我病盭。峽居離索。維兄源源。時相劘琢。夜而繼日。蓬麻是賴。志脗心契。相規切偲。以是追逐。謂終餘年。豈意今者。遽隔重泉昔余從于先生縶燕。兄能冒炎千里往還。師友之際。理似然矣。然今世降。孰能如是。跡兄所操。好賢是已。所以學問。老而彌勤。鷄鳴卽起。誦至千言。靡書不篤。尤致洛閩。是以言動。必法古人。居家純美。孝友盡道。推以睦淵。族戚咸宜。以至友朋。非賢不交。然其洪度。汎愛不遺。遇人子弟。勉以學問。每加提命。諄諄不倦。慨世之頹。務循古禮。非禮不言。心爲砥柱。顧此騫劣。十駕莫追。久辱知遇。情誼密勿。去冬相逢。不善飮啜。問其所祟。外寒內熱。世變日積。憂憤成疾。分未浹望。訃車輒至。余方病甚。未克長號。只有淸血。雙眼如雨。嗚呼痛哉。一聲長號。寄山罇兮。病不能親酹寢門兮。山哀浦愁。隔九原兮。靈如不昧。尙克鑑余之永言兮。嗚呼痛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80년 류영시(柳永蒔)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光緖六年庚辰二月初三日 柳永華 柳永蒔 光緖六年庚辰二月初三日 柳永華 柳永蒔 柳永華[喪不着], 柳永學[着名]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0년에 柳永華가 柳永蒔에게 밭을 팔면서 작성해준 토지매매문서. 1880년(정조 24) 2월 초3일에 柳永華가 柳永蒔에게 밭을 팔면서 작성해준 토지매매문서이다. 문서에 따르면 토지를 소유하게 된 경위는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며, 매매사유는 移買次 즉, 다른 곳의 토지를 구입하기 위해서라고 밝히고 있다. 매매한 밭의 위치와 면적은 邑內面 虎東 松峴坪에 있는 暑字丁 7마지기[斗落只] 부수 7卜 3束인 곳이다. 거래금액은 錢文19냥이다. 밭주인 류영화는 거래당시 喪中이었기 때문에 서명할 수 없다는 의미로 喪不着이라고 기재하였다. 일반적으로 부모나 승중 조부모의 喪中인 사람은 喪不着이라고 표기하고 着名을 하지 않았다. 거래 당사자 외 증인 및 필집으로 柳永學이 참여하여 문서를 작성하였다. 류영화가 류영시에게 판 이 밭은 1868년 12월에 柳玉錫이 張漢得으로부터 錢文17냥에 구입한 곳으로 관련 문서가 남아있다. 류영시(柳永蒔)는 자가 子汝, 호가 竹窩, 본관은 高興이다. 1833년에 태어나 1918년에 사망하였다. 배우자는 靈光丁氏이다. 明文이란 어떤 권리를 증명해 주는 문서로 흔히 토지와 노비, 가옥 등을 매매하는 문서명으로 쓰인다. 토지매매명문은 파는 사람이 작성하여 사는 사람에게 주는 것이다. 여기에는 대체로 매매 연월일과 買受者, 賣渡事由, 賣渡物의 소재지, 量案上의 字 ․ 番, 結負[卜]束과 斗落, 배미[夜味] 등 매매 대상물의 정보와 가격, 그리고 賣渡人[財主], 筆執, 證人 등이 기록된다. 그러나 시대와 작성하는 사람에 따라 이들 가운데 일부가 생략되기도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류사영(柳思榮) 시권(試券) 고문서-증빙류-시권 정치/행정-과거-시권 幼學 柳思榮 [19세기] 柳思榮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92년에 幼學 柳思榮이 과거에 응시하여 제출한 試券. 幼學 柳思榮이 21세 때인 1792년(정조 16)에 과거시험에 응시하여 제출한 시험 답안지이다. 답안지의 첫머리에는 응시자의 인적사항을 기록하였는데, 이를 잘라내거나 말아서 채점의 공정성을 기하고자 하였다. 인적사항으로는 본인의 관직, 본관, 거주지, 그리고 四祖의 성명, 관직, 본관을 기록하였다. 이 문서에서 응시자의 인적사항이 기록된 秘封은 割去하였다. 기재된 인적사항을 보면 시험응시자는 류사영으로 나이는 21세, 본관은 高興이고, 거주지는 興陽이다. 그의 四祖로는 아버지 學生 柳坰, 조부 學生 柳希綻, 증조부 通德郞 柳星甲, 외조부 學生 丁道明(본관은 靈光)이 기재되어 있다. 시험을 마친 다음 공정성을 위하여 채점 전에 이 부분을 절취하였다가 채점이 끝나고 나면 실로 잇거나 하여 다시 붙였는데 현재는 절취한 부분을 지끈으로 다시 묶여있다. 試驗科目은 四書疑 과목으로 試題는 "問云云"으로 생략되었다. 성적은 次下를 받았는데 채점자가 답안과 구분되게끔 붉은 먹으로 답안 중간에 크게 써놓았다. 점수는 14등급으로 上上, 上中, 上下, 中上, 中中, 中下, 下上, 下中, 下下, 次上, 次中, 次下, 更, 外 순으로 매긴다. 답안지 우측에 시권의 字號가 一容이라고 쓰여 있는데, 이는 시권의 제출 순서를 말한다. 과거 시험에서 시권을 다 거두면 제출 순서대로 묶어 千字文의 순서에 따라 字號를 매겼다. 이를 作軸이라고 하는데, 예를 들면 天軸, 地軸, 玄軸 등으로 나아간다. 天軸의 첫 번째 시권은 一天, 두 번째 시권은 二天이라고 한다. 본 문서는 容軸의 첫 번째 시권인 것이다. 대개 비봉의 절취선에 크게 한 번 쓰고 그 아래에 좌우 각 두 번을 쓰도록 되어 있었다. 시권의 주인공 류사영은 류일영(柳日榮, 1767∼1837)의 동생이다. 고흥류씨가 문서 중 류사영의 과거합격증서가 남아있지 않고, 현재 남아있는 사마방목 등에서도 이름을 확인할 수 없어 합격여부는 알 수 없다. 류사영은 자가 述夫, 본관은 고흥이다. 1771년(영조 47)에 태어나 1796년(정조 20)에 사망하였다. 성품은 孝友하였고, 향시(鄕試)에 여러 번 선발되었다. 배우자는 영광정씨 丁應明의 딸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墓碣銘【幷序】 在昔韓末。湖之綾城。有一慷慨志節之士。其姓文。其諱達煥。次章曰德卿。別字曰遯齋。江城君三憂堂先生遠裔。贈左贊成景惠公和。十六世孫也。於鳳山公顯相。爲曾孫。於孝子中司馬。安谷公範龍爲孫於心巖公鳳休爲子也。外祖。利川徐杓。光山金光欽。公金氏出也。心巖公家法。嚴肅於當世諸賢。最慕勉菴崔先生之爲人。時月從逐。擧公于哲宗壬子八月二十一日。前夜。心巖公夢。神人來告曰。必生賢人。俄而解娩。仍初名夢賢。幹軀骯髒。氣容端厚。八歲受小學。至衆人蚩蚩物慾交蔽。遽起而言。曰爲學之道。防欲爲先矣。聞者咸驚異之。成童。已泛濫群書。十七以親命贄謁于勉菴崔先生。先生亟加愛獎。爲書進修根基。修齊治平八字以贈之。公佩服師訓。不敢少弛。癸酉因勉翁疏。雲峴還政。嶺人李相敦。憤午人失勢。誣辱勉翁。公乃倡于道儒。發通聲討。厥後曺兢燮。又誣詬勉翁。公又討之。及乙巳勒約成。勉翁不勝憤激。將起義旅。間行至湖南。公追聞之探跡。密謁數次。丙午閏四月。遂留侍勉翁。寫布告八路檄文。以同月十四日。建義旗。行井邑淳昌谷城。收兵得千餘人。還次淳昌。時全州觀察使韓鎭昌。淳昌郡守李建鎔。嗾倭兵擊我。我師潰。是曉。光州觀察使。李道宰。矯旨令解散。勉翁不聽。俄報倭兵至。乃全州南原鎭衛隊兵也。義師旣散。惟公與十一人。留護勉翁。終不去。已而。倭兵執我義士向京。公欲奪劒擊倭。時有止之者。且慮禍及勉翁已之。至全州。被蹴打無算。絶而復蘇者屢。倭復引致。所謂司令部順招至公。問曰師事崔大官幾年。答曰數十年。倭曰此擧將何爲。曰吾師痛賊臣販國外寇擅柄。欲復宗社。爲此擧矣。通譯宋姓者。稱土匪。公厲聲叱曰。藉吾粮。從師赴國亂。此爲土匪乎。宋黙然。倭且問且拷。公曰如是勒招。是公事乎。賊卽止而押送獄中十餘日。又招曰。汝師上疏。是汝所寫乎。公曰然。賊詰之反覆復致于獄。六月倭竄勉翁于對馬島。公負於人道。餞哭失聲。公放歸未幾。勉翁逝報至。公哀慟如不欲生。以足躄。不能執紼於返輿之際。爲終身恨。自此遯跡林泉。自號曰遯齋。不知世外有何人作何事。開門受徒。學徒自四方至。各因其才而篤之。多有所成就。其論心性則一尊師說曰。心爲虛靈。足以統管天下之理。宰制天下之物。學者當一守其本心之正可也。公之學。以誠實爲主。不爲世儒彫繪之習。所著有遺集五卷。朱文類選十三卷。東史二卷。以國讎未報。終身戴白笠。及聞德壽宮凶變。痛哭作聲討文。布告域內。以戊寅三月七日。大歸于所居綾城之富春坊第。臨行。少無怛化意。諄諄飭門子弟以勉學。嗚乎。公可謂烈丈夫矣。可藉手見父師於地下矣。穿綾城之寒泉面淸溪洞後麓負甲原。藏衣履。是日挽誄相屬。加麻者數十人。後十餘年。門徒糾合同志。建富春祠。腏勉菴先生。而以公及十一人躋配焉。齊濟州梁氏俊黙女。有婦德。子男載聲基皜。孫泰應泰鍊泰仁泰允。長房生。濟仁濟義。次房生。餘不錄。噫。公樹立如是之卓犖。而終其世余未嘗一傾蓋相雅。可作責沈之文也。今其門徒與子孫。飾羨道而要余牲石之刻。余心仰公之爲人。不敢以衰耄終辭。銘曰。心剛鐵腸古柏。奮國難篤報佛。裕昆裔啓後學。可以表諸世。而詔諸來億也。歲癸丑之三月。花山權純命謹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中和寂感說 或問中庸曰。喜怒哀樂之未發。謂之中。發而皆中節。謂之和。易曰無思也。無爲也。寂然不動感。而遂通天下之故。中莫是寂然。和莫是感通耶。曰中和。性情之謂也。寂感。此心之謂也。蓋人之生也。受天命之理。而爲性。得陰陽之氣而爲形。形旣生矣。心亦在焉。心之爲道。以仁義禮智爲體。以惻隱羞惡恭敬是非爲用。當其未發則是乃此心寂然之處。而德性渾然在中。無所偏倚。及其已發。則是乃此心感通之時也。而其情自然中節。各得其正。然非敬以直內。則無所涵養。而大本不立。非義以方外。則無所裁制。而達道不行矣。故敬義。夾持於其本原之養。事爲之際。致其戒愼恐懼。而極其涵存觀省。無少間斷。則內外動靜。不失其正。而合乎理。此所謂體用之一源。而流行不息者也。然則中與寂然。爲一等時節。和與感通。亦爲一等時節。而雖無可得以分別者。然靈底是心。而寂感之所以爲主者也。實底是性。而中和之所以然。所當然者也。故曰中和。蓋所以爲寂感者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贈具士文 凡有千狀萬態。盈天地而無窮盡焉者。皆物也。然無一物。外理與氣而成者也。所以生此物者理也。成此物者氣也。理雖無形。而常爲有形之主。氣雖有形。而常爲無形之役。故氣每聽命於理。則世間甚事甚物。有不得其正者乎。物皆然矣。而心尤切至。論其本體則理也。言其當體則氣也。於其當體之中。揀別出本體。則曰明德。曰道心。曰本心。曰本源之類是也。是皆聖賢所以詔後學。而後學所以勉勉仡仡者也。今君之言曰。非不留意講學怠惰間作是病。此可見進修用力底意思也。然何嘗有知其病。而護之養之者耶。所謂怠惰。乃是氣質之病。未有不加克復之工。而能變化者也。夫學之進不進。只在誠僞敬怠之間而已。僞是誠之反。怠是敬之反也。然則其克治恢復之道。舍誠敬。奚以哉。實理實心之無妄不息者曰誠。維持主宰而該貫動靜者曰敬。其爲理一也。而皆所以爲此心之妙也。能實然用力於此。則形氣昏惰之習。自然退聽。而不自覺矣。然是豈薄劣醯鹽之所可變人酸醎哉。惟就自家身上。黙會聖賢書。則理明氣順。而誠敬之道得矣。勿謂迂遠。而更加努力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운곡사(雲谷祠) 및 제동서원(齋洞書院) 연혁(沿革) 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사회-역사-역사기록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雲谷祠와 齋洞書院의 沿革을 기록한 문서 雲谷祠와 齋洞書院의 沿革을 기록한 문서이다. 문서에 기록된 내용을 보면 운곡사는 高興面 修德山 남쪽 기슭 아래에 있다고 쓰고, 이어서 柳某 宋某라고 적었다. 柳某 宋某라고 쓴 것은 배향된 인물의 성씨를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이어서 옛날에는 豆原에 있었다가 雲嵐山 아래로 正宗 을사년(1785)에 사당을 세우고 배향하였다. 병진년(1796)에 西齋 宋侃을 移享하였으며, 齋洞祠에 孤舟 丁運熙를 함께 배향하였다. 고종 무진년(1868)에 훼철. 순종 후 경자년(1960)에 복설되었다고 한다. 재동서원은 大西面 石峴(옛 齋洞祠)에 있다. 정조 임인년(1782)에 館學 및 四長舘에서 통문을 내어 을사년(1785)에 雲谷에 사당을 건립하고 배향하였다. 병진년(1796)에 西齋洞으로 移享하였다. 고종 무진년(1868) 서원 훼철때 도리어 齋洞院은 훼철하지 말라는 명을 받았다(飭旨). 순종 후 병신년(1956)에 齋洞의 동쪽 石峴에 복설하였으며 齋洞書院이라 편액하였다고 한다. 이 문서에 기록된 내용으로 보아 작성 시기는 1960년 이후인 것으로 짐작된다. 현재 운곡사에는 1310년 고흥부원군에 봉해진 류청신(柳淸臣 ?∼1329), 류청신의 손자로 1365년 도첨의시중에 올랐던 류탁(柳濯 1311~1371)을 비롯하여 류습(柳濕 1367∼1439), 류충신(柳忠信), 류몽인(柳夢寅 1559~1623) 등 고흥류씨 9위와 고려 공양왕 때 판도판서에 임명되고 문하시중에 오른 송인(宋寅 1355∼1432), 송순손(宋順孫), 송덕일(宋德馹) 등 남양 송씨 6위가 모셔져 있다. 재동서원은 현재 전라남도 고흥군 대서면 화산리에 위치하며, 여산 송씨 문중서원이다. 여산 송씨 宋侃을 주벽으로 金時習을 同配하고, 宋大立, 宋諶, 宋純禮, 宋希立, 宋建, 宋商輔, 宋得運, 宋碩隆, 宋弘淵, 宋眞夫, 宋明圭, 宋粲文, 宋廷奎 15위가 배향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62년 충강사(忠剛祠) 망기(望記)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사회-조직/운영-망기 壬寅正月 日 忠剛祠 祝 柳大錫 壬寅正月 日 忠剛祠 柳大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2년 1월에 충강사(忠剛祠)에서 류대석(柳大錫)에게 보낸 망기(望記). 1962년 1월에 충강사(忠剛祠)에서 류대석(柳大錫)에게 보낸 망기(望記)이다. 류대석을 다음 달 15일에 시행하는 춘향제(春享祭) 헌관(獻官)으로 임명한다는 내용이다. 망기는 어느 한 직책에 합당한 인물을 천거할 때 사용하는 문서로 서두에 망(望) 혹은 천망(薦望)을 기입하였다. 망첩(望帖) 또는 망단자(望單子)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한 직책에 세 사람을 후보자로 열거하는 3 망이 원칙이었으나, 한 사람 혹은 여러 사람을 추천하기도 하였다. 충강사는 고흥군 대서면(大西面) 화산리에 있다. 충강사는 재동서원(齋洞書院)의 명칭 중 하나였다. 재동서원은 여산 송씨 충강공(忠剛公) 서재(西齋) 송간(宋侃)을 주벽으로 송대립, 송심, 송순례, 송희립, 송건과 김시습 등 15위를 향사하는 곳이다. 처음 1785년 송간, 유탁, 정운희, 송대립, 송침 5위를 향사하여 운곡사로 시작되었다. 10년 뒤 위차 문제가 있었으나 송간에게 시호가 내려졌기에 단독사우로 재동사라 칭했다. 그 이후 육충사(1801년)·세충사(1833년)·충강사(1956년)·재동서원(1965년)내에 창효사(1980년)의 추가건립까지 배향인물 변경과 명칭변경이 있었다. 류대석은 1900년(광무 4) 8월 18일에 태어났으며 몰년은 알 수 없다. 초명(初名)은 기석(基錫)이다. 자(字)는 계언(桂彥)이고, 호(號)는 송은(松隱)이다. 부인은 박영진(朴璟鎭)의 딸인 진원박씨(珍原朴氏)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贈曺秀才在洙 世之人。莫不知種樹。而先培其根。築室。而先鞏其基。至於敎人讀書。不知收心養性之爲學道根基。先以史記。薰熱其心志。是何異欲樹之長而拔其根。欲室之鞏而傾其基者乎。是以紫陽朱先生。爲小學書。使習之幼穉。此做人最初規矩繩墨也。曰立敎曰明倫曰敬身。列爲是書三綱領。夫聖人。性者。不待敎而能之。自賢哲以下。雖有良知良能。但氣拘物蔽。喪其天賦者。非一其端。苟不自能言。敎之以正。鮮不失其性。是以聖賢。眷眷於蒙養之際。然其所以敎者。不外乎明倫敬身。非明倫。無以順天理而修人道也。欲修人道。非敬其身而何。所謂敬身者。不陷於不義之謂也。是以先明心術。而養之以善。次及威儀衣服飮食。而檢束其日用常行之間。然要不出一敬字。敬是聖學之成始終。徹上下。該動靜者。以是承敎。以是敦倫。以是持身。則自幼根基。堅固凝定。及進乎大學。而明德新民。而因其所養。將點化出精采。此正下學人事上達天理之道也。所以石潭夫子。就語孟庸學中。參是編爲五書。寒暄堂金先生。至老自稱小學童子。淸陰金先生。平生以小學律身。其不以小子淺近之學視之。終身牢確。類如此爾。雖大學之年。而讀小學。然勿生躁進之心。深體諸先生開發導迪之勤。服膺收斂之篤。日夕涵存培養。而浹洽融貫之。則所得不淺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孝烈婦洪氏墓表 故金海金公相衡之配曰。洪公益謨女。豐山人。曾大父諱永吉。大父諱弼臣。妣河東鄭氏在檜女。憲廟己酉。八月二日。夫人。生于綾城之大谷里。德性貞靜。儀容柔婉。未及笄。而已嫺織紝之功。籩豆之奠。十八歸金氏門。事舅姑孝。奉君子敬。甚得婦道。宗族相賀。隣保推詡。夫嘗遘疾。殫誠竭力。救療以萬方。方藥俱不告效。竟至晝哭。哀號擗踊。幾至滅性。觀者莫不爲之泣下。舅姑老。二兒幼。無人奉率。遂抑哀遵禮。以終三年。而尤忠養舅姑。撫育二孤。以樹家戶爲務。姑老病且滿三禩。四體痿痺。飯不能擧匙。每食。夫人必奉而進之。至於除屎溺。躬自任之。而未嘗委之於人。及其喪也。易戚備至。鄕里嘆曰。曩於夫。知其烈。今於姑。又見其孝。庚子二月七日。以疾卒。葬於富春坊池洞。後佛堂洞枕庚之原。子男二。得炫龍炫。孫男六。在柄在重在原。得炫出。在述在吉在奉。龍炫出。曾以下不錄。嗚乎見稱於孝烈者。自古何限。而以一人之身。而兼孝烈。則余見罕矣。夫人。生長遐陬。曾未讀經史。而其守志篤行。無愧於古之賢媛。于可驗人性之本善也爾。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松軒居士李公行狀 夫士之所以爲士者。豈徒讀古人之書而已哉。始焉收心養性。繼以物格知至。卒以措之踐履。乃可謂眞讀書。而無愧於古人。至如松軒居士近之。公諱萬龍。字士見。松軒其號。李氏之系出公山者。新羅文武公天一爲肇祖。簪組繼承。有諱明德。以牧隱高弟。事我太祖爲名臣。於公爲十世祖。高祖諱慶雲。贈同知敦寧府事。曾祖諱靈肅。贈通政大夫。吏曹參議。祖諱鞾。成均生員。號衋悔齋。行蹟。詳載勉菴先生所撰碣銘。考諱東榮。隱德。號曰敏齋。前妣茂松尹氏佐郞就湯女。妣坡平尹氏興之女。公以肅廟己未生。乙丑遭父喪。時年甫七。其哭泣之哀。擗踊之戚。動至隣里揮涕。奉偏慈。殫誠竭力。夙夜不懈。若老成人。母夫人甚安之。及就學。才氣聰敏。見輒成誦。性又沈潛。以存養爲日用本領。可謂認得聖門要法。入則愛親敬兄。出則弟長遜友。不言言之。皆古人嘉論美行。不交交之。皆域內賢人君子。雖交相密邇者。少不以怠忽戱慢。加之其篤敬如此。而樂善崇賢之心。尊華攘夷之義。未嘗一日少弛。曾以沙溪先生。尤菴同春兩先生事。皆參上疏。又以色掌。竝力周旋。不以始終緊慢其志。老又不憚遠役。參謁萬東廟。其執心堅確磊落。類皆如是。終于英廟癸亥。以禮月葬于綾南道莊坊。東豆山斗里峰向坤之原。配寶城吳氏。同岡而封。擧二男。長鳳齊次鵬齊。鳳齊一男思訥。鵬齊四男一女。之訥處訥應訥行訥。女適林昌翰。內外孫蕃衍不盡錄。嗚呼。蹟公始卒。幼而失怙。極其哀痛。奉養天只。盡其誠孝。蓋其天性然也。而又讀聖賢書。而開發之。施之平日事爲之間者。率多中規。至若扶陽脈崇賢哲之義。蔚然爲頹世表準。而人莫敢撓奪。非君子立志卓然而能然乎。孟子所謂。孶孶爲善。舜之徒者。非如公之云乎哉。公六代孫秉彦。使其四從秉五。持公遺事。謁余。余雖病朽辭拙。特感其事行之可傳而不可泯者。不敢牢辭。而爲之畧加檃括如右云。謹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贈宗人子惺 天之主宰曰上帝。萬物之主宰曰神。人身之主宰曰心。敬又是執心之主宰也。夫一陰一陽。造化發育。而萬物各遂其性者。乃帝之所爲。而其理則元亨利貞。其用則神也。人稟此理而生。寂然感通。周流貫澈。而萬事各得其宜者。是心之所管。而其理則仁義禮智。其用則情也。此所謂天命之謂性。率性之謂道者也。然人莫不有是性。率多徇人欲滅天理。至於獸降禽漬而忘返。何也。大抵心之爲物。雖曰統貫性情。而以仁義禮智爲體。以惻隱羞惡恭敬是非爲用。然以其氣質之拘。物欲之誘。而不能無蹉跌。惟敬以操存省察。乃能於本源端緖。動靜語黙之間。自有總會檢攝。而無復流濫放逸之患也。然敬非此心之外。復有一箇物。而相持相攝。是乃存心之道理也。主宰也賢者。想是已見。而其在切偲之道。忘其重複至此。恐或未然當有以正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贈鄭元實 朱夫子曰。人之所以爲學。心與理而已矣。蓋言心具萬理。而常爲一身之主宰。理在萬物而常須此心之區處。此其所以心與理爲一者也。故敬而存心。存心而主靜以爲窮理之本。敬而窮理。窮理而致知。以爲盡心之功。則日用之間。自然有總會處。而本領立矣。以之而涵淹乎本原之養。擴充乎端倪之動。使此氣像意趣。常存而無少虧欠闕却。則學問思辨之際。可以見古人主意命脈。而自家工夫。庶乎不差爽矣。然所謂心與理爲一者。指本心而言也。若泛言一心字。則亦不無形氣之私。聞見之蔽。此聖賢所以明辨致愼於人心道心。天理人欲之間。而立言垂訓。眷眷不已者也。學者於此。反復玩究。眞積力久。則衆物之表裏精粗。無不到。而吾心之虛靈知覺。亦得以復其本體之全。此合內外之道也。願元實。勉之勉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1년 한림원(韓林院) 배지(牌旨) 고문서-명문문기류-배지 경제-매매/교역-배지 大韓國五年五月五日後二日 韓林院 大韓國五年五月五日後二日 韓林院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1년 5월에 한림원(韓林院)에서 내린 배지(牌旨). 1901년(광무 5) 5월 5일후 2일에 한림원(韓林院)에서 내린 배지(牌旨)이다. 문서 첫머리에 牌子, 끝에 韓林院이라고 기재되어 있어 문서의 종류와 작성주체를 파악할 수 있다. 문서의 내용에 따르면 즉일 동교(東郊)로 순찰하고 돌아오던 중에 갑자기 시끄럽게 소리치는 권마성(勸馬聲) 소리를 듣고 조사해보니 참봉가(參奉家)에서 길신(吉辰)을 행하는 것이었다고 하며, 법규상 장가가는 것은 본원(本院)의 인가(認可)를 받은 뒤에 혼식(婚式)을 순행해야 하는데 이를 어기니 매우 놀라운 일이라고 하면서 행사를 치르는 집의 큰아들 정보(正保)를 매우 다급히(星火) 잡아오되 먼저 맛있는 안주(佳肴), 맛좋은 술(美酒)과 음식을 함께 가지고 오라며 지시하였다. 이 문서는 국한문을 혼용하여 쓰고 있고, 문서 말미에 연도 표기를 대한국(大韓國) 5년으로 기록되어 있어 인상적이다. 배지(牌旨)는 牌旨, 牌子, 牌字 등으로 표기하고, 읽기를 배지 또는 배자로 읽는다. 조선시대에 사용된 문서의 일종으로서 전답 등을 매매할 때 위임장 역할을 했던 패지, 궁방에서 발급한 도서패자, 관이나 서원 등에서 어떤 사안에 대한 처리를 지시하면서 발급한 패자 등이 있었다. 이상의 패자들은 문서의 작성 양식이 대동소이하고, 위계상 고위에 있는 사람이나 기관이 하위에 있는 사람에게 어떤 일에 대한 이행을 지시하다는 점에서 동일한 특징을 갖고 있다.○ 원문텍스트텍스트 牌子 卽日與田畯으로 巡察東郊歸路에 忽聞喧喿勸馬聲하고 卽招本 里洞下丁하야 嚴調事實則下官 參奉家로붓터 涓此吉辰하야 秋 處子를 出嫁于長水郡穀城山下野 隱宅ᄒᆞ하니 事雖蒙矣나 現今法規 上例承本院之認可然後에 順行婚 式이어告渠生何等公麽로 敢犯嚴 法而恣行無忌乎아 甚可痛駭라 同長 子正保를 星火捉來하되 爲先佳肴 美酒와玉食玲羞를 眼同하야 無滯 持參事 大韓國五年五月五日後二日 翰林院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3년 류경준(柳敬浚)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大韓光武七年癸卯十二月十九日 申俊休 柳敬浚 大韓光武七年癸卯十二月十九日 申俊休 柳敬浚 申俊休[喪不着], 金錫奎[着名]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3년에 申俊休가 柳敬浚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해준 토지매매문서. 1903년(광무7) 12월 19일에 申俊休가 柳敬浚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해준 토지매매문서이다. 문서에 따르면 답주인 신준휴는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논을 여러 해 경작해 왔는데 금년에 公私債가 대단히 많아 부득이하게 팔게 되었다 한다. 매매한 논은 道陽面 堇洞坪에 있는 畵字丁으로 위쪽에 申泰元의 논과 아랫쪽 金達浩 논 사이에 위치하며, 1米 每1夜味 昨種 2斗落 8負를 錢文133兩 가격을 받고 류경준에게 팔면서 이 문서를 작성하였다. 舊文記는 都文書에 실려 있어 넘겨주지 못하고 신문기 1장만 작성해 주었다. 이때 증인과 필집자로 金錫奎가 문서 작성에 참여하였다. 거래 당시 畓主 신준휴는 상중으로 서명을 하지 않고 喪不着이라고 기재하였다. 일반적으로 부모나 승중 조부모의 喪中인 사람은 '喪不着'이라고 표기하고 着名을 하지 않았다. 柳敬浚은 자가 乃欽, 본관이 고흥이며, 고려 때 정승을 지낸 류청신(1257~1329)의 후손이다. 1855에 태어나 1935년에 사망하였다. 배우자는 礪山宋氏이다. 明文이란 어떤 권리를 증명해 주는 문서로 흔히 토지와 노비, 가옥 등을 매매하는 문서명으로 쓰인다. 토지매매명문은 파는 사람이 작성하여 사는 사람에게 주는 것이다. 여기에는 대체로 매매 연월일과 買受者, 賣渡事由, 賣渡物의 소재지, 量案上의 字 ․ 番, 結負[卜]束과 斗落, 배미[夜味] 등 매매 대상물의 정보와 가격, 그리고 賣渡人[財主], 筆執, 證人 등이 기록된다. 그러나 시대와 작성하는 사람에 따라 이들 가운데 일부가 생략되기도 하였다.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