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心說 華西先生以爲。宋子所論。心有以氣言者。有以理言者。此二句。實是論心。八字打開。夫心一也。而兩邊分言之。何也。心之爲物。合下於形氣。神理無所不該。動靜體用。無所不管。而常爲一身之主。以提萬事之綱者也。言其本體。則虛靈不昧而已。言其所乘。則動靜之機而已。虛靈故。能具理應事。動靜故。能寂然感通。具理而寂然者。性也體也。應事而感通者。情也用也。知覺云者。是心之神明。所以竗衆理宰萬物者也。而神是理之發用。而乘氣出入者也。故以理言。心亦得。以氣言。心亦得。然認心爲理。而不察乎氣欲之拘蔽。則其發亦不合理。而反害其理。指心爲氣。而不問乎理義之主宰。則所作。徒爲氣役。而反暴其氣。然則心專以理言。專以氣言。皆不可也。彼釋氏之師心。陽明之心理之說。俱以不察其氣。而卒以陷溺於偏見之歸矣。蓋心。以理之主宰而言。所謂天君泰然。百體從令是也。理。以心之條理而言。所謂仁義禮智。各有界限是也。在天地則元亨利貞。生長收藏。性情也。以元亨利貞而能生長收藏者心也。在人則仁義禮智愛惡讓知。性情也。以仁義禮智而能愛惡讓知者心也。體雖具於方寸之間。而與天地同其廣大。故於凡天下之理。莫不涵畜。用雖發於方寸之間。而與天地同其流行。故於凡天下之物。莫不宰制。此心之所以得天地之理。而其妙無窮極焉者也。然而發或不中節。何也。蓋以其有氣故也。氣不能無淸濁粹駁之分。而淸粹者。不隔乎理而助其發揮。故無往而不善。濁駁者。壅閼乎理。而使不直遂。故有時而不善。是以千古聖賢。所以立言垂敎。無非尊德性道問學。而變化氣質。克己復禮而已。大舜所謂人心道心。孔子所謂操存舍亡。孟子所謂小體大體。朱子所謂天理人欲之分。正以此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尊卑說 凡天下之道。尊卑定然後。親親賢賢貴貴長長。粲然有節。而仁義行焉。禮樂興焉。其故何也。蓋理尊而氣卑。所以有乘載之分。天尊而地卑。所以有法象之道。陽尊而陰卑。所以有剛柔之斷。中華尊而夷狄卑。所以有甸荒之制。聖學尊而異端卑。所以有正邪之辨。聖人尊而衆人卑。所以有敎學之法。以言乎倫常則父尊而子卑。孝慈所由生焉。君尊而臣卑。仁敬所由行焉。兄尊而弟卑。友恭所由敦焉。夫尊而婦卑。倡隨所由別焉。至若朋友。直諒尊而佞僻卑。損益所由辦焉。是皆天地之常經。人事之懿則。固不可以一毫差忽。一息放過者也。然後上不凌下而尊安尊之名位。下不援上而卑守卑之分數。一日而不講此道。則人不足以爲人。天下國家。不足以爲天下國家矣。故人不可以不修身。其要。在夫尊德性而卑形氣而已。凡所云爲。皆從義理上去。則外誘之物。豈得以奪吾固有之天理也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烈婦鄭氏旌閭記 宇宙之間。一理而已。天得之而爲天。地得之而爲地。人得之而爲人。是所謂三才。人有是理。張之爲三綱。紀之爲五常。而萬善皆從此出。凡此忠孝烈。乃其目之大者也。一有至行。則自國家有褒美之典。亦其理之常也。一日金君海炫。袖示其曾祖妣烈婦鄭氏行錄一通。而求旌閭記。謹按烈婦。卽丙子倡義。鄭公諱思悌。七世孫也。生而質美德備。自幼愛父母和兄弟。凡百閨範。不煩姆敎而能。及笄。歸于金公命兀。事舅姑極其孝順。待君子相敬如賓。甚得婦道。室家雍睦。隣里欽嘆。但君子早嬰奇疾。積年沈痼。百藥靡效。乃稽顙北辰。求以身代。而至於不可救則潛入寢室。卽以刀割其左股一塊肉以進之。僅延七日。而以乙未八月二十日終。奈命何。鄭氏哀痛罔極。卽欲白裁。親戚長老。曉慰甚切而止之。後年甲子。當其祭日。潔其飯羹。豐其庶羞。以致如在。是夜從容而逝。嗚呼。歷選今古烈行。未有若是之純且摯也。高宗二十三年。丙戌九月日。依該曹啓辭。旌閭如法。於是鄭氏之烈。聞於遐邇。人同秉彛。孰不好懿而樂道之哉。余不敢以衰耗病廢辭。遂記之如右云。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克己說。贈宗人子惺。 賢哉。子惺之立志也。方讀聖賢書。無不周徧。而尤用功於克己。因曰克治之術或別有切要者乎曰今君日日所誦。無非存天理遏人欲之事。尙何問聾盲爲哉。己是自家形氣之私。克是自家工夫之力。豈假於人而克之耶。只在自家用力緩急緊慢之如何耳。曰程子云。難勝莫如己私。學者克之。非大勇乎。朱子曰中原之戎虜易逐。而一己之私意難除。竊嘗讀而病之。常患其不能克也。曰朱子又云。天理人欲之分。只爭些子。故周先生。只管說幾字。又辨之不可不早。故橫渠每說豫字。又曰克己。亦別無巧法。譬如孤軍猝遇强敵。只得盡力。舍死向前。將此數說。時時體驗。察其機而豫辨之。又用力極猛。不克不已。則心便超然於氣質物欲之上。而可以得本體之全矣。然非愼思明辨。而致之百倍者。其孰能之。宜勉之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高伯虞字說 高君光吉。自幼時嘗兩見。及突弁而見訪。其天姿純美。儀度夙成。可知其必有立而將遠到。問表德尙未定。余採中孚爻辭虞吉。而字之曰。伯虞。蓋虞吉之義。虞度其所信。而從然後吉也。夫人之生也。同受天地之理。以爲健順仁義禮智之性。會天地之氣。以爲魂魄五臟百體之身而參天地。然而聖凡之判。智愚之分。不啻若天淵之懸隔朔南之背馳者。其故何也。係乎天理人欲之間。不能虞度而已。一有稟氣之淸。而性之者。上聖也。其次。反之者也。至若愚不肖。則氣拘欲蔽。而不能自新。然其天命之性。則與聖智無間。理本一原故也。苟能窮理存養。踐履擴充。變化其氣質。克去其己私。則爲賢人君子。亦吾分內事。古人所謂希顔亦顔是也。若不能從事於此。而以氣質有蔽之心。接乎事物無窮之變。則其目之欲色。耳之欲聲。口之欲味。鼻之欲臭。四肢之欲安佚者。無非害吾德性。而駸駸然日就乎小人之域。可不愼哉。惟伯虞。虞度乎此兩者之間。於日用云爲。動靜語嘿。尋箇是處。篤實做去。則自然合乎天理。吉無不利。勉之勉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勉菴先生文 嗚乎先生。海東夫子。道學宗匠。國家蓍龜。致君澤民。願效唐虞。進對封章。極陳王道。見忤朝著。瀛黑荐圍。憂國如家。愛君如父。鞠躬盡瘁。終始不懈。世級愈降。國步多艱。賊臣操弄。夷狄蹂躙。忠憤烈烈。罔知晝夜。百方周章。誓心存楚。龍湫草檄。武城會儒。謂斬五賊。掃蕩日奴。存我宗社。復我禮義。自任職分。不知有身。運迫數局。賊勢猖獗。惡島易簀。言之臆塞。義膽忠腔。盪沸成祟。魄歸故國。魂訴上帝。尊攘大義。死生何異。擧國涕洟。外夷怵劫嗚乎先生。前後履歷。天理之正。人倫之極。大路坦蕩。身爲標的。施之國家。一以惻怛。四方取則。生徒口趨道之精微。言無不到。至若小子。心愚質鈍。尤加矜悶。誨誘諄諄工夫課程。勉毋間斷。每講心性。輒垂明辨。恩意隆洽。天覆地持。今焉已矣。小子安歸。島褫貽詩。莫是訣語。有時循省。心肝俱摧。日月跳丸。窀穸有期。臨穴一慟。跛躄莫遂。此豈情理。病實爲魔。仰天長號。罔知攸措。嗚呼痛哉。尙饗。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勉菴先生文 嗚呼痛哉。陰陽遷嬗。鑽燧改移。顧小子之深哀至慟。愈久而愈不衰。是孰使之然。以先生之道學也。義理也。嗚呼先生之德之仁。與天地同其廣大。與日月竝其輝光。豈天偶爾而降先生也。將使其致君澤民。使一世淳尨熙皞。如唐虞三代之盛。而不幸値運否道喪。羣壬用事。炎徼荐棘。夷狄盜國。惡島見俘。竟貽疹瘁之痛。此何理此何理。天地有冥晦。日月有薄蝕而致然耶。然而天地日月。雖有冥晦薄蝕。而終無損於其廣大輝光。嗚呼。先生去而不返。此何理此何理。當此彛倫斁人獸混。而先生之生也。奚特爲一東方而止也。實爲天下萬世。而當一治之運也。前後疏箚若進對。及多小書牘與雅言。非只明此道義於當世。使天下後世。必由是而格致。則天理之正。人倫之極。不翅較然矣。然而天愈窮之阨之。使有惡島之行。而使天下萬國。見而知有先生之大義理者。豈博文谷川賊之敢肆然而縶幽之哉。亦天爾然。則先生之阨窮。如天地日月之冥晦薄蝕。而終伸其大義於天下萬世者。亦天地日月之終專其廣大輝光也耶。嗚呼痛哉。文雖在玆。儀形永。天地茫茫。小子安歸。失聲號哭。淚落如泉。嗚呼痛哉。尙饗。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牛峰文公墓表 故牛峰文公。掩竁十六年。而其族子達煥。以公之孫載益狀。志其墓石之陰曰。公諱興休。字舜華。牛峰因所居自號也。考諱永祐。祖諱義鎭。號釣翁。曾祖諱福岐。母夫人。金海金氏某女。公以純廟辛卯寅降。以今上乙未十二月觀化。越明年。葬于宅之西北數百步。負乾之原。曰五虎峰者。公爲人。沈潛凝定。虔守帝畀。篤修人倫。秉心寬弘。處事綜詳。家故剝落。賣傭供旨。志體俱養。執喪哀毁踰節。奉祭必盡誠敬。御家必極雍睦有二弟。曰喆休曰廷休。廷休早亡。有二穉女。撫育無間已出。悲其早失怙恃。尤加矜恤。擇婿具奩而嫁之。有再從子早孤者。收卹成娶。令立家戶。二弟數破貲産。立其家計。使自安之者。非止一再。有孤而雇於家者。亦得婚娶設産。村之塾。無有爜灶。身輒代勞數年。蓋勤於敎子。而少無艱阻之意。晩尤力稼以自給。澹然若無求於世。而其所行身及物之。謹厚質慤。類如是。夫人河東鄭氏某女。勤謹貞靜。備有婦德公之幹檢踐履。亦多內助。擧一男一女。男武煥。女適朴海鳳。武煥二男二女。男載益載萬。女閔泳仁洪某。海鳳四男。載東載植。餘幼。嗚乎。公之孝友。爲宗族稱。鄕黨稱。齊口一辭。而公之意。則常若不及。盡已及人。一出悃愊。玆非夫子所謂。十室之邑。必有忠信者乎。我文氏世德。備載先世墓刻。此不復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族弟月溪墓表 竹樹東一舍强。月山下杜陵洞。楮田上坐巽之原。有封若堂者曰。族弟月溪之藏也。君諱錫洛。字慶雲。號月溪。永平人也。文氏爲東方著族。以新羅武成公諱多省爲鼻祖。自後名碩繼承。簪組蟬爀。至麗季。有三憂堂先生諱益漸諡忠宣。道學忠孝。冠一世。至有感動胡夷。至孫諱和。始仕本朝。都丞旨。贈左贊成。諡景惠。曾孫參議尙行。贈參知議政府事。諡敬肅。再傳至勉修齋先生自修。官縣監。士林俎豆之。後承若干。有蔭職及文武科。俱不揚。曾祖諱珏相。祖諱思喆。同樞。考諱弘基。贈禮曹佐郞。妣光山李氏正夏女。夢見慶雲生君。君生而端重秀爽。幼失怙。鞠於偏慈。八歲入學。甚聰敏善記誦。從學于其從兄月菴公。公甚奇愛。期其遠到。自童穉有親癠。侍側不離。抑搔扶擧之節。擬若老成人。若其前後三椏。川鱉山鷄之感應。亦豈偶爾哉。隣里聞之。咸異之。將欲聞官。君輒止之曰。親癠調饍魚鳥等物。是例事也。假饒得之不偶。何必求人知爲哉。性至孝。養而極其志體。喪而盡其易戚。御家有法。奉祭備禮。至若交隣敦族。無不協其常理。嘗作歌謠十數章。而自警。皆出於性情之正。足可見天理之藹然於人事間者也。君以哲宗甲寅二月十五日生。終于當宁乙巳六月一日。得壽五十二。齊長水黃氏縣監基源女。擧二男。長昶浩次明浩。昶浩二男。濟元濟萬。明浩一男。濟韓。惜乎。以君之才之行。尤敦篤於文學。克盡孝之始終。而至於立身揚名。以顯父母。則足以通于神明。而竟泯沒。爲匹夫之孝而止。嗚呼惜哉。其子明浩。泣涕抱狀。至誠闡揚。詩所謂孝子不匱。永錫爾類者。尤可驗矣。撮其大要。銘石詔後。奚止警樵牧而已哉。庶幾勵回淳風。而有補於世云。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계미년 정두옥(丁斗玉) 등 상서(上書) 초(抄)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癸未九月日 丁斗玉 等 17名 大宗伯 癸未九月日 丁斗玉 大宗伯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23년 六忠祠와 관련하여 禮曹判書에게 올린 上書와 禮曹完文 및 興陽縣監에게 올린 稟目 등을 抄한 문서 1823년 9월 丁斗玉 등이 大宗伯[禮曹判書]에게 올린 上書와 禮曹完文, 같은 해 11월과 12월에 각각 六忠祠 儒生들이 전라도관찰사 및 흥양현감에게 올린 稟目 등 총 4건의 문서를 필사한 것이다. 첫 번째 문서는 1823년 9월 丁斗玉과 19명의 전라도 유생들이 禮曹判書에게 올린 상서이다. 상서의 내용에 따르면 全羅道 興陽縣에 자리한 六忠祠는 비록 아직 賜額의 은전은 입지 못하였지만 事體가 정중하고 鄕先生 社儀의 예가 예사로운데 비할 것이 아닌데 모든 절차가 오히려 갖추어지지 않은 것이 많다고 하였다. 院生과 保奴는 아직 原額이 채워지지 않았으며 매번 本邑의 軍役에 見侵당함에 이르렀다고 하면서 특히 서원 아래 사는 백성의 수가 매우 적은데 연호의 잡역에서 벗어나지 못한 이유로 서원에 俎豆의 모양을 이룰 수 없어 매번 구차하고 어려움이 있음을 깨달았다고 하였다. 이에 감히 연이어 하소연하오니 바라건대 합하께서 특별히 '영구히 侵漁하지 말라'는 뜻을 완문으로 내려주시기를 요청하고 있다. 이에 대해 예조판서는 제사에서 '院奴의 침역에 이르러 사체가 매우 부당하다. 완문의 성급과 같은 것은 본읍과 본영에 許施할 수 있는 것으로 본조에서 知委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여러 유생들이 천리길을 발을 싸매고 올라온 성의는 가히 훌륭하나 許施하는 것은 앞으로 營邑에서 하라'고 처분하였다. 두 번째 문서는 예조에서 興陽縣 六忠祠에게 발급한 完文이다. 완문의 내용은 육충사는 保奴의 원액이 보충되지 못하였고 서원 아래 거주민의 수가 매우 적으며 또 본 읍의 제반잡역에서 벗어지 못하여 제사를 치르기가 매우 어렵다고하므로 이에 완문을 성급하니 이후에 다시는 侵責하지 말고 崇奉의 도리를 다하라고 하면서 이 문서에 의거하여 영구히 따르라고 하였다. 세 번째 문서는 1823년 11월에 六忠祠 儒生들이 전라도 관찰사에게 올린 稟目이다. 품목의 내용에 따르면 本院의 院奴 侵役이 많아 예조에 하소연하여 완문의 성급은 營邑에서 처리하라는 제사를 받아 本院의 完文의 모든 절차는 모두 閤下와 관계되므로 예조에 올린 문서와 완문을 함께 첩련하여 아뢴다고 하였다. 품목에는 進士 丁斗玉을 비롯한 14명의 幼學이 참여하였다. 이에 전라도관찰사는 흥양현감에게 '院奴는 반드시 원정액수가 있으니 한편으로 원액을 따라 면역을 許令하고 만약 籍에 過濫의 獘가 있거든 이 籍을 사용할 수 없으니 거듭 相考하여 시행하라'는 처분을 내렸다. 네 번째 문서는 1823년 12월에 六忠祠 儒生들이 興陽縣監에게 올린 稟目이다. 품목의 내용에 따르면 本院의 院奴 侵役이 많아 제사를 거행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으로 예조에 하소연하여 완문을 성급받았고, 또 營門에 아뢰어 題辭를 받아 이 문서들을 帖連하여 성주께 아뢰니 善處해 주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이에 흥양현감은 公禮吏에게 '법전을 取考하여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것이 없으면 사액서원은 이미 20명이라고 하니 이것을 기준으로 15명으로 완문하는 것이 좋겠다'라고 하는 처분을 내렸다. 六忠祠는 현재 고흥군 대서면 화산리에 자리한 재동서원을 이른다. 재동서원은 여산 송씨 충강공 송간을 주벽으로 송대립, 송심, 송순례, 송희립, 송건과 김시습 등 15위를 향사하는 곳이다. 본래 고흥 운곡사에 봉안되어 있던 宋侃에게 1793년 내려지자 1796년 宣諡를 위하여 송간의 유거지인 동강면 마륜리 서재동에 사우를 짓고 재동사라 하였다. 1801년 송건, 송순례, 송희립을 추배하고 육충사라 하였다. 1833년 송상보, 송득운, 효자 송석융을 추배하고 世忠祠라 하였고, 1846년 매월당 김시습을 합설배향하고, 1848년에 세충사에서 西洞祠로 개칭하였다. 1868년에 서원 서우 철폐령에 따라 훼철되었다가 1956년 지금의 자리에 다시 지으면서 재동서원(齋洞書院)이라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류사영(柳思榮) 시권(試券) 고문서-증빙류-시권 정치/행정-과거-시권 幼學 柳思榮 柳思榮 ▣…▣ 1顆(7.0×7.0)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95년에 幼學 柳思榮이 과거에 응시하여 제출한 試券 幼學 柳思榮이 24세 때인 1795년(정조 19)에 과거시험에 응시하여 제출한 시험 답안지이다. 답안지의 첫머리에는 응시자의 인적사항을 기록하였는데, 이를 잘라내거나 말아서 채점의 공정성을 기하고자 하였다. 인적사항으로는 본인의 관직, 본관, 거주지, 그리고 四祖의 성명, 관직, 본관을 기록하였다. 이 문서에서 응시자의 인적사항이 기록된 秘封은 割去하였다. 기재된 인적사항을 보면 시험응시자는 류사영으로 나이는 24세, 본관은 高興이고, 거주지는 興陽이다. 그의 四祖로는 아버지 學生 柳坰, 조부 學生 柳希綻, 증조부 通德郞 柳星甲, 외조부 學生 丁道明(본관은 靈光)이 기재되어 있다. 시험을 마친 다음 공정성을 위하여 채점 전에 이 부분을 절취하였다가 채점이 끝나고 나면 실로 잇거나 하여 다시 붙였는데 현재는 절취한 부분을 지끈으로 다시 묶여있다. 試驗科目은 四書疑 과목으로 試題는 "問云云"으로 생략되어 있으나, 별지로 시제를 써서 붙였다. 별지에 쓰인 시제는 논어에 나오는 구절로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성품은 서로 비슷하지만 습관에 의하여 서로 멀어지게 된다. 여기서 말한 성은 기질을 겸하여 말한 것이다. 또 말하길 오직 지극히 지혜로운 자와 지극히 어리석은 자는 변화시킬 수 없다. 이 또한 기질을 가리켜 말한 것이다. 기질지성이 과연 서로 가까우면 또 지극히 지혜로운 자와 지극히 어리석은 자는 변화시킬 수 없다는 것은 무엇 때문입니까? 의견을 듣고자 합니다.[子曰性相近也習相遠也 所謂性者卽兼氣質而言也 又曰惟上知與下愚不移 此亦指氣質而言也 氣質之性果爲相近 則又有上知與下愚之不可移者何歟 願聞其說]"라고 하였다. 성적은 次上를 받았다. 채점자가 답안과 구분되게끔 붉은 먹으로 답안 중간에 크게 써놓았다. 점수는 14등급으로 上上, 上中, 上下, 中上, 中中, 中下, 下上, 下中, 下下, 次上, 次中, 次下, 更, 外 순으로 매긴다. 답안지 우측에 시권의 字號가 一餘라고 쓰여 있는데, 이는 시권의 제출 순서를 말한다. 과거 시험에서 시권을 다 거두면 제출 순서대로 묶어 千字文의 순서에 따라 字號를 매겼다. 이를 作軸이라고 하는데, 예를 들면 天軸, 地軸, 玄軸 등으로 나아간다. 天軸의 첫 번째 시권은 一天, 두 번째 시권은 二天이라고 한다. 본 문서는 餘軸의 첫 번째 시권인 것이다. 대개 비봉의 절취선에 크게 한 번 쓰고 그 아래에 좌우 각 두 번을 쓰도록 되어 있었다. 시권의 주인공 류사영은 류일영(柳日榮, 1767∼1837)의 동생이다. 고흥류씨가 문서 가운데 류사영의 과거합격증서가 남아있지 않고, 현재 남아있는 사마방목 등에서도 이름을 확인할 수 없어 합격여부는 알 수 없다. 柳思榮은 자가 述夫, 본관은 고흥이다. 1771년(영조 47)에 태어나 1796년(정조 20)에 사망하였다. 성품은 孝友하였고, 향시(鄕試)에 여러 번 선발되었다. 배우자는 영광정씨 丁應明의 딸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01년 류일영(柳日榮) 시권(試券) 고문서-증빙류-시권 정치/행정-과거-시권 幼學 柳日榮 [1801] 柳日榮 ▣…▣ 32顆(6.5×6.5)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01년에 柳日榮이 과거시험에 응시하여 작성한 試券. 1801년(순조 1)에 柳日榮이 과거시험에 응시하여 작성한 시험답안지이다. 시험과목은 사서의(四書疑)에 해당한다. 답안지의 첫머리에는 응시자의 인적사항을 기록하였는데, 이를 잘라내거나 말아서 채점의 공정성을 기하고자 하였다. 인적사항으로는 본인의 관직, 본관, 거주지, 그리고 四祖의 성명, 관직, 본관을 기록하였다. 이 문서에서 응시자의 인적사항이 기록된 秘封은 割去하였다. 기재된 인적사항을 보면 시험응시자는 류일영으로 나이는 35세, 본관은 高興이며, 거주지는 興陽이다. 그의 四祖로는 아버지 學生 柳坰, 조부 學生 柳希綻, 증조부 通德郞 柳星甲, 외조부 學生 丁道明(본관은 靈光)이 기재되어 있다. 시험을 마친 다음 공정성을 위하여 채점 전에 이 부분을 절취하였다가 채점이 끝나고 나면 실로 잇거나 하여 다시 붙였는데 현재는 절취한 부분을 실로 다시 묶여있다. 試驗科目은 四書疑 과목으로 試題는 "問云云"으로 생략되어 있다. 답안지 우측에 七盈이라고 쓰여 있는데, 이는 시권의 제출 순서를 말한다. 과거 시험에서 시권을 다 거두면 제출 순서대로 묶어 千字文의 순서에 따라 字號를 매겼다. 이를 作軸이라고 하는데, 예를 들면 天軸, 地軸, 玄軸 등으로 나아간다. 天軸의 첫 번째 시권은 一天, 두 번째 시권은 二天이라고 한다. 본 문서는 盈軸의 일곱 번째 시권인 것이다. 대개 비봉의 절취선에 크게 한 번 쓰고 그 아래에 좌우 각 두 번을 쓰도록 되어 있었다. 성적은 기재되어 있지 않고, 답안지 뒷면에는 朱墨으로 '査同'이라고 쓰여 있다. 이는 응시자가 필적을 알아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시권의 製文을 謄書하여 그 등본으로써 考閱하는 易書 제도와 관련이 있다. 대개의 경우, 답안지의 원본에는 '枝同', 원본을 등서한 경우에는 '査同'이라고 각각 기재되어 있다. 고흥류씨가 문서 가운데 류일영의 과거합격증서가 남아있지 않고, 현재 남아있는 사마방목 등에서도 이름을 확인할 수 없어 합격여부는 알 수 없다. 시권의 주인공인 류일영은 자가 달부(達夫)이고 자호는 창명(滄溟)이다. 1767에 태어나 1837년에 사망하였다. 아버지는 류경(柳坰)이고, 형제로는 형 必榮과 동생 思榮, 宗榮, 여동생이 있다. 배우자는 礪山宋氏이다. 信庵實記와 誠齋年譜를 편찬하였고, 문집으로 ?滄溟遺稿? 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從姪興瑞【載悳】 日來候節安衛。大小諸致一例泰平否。從叔依舊病劣。而率憂侵尋。苦況苦況。第聞有譜議然否。修旣未久。而遽欲修之者。以其前修者。謂之濁而將欲淸之耶。然則挽近氛埃浸淫。勢難澄淸。亦將循蹈前失。而同浴胥溺耶。然則恐忝先而又買人譏笑也。矧今時弊。比辛卯庚子則又有沒巴鼻層生者。所謂仕宦也今日出一官。明日除一官。贈其父贈其祖。無難爲之。而其年條。則以某年前某年後。就中間任意書之。當此國破主辱之日。當有無窮之恨。而乃反乘隙。濟私蔑公。至於此耶。以此爲修譜之資。而躡虛襲謬。於理當乎否乎。以至千百年。人必曰某年某某。貨其譜。此何顔色耶。大抵譜法。雖是一家之私。亦是史也。史可以直書。不可容一毫邪僞於其間。而況尊祖重宗。明昭辨穆。事體至重。豈可輕議乎。且屈指辛庚兩年。則今日太早。後日亦不晩。幸與敬於詳議。姑停甚企。旣曰派譜云。則必將淸之也。淸之則其間難處。必有多端。須熟講譜規。牢定條約。徐徐圖成恐可。而理欲公私之分。尤不可不嚴。此是一門巨事。亦關世敎也。愼之如何。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春峰族兄【章煥】文 嗚乎。今日何日。天地晦矣。日月蝕矣。世趨昏衢。人爭化獸。吾黨益孤。惴惴焉若不自保。而惟幸同門碩德。如公尙在。以料異日。桑楡相收之計。松柏後凋之策。何不少淹留。遽然長逝耶。吾輩之於今日。在一日則添一日之辱。生二日則有二日之恥。公於是時。潔身而逝。可謂蟬脫於塵埃之中。鴻擧於雲霞之上。在公可以無憾矣。症候雖云沈重。豈意今日樑摧耶。孤窮離索。踽踽凉凉。無聊之懷。將向誰而穩討。粵在丙午國難。勉菴先師。義旅之間。千里冒炎。犒軍之資。幾度捐呈。東閃西倐。赴義從容。先生嘗曰。吾友曰瑞。其志可賞。彛倫掃日。有若是勵志之士乎。其言琤琤。其憶歷歷。余自犴狴生還。日夜從逐。許心講討。賁然忘食。互相爲慰。今焉已矣。儼溫氣容。於何更覩。侃誾言辭。於何更聞。哀腸欲斷。有淚湧泉。余以盭。未能赴哭。心期百違。辜負一源之情。緘辭致誠。哀哉尙饗。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尹兄亨三文 嗚呼哀哉。維兄。其生也直。因加修飭。靜而戒懼。本領自得。動而省察。擴充是力。抱道優優。可試於世。權奸誤國。終老林下。全而歸之。克終克始。誰敢帝秦。東蹈其志。蹄迹蹂躙。九野寒威。憂憤日久。遽化蟬蛻。訃車所到。孰不揮涕。嗚乎哀哉。維兄。蚤師溪上。人莫或先。又事茝上。前後受恩。弟亦附驥。誼重同門。而兩先生。天下大賢。天人存遏。伊程伊朱。熊魚取捨。文山圃老。而遊兩門。考德質疑。惟仁是求。惟道是適。始於孝悌以及婣睦。至若友朋。尤致悃愊。考禮正俗。鄕黨爰賴。斥老呵佛邪說莫售。內外交修。炳其華藻。顧余伉拙。十駕難追。悶我孤陋。每加極救。啓以善端。警其過差。蓬以麻直。松以柏悅。交愈密勿如膠如漆。如是追逐。四十年所。豈意今者。遽成千古。嗚乎哀哉我病支離。兄數惠顧。傷時憂道。靡言不到。去歲之除。賁然叩扄經宿款唔。尤感衷情。別又手札。繾綣告戒。不遑拜答。訃聞輒至。酸噎哽愴。痛徹心膂。止服三月。曷盡情誼。山瓢寄酹。淸血如雨。嗚乎哀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洪兄文彦文 嗚乎哀哉。維兄。工邃學博。養以涵存。察以端倪。克致擴充。居家竭孝悌之道。交友盡切偲之義。處兄弟則和樂且湛。受生徒則誘掖成就。隨事卽理。靡有罅漏。顧余愚拙。蚤託恩契。道義期許。晩愈弗渝。昔在牟陽。會少別多。自入春峽。居尤密邇。謂昕夕之相對。庶琴書之同。娛遭命道之多舛。或參商而相違。我曾縷絏南冠。兄則敎授西河。當賤疾之躄。每往返而眷眷。維一峙之間。恨不得以接隣。黑死乾坤縱不得以自靖。皓首邱林。願相逐而終年。何天命之不延。病膏肓而難醫。委頓床第。殆逾半載。地非不近。心非不切。秖緣運武不得。竟未摯永訣。此豈倫理。此豈情誼。嗚乎哀哉。維兄。不由師承。得於簡策。尊慕洙泗。玩味伊洛。得於心發乎事爲之間。修之身而及於接物之際。善類見之。喜幸而心開。邪黨對之。戚磋而氣沮措之世。則可使正風俗。傳之後。則可使爲表準。不幸値獸降禽漬之日。遂以爲杜門獨善之計。天胡爲不憖遺。使吾黨而長悼怛。山瓢往酹。痛切心膂。臆塞詞短。聊寄淸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令人密陽朴氏行狀 令人密陽朴氏。茅峰枝樹后。參奉諱成鎭女。母夫人。全義李氏。夢有人贈之以鶴。因有娠。以哲宗庚申九月十日。生于永平鶴洞里第。天質甚美。言語愼重。容止端恭。動合儀節。父母每奇之。稍長執治麻縷絲繭。以供女事。餘力畧涉內則列女傳等篇。識其持守之方。年十八。歸于上黨韓公諱景煥。卽府院君顯明之后也。舅諱仁權。號蓮堂。以文學名。生徒坌集。供饋惟謹。少無倦苦色。事舅姑以孝。奉君子以敬。接娣姒以和。御婢僕以恩。姑金氏。患胸膈症。有時坐臥須人。常侍側不怠。時其飮食。按其支體。姑甚安之。及遭內外艱。哀敬備至。祭祀必盡如在。君子嘗以暑痢。幾至危濱。醫云。惟鰍魚可效。時適冬令。水澤冰沍。四求無得。會天雷雨。鰍魚數十。下在庭除。供之遂效。鄕里咸曰至誠所致。庚辛年間。君子爲羣徒所脅。去居亡何。人言羣徒。咸沒於日兵。令人以爲。君子亦在其中。驚駭顚倒。罔晝夜求屍不得。誓以下從。卽投水幾絶。爲人所援而才甦。然身腹漲浮。方在呻囈。君子則已脫身避禍。待風靜而還。其喜可知。而浮症沈劇。竟以壬子正月二十三日。終于龍沼里正寢。得年僅五十三。以禮月葬于羅州金磨面七里洞負乙之原育。二男二女。男基卨基稷。女利川徐致植。豐山洪相植。基卨。娶晉州鄭鍾式女。生五男。震鏞友鏞康鏞聖鏞華鏞。再娶河東鄭五衛將致中女。生二女。長水原崔潤慶。次幼。三娶慶州李參奉奉準女。生二女。幷幼。基稷娶金海金士範女。生四男。相鏞淳鏞世鏞采鏞。基卨承襲慈訓。一主孝敬。而思慕愈久愈篤。乃狀其行。來諗于窮山病廬曰。願有一言。而俾不朽於世。顧余膚淺文字。何敢當是役。但屬意鄭重。不容固辭。嗚乎。令人平生行致。尊德樂善。秉心塞淵。以致子孫蘩衍。福祿綿遠。而爲勸善百世者。求諸往牒。而殆未易多得。嗚乎賢哉。謹據家狀。詮述如右。以俟立言君子裁擇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勉菴先生。春山影堂。上樑文。 伏以。肖像傳摹。曾在無恙之日。堂宇建搆。寔出慕賢之誠。德儀攸存。山仰冞切。恭惟勉菴先生。當華夷淆雜之日。膺天地正氣而生。家傳楷模。克紹文昌之緖業。學究性理。早升華翁之室堂。曰欽曰恭。願吾君於堯舜。適體適用。承其統於孔朱。用隻身。扶萬古之綱常。爲一國。救當時之弊瘼。知道養德。著發爲文章。竭力致身。純篤乎忠孝。立心則斥邪衛正。明義則討逆攘夷。乃以愛君憂國之誠。早決委身處命之道。屢上疏箚。再遭窮溟圍籬。一竪義旗。竟致惡島易簀。殷師三十百年華脈。賴以彰明。東方二千萬衆蒼生。奈沒依仰。縱有七分貌。繪素之幸。久欠數仞堂。揭處之儀。旣經營之有年。庶遠邇之協議。是知秉彛好德。同出於天。聿見出力僝功。竝爲之地。何如輪奐之爲美。惟其安妥之是圖。望之儼。卽之溫。怳復承於親炙。讀其書講其道。斷無它於常平。奚但感泣吾徒。可以激勵頹俗。恭伸善頌。贊擧脩梁。兒郞偉抛梁東。昭昭朝日上天紅。金鰲山色高如許。認取先生氣像同。兒郞偉抛梁西。滿山松檜月高低。當時心事人誰識忠義堂堂自不迷。兒郞偉抛梁南。嘉木風來爽氣含。克復爲仁無點累。至今追慕溢言談。兒郞偉抛梁北。羣巒疊翠無傾側。靜中知覺地雷生。天命流行元不息。兒郞偉抛梁上。雲淡烟消天宇曠。列宿昭回照此間。遙看箕尾森相向。兒郞偉抛梁下。庭開門闢臨荒野。升高亦可自卑先。願使絃誦徧華夏。伏願上梁之後。黍稷馨香。土木鞏固。盛德嵬業。範萬邦而維新。英姿宏儀。歷千載而如在。斯絶學之復續。庶眞儒之代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星湖魯公墓表 魯君日煥。數歲往還。一日袖其王考。往覆書札。及唱酬䪨帖。又錄其平日言行。屬余表其墓。余本固陋。加之病朽。不足以闡人懿行。辭之不獲。公諱明洙。字聖叔。號星湖。魯氏籍咸豐。高麗門下侍中。咸豐府院君穆。爲肇祖。歷七世而禦侮將軍愼。當恭愍朝紅巾之亂。與安佑等建大勳。封咸豐府院君。諡武烈。其後冠冕相承。諱震斗。諱孝建。諱仁基。皆不仕。是公曾祖祖禰三世也。妣錦城鄭氏基鎬女。配道康金氏澤鉉女。先公十年而圽。三男一女。相泰相獜相弼。女適靈光丁秀鉉。長房無育。次房四男。章煥慶煥守煥銀煥。章煥出相泰后。季房三男。日煥秉煥煥秀鉉一男永機。公生于憲廟癸未五月二十二日。卒于光武甲辰五月四日。踰月而葬于治南十里。望月嶝下負子之原。得壽八十二年。而別無疾痛之日。蓋稟氣剛勁然也。性又勤儉愼重。及就學。字句之間。詳問細推。眞實用功所以文理日達。鮮有問人。及其疑晦處。未嘗不廢食潛思。不得不措。至於事親養志爲先。家素窘跲。至或麥糠是喫。而誦讀不廢。以悅親意。嘗乘昏就塾。有虎負隅。輒內訟曰。順親命從師友。事固正矣。爾焉能害我。自後心輒泰然。是乃勺年事。而後因兒孫懶於書者。以此勵飭之。十六丁外憂。易戚備至。遭內憂亦如之。當諱辰。則魚肉裁割。籩豆洗浣。躬必親檢。務令精潔。居常戒愼寡黙。非經書不覩。非法度不言。鄕裏父老。爭延之以敎子弟。尤敬以持身。莊重儼恪。不屑屑於詞章。而惟文義精確。其所開發董篤。惟才是視。或誘掖之。或激勵之。咸得其宜。每黎明卽起。竟日端坐。夜分始臥。彌老不怠。皆其塾徒之至今誦傳。而此可與橫渠正容謹節。實無間焉。嗚乎。按。公先系。無一虛帖。且其日用事爲。動皆中禮。眞頹世磊落底君子人也。彼濫冒官爵。浮美事蹟。熒惑幽明者。見此。豈不瑟縮于中。若自此激淸弊習。則豈世道之少補也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신미년 정안무(鄭安武) 고목(告目) 고문서-첩관통보류-고목 개인-생활-고목 辛未正月三十日 公禮吏 鄭安武 執綱 生員 辛未正月三十日 鄭安武 執綱 生員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미년에 公禮吏 鄭安武가 執綱 生員에게 보낸 告目. 신미년 정월 30일에 公禮吏 鄭安武가 執綱 生員에게 보낸 告目이다. 문서의 내용에 따르면 정안무가 집강에게 고목을 보낸 이유는 내일 朔望賀禮를 새벽에 객사에서 시행하므로 이를 교생(校生)을 보내 알린다는 것이다. 정안무의 관직인 공예리는 정식 관리는 아니지만 禮房衙前의 업무를 담당한 직책이다. 고목은 관아에 속한 서리 및 지방관청의 향리가 상급자에게 공적인 일을 알리거나 문안을 할 때 간략히 작성하여 올리는 문서이다.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