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宗人子惺 所示。善與惡不是兩端。倂生各自出來。本皆善而流於惡。固是。然所謂流於惡者。抑循乎理而然耶。役乎氣而然耶。此固不必多言。借曰程子之言善惡皆天理。謂之惡者本非惡。或過不及。便如此云爾。則曰善惡皆天理者。豈眞以惡謂之天理也。蓋言人生都是天理。惡是後來情動欲勝。而萌孽之謂也。曰謂之惡者。本非惡。但過不及。便如此者。以爲理自過不及。而流於惡耶。以爲有氣稟之偏駁。而其所作爲。不免有過不及而流於惡耶。所以然而不可易者理也。旣云不易。則斯乃一定。豈有時而過。有時而不及耶。又引程子所謂。惡亦不可不謂之性。朱子所謂此性爲惡所汨。如水泥沙所混。不成不喚做水等語。亦不是皆以氣質之性而云然耶。至若蘆翁所謂。天下本無惡。而所謂惡者。乃善之孽子。孽子。未嘗非己之血脈。故惡亦不可不謂之天理等語。亦是此意也。據此爲說而輒謂之直以惡謂之天理。亦無不可。而況過與不及乎云。則竊恐無事中生事耳。大抵此學。以涵養窮理力行。爲究竟法。其工夫。不過曰窮此理存此理行此理而已。若曰直以惡爲天理。則如何而可得下手處乎。又曰理有過不及。則理亦有可取舍者乎。物各有當然之則。而自不容已。亦非人之所能爲者也耶。理之精微。實非固陋者所可妄論。而素拙文詞。加之病朽。未得精慮報答。幸斤正以示如何。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宗人子惺 向覆趁早登照否。大抵天地之間。理與氣而已。人之生也。稟此理而爲性。稟此氣而爲形。此所謂無極之眞。二五之精。妙合而凝者也。當其在中而未發。則天理渾然。初無間斷。此所謂忠也敬也立大本也。及其感物而中節。則內外一致。無少虧欠。此所謂恕也義也行達道也。其發不中節而或過不及。則曰邪曰惡之所由生也。然理豈有或過或不及。或邪或惡者。但不主於理而主於形氣。則亦不無過不及之患。而奄致邪惡也。曰然則程子何以謂善惡皆天理也曰有是理而後有是氣但理無作爲。而氣雖作爲。然氣亦從是理中出來。故云然也。其下繼之。以謂之惡者本非惡。但過不及便如此。此豈非指氣稟所拘而言乎。此等處。是乃前賢推本窮源以發。而亦罕言之者也。今不究其聖賢平常親切之訓。公私理欲善惡之判。分如薰蕕冰炭。而執此强牽傅會。至謂直以惡謂之天理。亦無不可云爾。則豈非可懼之深耶。若如此說。則曰存天理遏人欲。曰天理人欲之分只爭些子。曰變化氣質曰反氣質。皆何謂耶。更究以示如何。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宗人子惺 所喩細悉。大學。是朱夫子自謂平生用力處。而況誠意章章句改修。亦在易簀時。則蓋慮其聖旨或差。而至有後學致誤也。故章句而疏釋之。旣又設或問而明辨之。可謂詳且備而大小無遺。但恨學者之看未精。讀未熟。而或致意義之未較著矣。若眞看得破。則含蓄無窮意味深長。使人終身由之而有不能盡者。今豈增解之可擬乎。雖以謝楊胡尹之程門高弟所言。或與程說不同。而有害經旨者。則朱子正之而發明之。可謂百世以俟而不惑者也。今將諸說。印證註解則其同其異之間。恐或有差誤。此非細慮也。須更加考閱。參之以經傳與章句。取同捨異。使無二致。如統之有宗。會之有元。則亦幸矣。然若非融會貫通者。亦豈可議哉。然旣了成編云。則去其增解之名。只存本藁。以資玩究。亦如何。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程子曰。心也性也天也一理也。自理而言謂之天。自稟受而言謂之性。自存諸人而言謂之心。此專以理而言心性。張子曰由太虛有天之名。由氣化有道之名。合虛與氣有性之名。合性與知覺有心之名。此兼理氣而言心性。各說似各不同。而竝列於盡心章註。何也。 兩先生之言心性。分明是一致。曰稟受曰存諸人。蓋以人受此理。而存於己之謂也。人旣成形則氣不在玆乎。然則所謂合虛與氣。所謂合性與知覺者。亦豈有不同者乎。蓋氣之所聚。理卽在焉。而理爲之主。故朱子以造理履事。智盡仁至結之。尤極明白切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孔子曰。周監于二代。郁郁乎文哉。吾從周。又引時人先進於禮樂野人之言。而曰如用之。則吾從先進。兩段語意不相符合。然前段。美周盛時文備而發。後段。欲救周末文勝而發。然從先進云者。乃取其文質得宜。非專取其質也。吾從周云者。非只美其文盛。以其爲時王之制也。如使夫子得位而制作。則必當有所損益。觀於行夏時。乘殷輅。用周冕。可知矣。 洪起祚 得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學菴記 族子載仁。告余曰。家親幼而失怙。家甚剝落。無以自資就學。於是躬耕力穡。以扶家戶。極庸祗敬。以奉祭祀。及任先阡庶事。則奔走調畫。不以風雨少沮。其遇接宗族。則一主於誠。而凡喪葬患難。不以家冗妨幹。有一毫回互。至有慶福榮賀。則欣欣若自己有之。其待人接物。則克敬克厚。處事濟務。則以直以勤。到白首如一日。族戚隣里。一辭稱之。願族叔。有一言而表章之哉。余曰嗚呼善哉。此數者。天理人事之所當然。而雖讀書窮經者。猶不能盡如此。矧不業文績學。而其日用事爲。暗與聖賢牖俗開人底。立言垂訓者。有合而不差爽蓋以其資稟自好。有能率性。而藹然而發。粲然而著者也。夫學之爲道。不過學此耳。乃取子夏所謂。雖未學吾必謂學之意。名其堂曰學菴。君名宗煥。字聞粲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雲溪堂記 余友安君道淳。以其大人雲溪居士。自敍而告之。曰七世以上。世葬雲峙之隴六世以下。世居三水之溪。以故。取玆雲溪二字。牓諸堂楣。與兒孫共瞻。以寓繼述。蓋其追遠裕後之靡不用極。而至有以名堂。常常目之。其執心也。慤實牢固。槩可見矣。然曾未之面焉。未知其平日動靜云爲之如何。宗人鎬承。嘗往來於居士者也。備言。其勤稼穡。以供祭祀。敎子孫。以勉詩禮。理家有法。交隣有道。能勤能儉。不侈不陋。事事務實。不以衰老有間。余乃興嘆曰。此眞叔世之隱君子也歟。夫士有學問然後。其德行有可觀。有德行然後。其功業有可論。此士君子立身行道。次第始卒之常。而不可易者也。然人之所稟不同。而其所處亦異。故窮而在野。則服田力穡。以爲卒歲之計。念祖守業。以成一家之法。此雲溪居士。所以名堂之意也。而又有以深得杜靖法。非遯世無悶者。其孰能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春溪金公墓表 春溪金公。吾先君子執友也。公數往來。余嘗侍立。竊聽其言論緖餘。皆古人邃德善行。美事偉迹。未嘗及詭異怳惚。僭忒鄙倍。竟日竟夕。井井有威儀。嗚乎。先君子已下世。金公之圽。亦忽忽十數年矣。每逢人語及公。則咸稱君子人。玆非忠信篤敬。而致然者耶。公之孫永愚。以狀屬余。以阡表之文。辭非其人。而竟不獲。謹按。公諱翼基。字敬羽。號春溪。光山人也。新羅王子興光爲上祖。高麗文正公台鉉爲中祖。入我朝。有諱文發。以隱逸除黃海觀察。高祖諱震甲。曾祖諱洽。自光山居同福。祖諱邦弼。有二子曰得元贊元。俱隱德。得元無嗣。以贊元子爲後。卽公也。妣金海金氏潭女。生妣昌寧曺氏相周女。以純廟己卯十二月十九日生公。公自幼安重寬敏。未齓而孤。奉偏慈。僑綾城。綾爲母鄕故也。親老身子。躬執樵。稍立産業基地。而官不後正。貢廚不空甘旨。天只以爲安。嘗曰學問。是餘力當務。卽以夜隙冬閒。畧涉經史。取古人嘉言善行。常體驗施爲。尤勤制。喪致哀戚而袒括衰絰。亦不踰法。祭致誠敬而籩豆飯羹。各令務潔。將事之夕。斂衿端坐。到老未嘗少懈。接人則各隨素位喩之。與人子弟言孝悌。與學者言窮理。與農者言竭力。至於少者賤者。莫不隨人諄諄誘掖。及其將終。戒家人曰。交隣之道。以禮而已。又以孫兒託隣友曰。朝夕敎導。俾之寡過云。丙申八月三日。考終于第。享年七十七。葬于宅東數百步許。菊水峰甲原。配昌寧曺氏啓錫女。生卒俱後公四年二年。有一男曰伯鉉。伯鉉有一男三女。男永愚。女具敎春。盧昌植。朴鍾秀。永愚男哲洙。嗚乎。公之德之行。孝悌敬謹而已。是人所同得者。但世衰俗末。鮮能興行。然世之狀人行者。不問其行否。輒謂之通行。當然底道理。例爲稱道揄揚之資。何其誣也。至如公亹亹焉。愼黙思量。敦篤踐履。非善不由。非法不言。眞可謂善人君子也夫。玆將湘東筆。記之如右云。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淵堂記 竹樹南十里强。山川秀明。林木窈窕。碩人薖軸有所也。金君得炫甫。隱居行誼於斯。扁其堂曰淵。奚取於淵也。方今大地淪沈。堂下皆不測之淵。而非游之舟之之所能渡。於此自有道焉。夫子所謂言忠信行篤敬是也。躁妄怠惰。非忠信篤敬也。詭譎放僻。非忠信篤敬也。詩云戰戰兢兢。如臨深淵。將言淵在言前。將行淵在行先。則言不期忠信而自忠信。行不期篤敬而自篤敬。雖瞿塘之險。亦可行矣。時從閒暇。觀於魚躍。識此理之無所不在。無時不然。而隨事觀理。隨居制宜。則天下無不可之事。不可之地矣。此其所以取之者也。噫。旣恐墜而謹於持己。又玩理而審於應事。君之於淵。實多所賴。西來風潮雖急。不能波瀾於君之戰兢之淵。而適足以增益其所不能而已。君其勉乎玆哉。君之孫正鎬。從其族丈鍾烈來。請余。記之如右云。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爲學說。示同志。 程子曰學者。莫若先理會。敬則自知此矣。蓋以其天下之理。不先知之。則未有能勉以行之者也。且窮理之道。不在乎敬。則亦未有能致其知者也。是以聖人立言垂敎。莫不先言其窮理而詔之。此所以文言之先學聚問辨而後。敬直義方。大學之先格物致知而後。誠意正心。中庸之先明善擇善而後。固執誠身。孟子之先盡心知性而後。存心養性者也。然非敬。無以養本源而自固。亦無以察端倪而擴充。故程子於此。每以敬言之。夫知覺者。心之靈固如此。然若不先究吾之所得於天之理。則無以成涵養一段工夫。此晦翁詩中。此身有物先須格是也。故必先究極乎吾心所具天命之性。而全之然後。當其未發而品節已具。隨所發用而本體卓然。無少間斷。而日用之際。本領立矣。蓋此身之主宰統領者曰心。此心之維持主宰者。曰敬。敬是該貫動靜而徹上徹下者也。是以敬以致知。敬以存養。敬以省察。知之眞。學之篤。守之固。行之力。則條貫可尋。而工夫有序矣。然則讀聖賢之書者。不究其先後本末。遽欲求其學問成就。則亦妄矣。向吾講論思索。不於此而用力。徒然强探拘牽。欲見其頭面而不可得者。如放舟大洋。渺無津路可尋。數年來。杜門病伏。心思未嘗不往來於聖經賢傳之間。畧書所見。以爲自警之資。兼呈諸君。以知向學之方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三才說 或問大傳曰。立天之道曰陰與陽。立地之道曰柔與剛。立人之道曰仁與義。夫人以藐然之身。處天地間。而參爲三才。何也。曰人之生也。得天地生物之心而爲心。心之所具。乃是仁義禮智信五者。所謂性也。五者之中。仁義禮智。各有界限。蓋仁主溫愛。義主斷制。禮主恭敬。智主是非。而仁之一字。未嘗不貫通乎四者之中。仁固是仁之本體也。義則仁之斷制也。禮則仁之恭敬也。智則仁之分別也。若夫信。則是箇眞實無妄底道理。是以聖。賢將說五常而只擧四常者。以其信在其中。如五行之土。居中宮而爲四行之地盤也。且將說四常。而特擧仁義者。亦以其仁屬陽剛。義屬陰柔。而如天地之以陰陽剛柔。各立其道者也。然所謂陰陽者。是陽中之陰陽。而以氣言之也。所謂剛柔者。是陰中之陰陽。而以質言之也。故天地之道。非陽剛。無以發育萬物。非陰柔。無以收斂萬物。此元亨利貞之理然也。木火金水之行亦然也。春夏秋冬之序亦然也。論其本原則太極生陰陽。陰陽生五行。而陰陽旣各分而爲二。故陽之初。爲木爲春爲仁。其盛爲火爲夏爲禮。陰之初。爲金爲秋爲義。其極爲水爲冬爲智。推之而及人道。則仁之惻隱。方自中出。而禮之恭敬。已盡發於外。則正如春生而夏長。義之羞惡。方自外入。而智之是非。已全伏於中。則正如秋斂而冬藏而春之生氣。未嘗不貫通乎四時之中也。此天地人一理。內外本末。流通貫徹。無少間隔。則謂之一物。未爲不可。然天以陰陽成象而立其道。地以剛柔成質而立其道。人以仁義成德而立其道。隨事著見。因其象類。分爲三才。何足疑貳於其間也哉。然是乃上聖之資。全無物欲之累。而生知安行者。可以能之。其次學知困知。而利行勉行者。及其成功則一也。若其氣稟昏濁。又有物欲之蔽固。而不能克去。則爲愚爲不肖。而天命本然之性。固未嘗差殊也。然則其將汨溺於氣之拘。物之誘。安於暴棄而已耶。抑將去欲變質復理。如古昔聖賢至訓。而探討服行耶。上自洙泗。下至洛閩。以及我東諸先生之書。無不是做人底樣子。以其昏駁之質。蔑劣之學。或作或撤。而可望其克復性初耶。然則學之序。當如何。必以尊德性爲主。而須於道問學。亦不可不盡其力。蓋曰尊德性。所以存心而極乎道體之大也。道問學。所以致知而盡乎道體之細也。此又朱子。推明子思之義。而尤眷眷於後學者也。嗟。吾晩學。毋以氣稟之澆漓。心量之偏滯。才藝之魯鈍。爲自諉自畫。蚤夜敬畏。一遵聖賢親切之訓。而痛切加工。以求自己分上寡過之道。則吾天理之本然。有終不泯。而旣渾具於貞靜涵養之中。藹然於敷施發用之際。則旣生天地間。而知其所以爲天地之理。有是人形。而知其所以爲人之理。而聖人作易畫卦。三才之意。推可知矣。但恨人之不能盡心盡性。而立其道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淵齋宋先生文 嗚呼。世之隆衰。國之興亡。係乎聖賢之道。行不行而已矣。若使朝著。早從先生之言。而行聖賢之道。則治隆於上。俗美於下。百姓安所。蠻夷畏服。而唐虞之治可挽矣。文武之政可復矣。不此之由。而內有賊臣之措弄。外有夷狄之侵凌。竟致壬午之變。乙未之禍。而乙巳之敗亡。又立至矣。嗚呼痛哉。惟我先生。皓首邱林。所樂堯舜之道。所講孔孟之學而已。不忍坐視國亡。一欲廷請。爲廓淸計。而反被凶賊誣。載惡車。遽爾成仁取義。洪樑壞矣。泰山頹矣。邦國自此無再造之望。人民自此。無生活之氣。士林自此。無依仰之所。道學自此。無依歸之方。嗚呼痛哉。念昔一次承顔。賜款甚厚。屢度上書。垂敎愈勤。而至有續錄之下及。前後受恩。不翅若河海無涯。而顧此痿痺跛躄。未克痛哭靈筵。且數行告哀。未免倩酹。此豈天理民彝哉。伏枕泣血。罔知攸出。嗚呼痛哉。尙饗。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8년 류영식(柳永植)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戊辰陰八月十 族生 永植 戊辰陰八月十 柳永植 柳永植信 2顆(1.0, 원형)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8년 族生 柳永植이 柳敬俊에게 보내는 간찰. 1928년 음력8월 10일에 族生 柳永植이 高興郡 高興面 虎山里에 사는 柳敬俊에게 보내는 간찰이다. 편지는 국한문혼용문으로 쓰여 있으며, 편지 말미에 보낸이 이름[族生 永植] 아래에 도장이 찍혀있다. 편지는 고흥유씨 선조 爲先사업을 진행하던 중 各宗中이 高敞派와 의견 대립이 발생하여 일이 중단되어 있으니 高敞派와 잘 타협하여 일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해 주기를 요청하는 내용이다. 천지만물에는 각기 本性이 있다고 하면서 우리 柳씨는 姓을 얻은 이후로 文武를 이어받아 孝‧忠‧烈‧義하고 자손이 번성한 것은 실로 선조의 음덕이라고 하면서 하늘에서 비와 이슬을 내려 만물을 기르는 것과 聖祖의 음덕으로 後生을 기르는 恩澤은 다름이 없으니 선조의 攸德을 계승하고, 남긴 교화를 육성하는 것이 報答하는 방법이라고 하였다. 다행히 柳門은 효로써 선조를 드러내고, 정성으로 業을 일으켜 옛날의 遺風이 면면히 끊어지지 않고 지금까지 이어져 각 宗中에서 정성스러운 뜻과 효성스런 마음으로 江漢齋를 건축하여 정성스런 뜻을 나타냈다고 하였다. 高敞宗中에 이르러 사업을 빙자하여 갑자기 淸帳健費가 없다고 하면서 처음 勞役했던 것에서부터 捐金에 이르기까지 失望케 하니 이 무슨 노역자를 돌아보지 않고 갑자기 방해하는 지경이냐면서 차라리 당초 시행되지 않은 것만 못하다고 하였다. 양쪽이 끝내 서로 諒解하지 않으면 어느 지경에 이를지 알지 못하겠다면서 여하튼 각 종중이 高敞派와 함께 잘 妥協하면 다행이겠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같은 사실을 高敞派에게 알린다고 하면서 만약 한가한 날이 없다면 금년 時享에 各派를 會集하여 可否를 결정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류경준(柳敬浚)은 자가 乃欽, 본관이 고흥이다. 1855년(철종 6)에 태어나 1935년에 사망하였다. 배우자는 礪山宋氏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권1 卷之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7년 송효섭(宋孝燮)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丁卯三月初四日 弟 宋孝燮 丁卯三月初四日 [1927] 宋孝燮 柳士集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7년 3월에 弟 宋孝燮이 高興面 虎東里에 사는 柳大錫에게 보내는 간찰 1927년 3월 4일에 弟 宋孝燮이 高興面 虎東里에 사는 柳大錫에게 보내는 간찰이다. 편지봉투의 수신처가 '高興面 虎東里 柳士集壽宴所'로 되어 있다. 士集은 柳重憲의 자이며, 壽宴所라고 쓰인 것으로 보아 환갑잔치에 보낸 것으로 짐작되는데 편지를 보낸 정묘년(19270) 당시 류중헌의 나이는 55세이고, 또 편지의 내용으로 보아 류중헌이 아닌 아들 柳大錫에게 보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편지봉투는 다른 편지의 겉봉으로 후대에 잘못 섞인 것으로 짐작된다. 편지의 내용을 보면 헤어져서 서글프다고 하면서 지금 懷襄의 세상에서 세상의 지기는 몇 사람 없고, 몇 사람 없는데 또 이리저리 뿔뿔이 흩어져 다만 나 자신과 더불어 내가 서로 마음으로써 지킨다면서 마음을 논하면 이익이 없는데 형세가 그렇게 된 것이므로 탄식이 이와 같다고 하였다. 오직 믿을 것은 다만 一心의 글자뿐이라면서 一心을 보존한다면 비록 천리, 백리 멀어도 지척인데 어찌 가히 70리로써 한 달이 지나도록 멀리 떨어져 久遠하게 되었냐면서 朋友의 도리는 마음이 보존되고 보존되지 않음이 어떠한가에 있는데 마음이 존재함이 없어 어쩌겠냐며 상대방에 대한 서운한 마음을 전하였다. 이어서 꽃들이 다 지려는 이때 지난번에 春府丈께서 왕림해 주셔서 重堂의 茵匙가 편안하고 좋으시고 가족들 모두 기거가 안녕하시다는 것을 알게 되어 다행이며, 자신은 조부모님과 부모님 모시며 예전과 같이 지내고 있어 다행라는 안부를 전했다. 다만 게으름을 피우며 공부에 마음을 쓰지 않고 한갓 먹고 자며 세월을 보내고 있어 孔夫子의 戒에 어긋나니 부끄러워 모르게 절로 얼굴이 붉어지고 죄송하다고 하였다. 도리어 생각하면 오직 뜻이 독실하지 못한 것은 아니나 진실로 우리가 善導하는 것을 돌이켜보지 않아 그런 것이라고 하였다. 麗澤은 하루라도 없는 것이 불가하니 우리 형께서 반드시 決意直前에 맹렬히 발꿈치에 힘을 주고 하루라도 천리를 가고자 변화하는 정성을 들인다면 吾黨에서 뛰어난 사람이 될 것이라고 하였다. 멀리서 매우 축하드리며, 嚮은 善道하는 것이라고 하는데 형이 아니면 누구에게 바라겠느냐고 하면서 형께서 특별히 돈독함으로써 규칙을 일으켜 자신같이 게으르고 산만한 자가 거의 그 다음이 될 만하니 매우 다행이라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지난번 令季씨께서 집으로 왕림해 주셨는데 함께 동행하지 못하고 전별하니 서글프다고 하면서, 思軒丈께서 圭孫을 데리고 근래 지은 '湖嶺行矣'라는 어구는 글자가 되지 않고, 또한 정으로도 안되는 것이니 어쩌겠냐면서 편지를 마쳤다. 柳大錫은 고흥 출신으로 초명이 基錫이고, 자가 桂彦, 호가 松隱이며, 본관이 高興이다. 부인은 珍原朴氏이다. 1900년에 태어났다. 아버지는 柳重憲(1873~1952)이다. 송효섭(宋孝燮, 1907~1973)은 전남 고흥 출신으로 자가 인보(仁甫), 호가 긍재(肯齋), 본관은 여산이다. 송주헌(宋柱憲, 1872~1950)의 아들이다. 13세 때 송두양(宋斗陽)에게서 수학한 후 외이재 송경숙(畏已齋 宋敬淑), 양재 권순명(陽齋 權純命) 등에게도 배웠다. 상조계(相助契)를 만들어 재능이 있으나 가난하여 공부할 수 없는 사람들을 도와주기도 하였다. 그의 從弟인 宋在烈이 유고를 정리하여 1981년 고흥 동강면의 영효재(永孝齋)에서 ?긍재유고(肯齋遺稿)?를 간행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李伯善【海英】 示諭大槩得之。然以學問最初入頭處言之。則小學誠敬之工是也。故聖人施敎。旣養之以小學。而因其成功。入于大學。則必先之以格致之說者。天下之理。不先知之。雖欲勉焉而行之。亦不可得也。故朱子曰格物。是大學最初用功處。又曰今人不曾做小學工夫。一朝學大學。是以無下手處。大學。蓋以其用功下手初而言。非是以學問初入言也。至若天下之事物無不窮格之喩乃與程子說窮理。非謂必盡窮天下之理。又非謂止窮得一理。便到之意似不合。且專務泛觀。則亦不無游騎出太遠。而無所歸之患。更於程子所論格物。莫若察之於身。其得之尤切。及一草一木。亦皆有理不可不察。朱子所論格物致知。則莫先乎讀書講學之爲事。及夫或究之事爲之著。或察之念慮之微等說。反復玩繹如何。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李伯善 所諭。人物之有分於太極中者。只曰一本涵萬殊。不可不謂之該備。而直說到人牛馬之分。已在於沖漠無眹之中。則其話頭浮迫麤露。與周子所謂無極而太極。程子所謂人生而靜。以上不容說。朱子所謂無形象無方所之意。似不符合。故曩日修答也。只依中庸章句。天以陰陽五行化生萬物。氣以成形。理亦賦焉。及夫人物之性。皆我之性。而但以所賦形氣不同。而有異等語。而又參之以所謂萬殊之一本。一本而萬殊。又所謂渾然粲然等底意。而擧似矣。但同異離合之際。文不盡意。而致此矛盾耶。以理而言。則同中識其含異。以氣而言則。異中識其含同。然後體用一源。顯微無間之義。兩盡而不陷於一偏之歸矣。然上達天理。非識道者。不能言之。惟吾末學。只講人事。尙患不及。何必躐等之求耶。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汝衷 向所論。方其渾然在中之時。所謂氣質之性。亦不在其中耶云者。後來看之。似有語病。故業已改之。而未及示之耳。今見來喩。以此謂之氣質之性。堯舜亦有。甚至以性惡言之。若甚可駭。蓋人之生也。有全其天地之性者。有偏於氣質之性者。性一也而有此同異何也。聖賢。稟質淸粹。故具有是性而氣不隔理。以助其發揮。此天地性之所以全也。凡庸。稟質昏駁。故雖有是性。而氣每拘理。使不直遂。此氣質性之所由名也。然性是在中者。情是發外者。旣不可指情爲性。亦不可謂性無其拘而發有是病也。但未發之前。氣不用事。故純善而無惡。及其發也。氣質性之偏。而不善者方始著見。則蓋其氣質之捁蔽。亦在其中。故性隨以偏也。曩吾云。云蓋以是也。此雖深於究言。而亦不無歸宿處也。至若人物性云。喩尤不然。以朱子語論之。中庸章句曰。人物之性。亦我之性。但以所賦形氣。不同而有異。大學或問曰。萬物一原。本無人物貴賤之殊。答張南軒書曰。氣有偏正純駁之異。故稟而生者。有人物賢否之不一。又答徐子融書曰。天之生物。其理固無差別。但人物所稟形氣不同故心有明暗之殊。性有全不全之異。朱子論人物性處。非止十百。而其意皆如此。故余嘗謂之。論人物之本原。則理未嘗不同。然氣不能無開塞正偏之不齊。故人物之生。各隨其形而性亦有異。然則犬牛人性之不同。非氣質而何云者。蓋本之朱子語也。今君張王辨論。而至有犬牛人性之分。已具於理中。故犬得犬之理而生。牛得牛之理而生。人得人之理而生。如此則天之生物。其理固有差別。而亦有貴賤之殊於一原之中耶。其不可也甚矣。況又以朱子所謂人物之生。各得其所賦之理。以爲健順五常之德而證之。此尤錯會文義者也。細究其意。則亦曰生物之理。固無差別。而一物之中。天理完具。不相假借。不相凌奪。故各得以爲健順五常之德。正如所謂各具一太極者也。以此欲發明犬牛人各得其理而生。其亦誤矣。又所引蘆沙先生所謂。在天元無此分。則人與物何處得來。而有此偏正。及夫偏全莫非本然等語。似皆有理。然在天元無此分。則人與物何處得來云者。與程子所謂沖漠無朕。萬象森然已具。朱子所謂渾然者之粲然者。未始相離等語有合。而但偏全二字。與朱子語天命之性。非有偏全者不合。無乃是初年語耶。昨秋黃友敬涵見訪。而誦蘆翁語。氣只是此理。流行之手脚。此言極有理。蓋論人之手脚。則行止造作在人。而手法之工拙。非在手而脚力之鈍健。亦非在脚耶。夫生生萬物。天地之大德。而其造化發育品物散殊者。非由氣之正偏通塞耶。故朱子又曰以理言之。則無不全。以氣言之則不能無偏。今君滿幅縷縷。皆與朱子語意相背馳。甚可訝也。至若或說之偏言則性。全言則心云者似矣。然偏是偏側之意。着性字上不得性。蓋是吾心之實理。理有不全。心豈可獨全乎。故曰性者。天理之全體。心者。天理在人之全體。其無二致可見矣。若就全體上分別言之。則蓋一心之中。仁愛義制禮讓智別底道理。各有界限。而方其未發。漠然無形象之可見。及其發而爲用。則惻隱羞惡恭敬是非。隨事著見。各有條理。朱子所謂性各逐事。言心則擧全體。重庵先生所謂。心與性相對看。則心全而性分等語。皆此意也。今據此而徑言性偏心全。非獨不識心性體段。幷與先覺所說而不能詳之也。且末段人心道心之相終始。四端七情之兼不兼。旣係先賢之言云。則疑當置之。不必强辨。欲爲求多於前人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宗人子惺 山門賦別。心懷甚惡卽又惠墨入手。不啻若拱璧。但引喩失當。有似乎木偶華袞。多愧多愧。嗚呼。朱子。孔子後聖人也。建不悖。俟不惑。而中原則陸王之徒。出而亂之。惟我東先輩。篤信尊慕。斷斷無他。是以洙泗洛閩淵源之學。盛於東方。如周禮之在魯。亦豈偶爾哉。華翁又晩出直求之。朱子其於定本一句一字。不敢携貳。又於後賢最尊。尤菴先生以爲。朱子後正宗羹墻誦法。亞於朱子。此重翁之言。不啻其眞的。而嗟今之人。心量淺狹。學術固滯。於心性同異。理氣離合之際。妄相揣度。或生歧貳其間。或有强記博識者。亦不免推波助瀾。是甚風氣。余以是爲懼。不自度力量。不逮妄意。徧觀朱子書。則雖宏博浩洋。不敢涯涘。然畧窺其肯綮親切底定論。則華翁言言。無非就其中做出來者也。大凡看書。不究全文大指。執其一言一事之各有所指者。穿穴立異。則其於聖賢宗旨。已燕越矣。藉以心理心氣言之。心以理言。亦朱子也。心以氣言。亦朱子也。然其要意眞脈。則理終爲主。華翁之言。亦如是而已。是以間有友朋見訪。則恐其學問路頭。或因一邊紛紜而易致差失。輒爲之勸看朱子書。然未見其信然而篤行者矣。今來喩。但自覺悟。亦不濟事。必須大着眼牢立脚。以古人事業。把作自己擔負。記得一二善言。做得一二善行。爲究竟家計云者。甚善甚善。勉之如何。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參奉曺公墓表 曺君龍鎭。余晩年友也。袖一冊子。謁余曰。吾曾大夫遺事。備在卷中。願筆其可筆者。以惠墓道顯刻。余旣辭之不獲。謹按。公諱楨鉉。字玉如。號曰愚軒。昌寧曺氏。世居綾城。而其上祖曰。麗朝禮部尙書。諱著。入我朝。有月軒公諱顯。殉節達梁。贈兵曺參議。配侑褒忠祠。有遯菴處士。諱守謙。築亭富春。高尙其志。是其顯祖。一門出處。各盡其道。遐隅華閥。鮮出其右。高祖諱景文。曾祖諱翊彦。祖諱榮黙。司憲府監察。考昶基。贈五衛。將妣南平文氏福啓女。有婦德。生公於純廟乙酉。生而岐嶷。及長而姿質淸粹。容貌魁梧。不以世紛自累。而惟修身齊家之是務。養親而能竭其力。奉祭而克致其誠。處宗族焉。敦睦篤至。在鄕黨焉。信義周洽。收心而常存。戒懼臨事。而不設畦畛。苟其義也。不顧自家利害。不較外至毁譽。嘗戒子孫曰。願汝爲吉人。不願汝爲不吉人。又曰取友。當以正人君子而自益。愼勿使便佞醜類而自損也。哲廟朝有齊郞之命。卒於當宁丙戌。富春洞屈膝峰乙原。是其藏。配朗州崔氏鳳達女。擧二男二女。長曰常燁。季曰斗燁。女長適梁相誠。次適尹致源。長房三男。載愚載轍載驥。次房二男載甲載寅。曾玄不盡錄。嗚乎。公之德行。蓋已詳於遺迹。而及聞之社中父老。咸稱謹愼君子。而無二辭。尤想其溫和之氣。純厚之儀。足以感人深。而彌久愈不衰也。顧余識薄詞拙。有不能以闡發其幽潛者。爲可慨也已。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