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朱子策問曰。仁之體誠深矣。自孔門弟子之所以問。夫子之所以答。與夫後之諸子之所以筆之於書者。皆未嘗同也。二三子。總其所論而折中之。必有得矣。竊想朱子。必先有折中。而有此設問。其折中之言。可得聞歟。 曺圭晢 孔門答問。或因其病而各救。或因其病而異告。而具在論語。朱子於集註及語類。折中而詳言之。至若後之諸子所論。則或以愛謂仁。旣不免乎指情爲性。或離愛言仁。亦不知夫仁是愛之理。或以物我爲一。爲仁之體。雖可見仁之無所不愛。而非仁之所以爲體之眞。或以心有知覺。釋仁之名。雖可見仁之包乎智矣。而非仁之所以得名之實也。是皆朱子所不取於此。細翫則其折中可見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心說。贈李達之。 天地生物。人得其秀。而虛靈知覺。包性情該動靜。以爲一身之主宰者。惟心也。心只是一箇物也。而有人心道心之別。何也。曰人有血肉魂魄之軀。則夏葛冬裘。飢食渴飮之類。是人心也。而雖聖人。有所不能無也。性有元亨利貞之理。則惻隱羞惡辭讓是非之心。是道心也。而雖下愚。亦所不能無也。然則均是人也。而何故爲聖智。何故爲愚不肖。只在天理人欲之間而已。聖智。生旣淸粹。而査滓渾化。故凡動靜云爲。合天理之自然。愚不肖。稟旣濁駁。而外誘雜進。故其所計較營爲。循人欲而忘返。外而富貴公侯之樂。內而形氣耳目之娛。鑿性蕩情。使我心不在方寸之內。飛奔千里之外。茫茫乎如無柁之船。搖揚於接天大洋。罔知之燕之越。而中流又遇狂風怒濤。則決知其覆船陷溺矣。奚啻如牛山之木。斧斤伐之。牛羊牧之之比哉。然本然之良心。我固有之。終不可泯。故苟能反己循省。則便在腔子裏。所謂中和寂感。全體大用。無不周流貫徹。因是戒懼愼獨。使道心常爲一身之主。而人心每聽命焉。則人心不流於欲。而不害爲道心矣。然性本無形。心亦無形。其操存之道。當何依據而爲下手處。朱子曰以敬爲主。則內外肅然。不忘不助而心自存。又曰敬義工夫。不可偏廢。願達之。敬以涵養本源。義以宰制萬事。則日用本領。卓然自立。而何患乎。心不在軀殼之內也。然未及自警而警人者。恐犯舍己芸人之戒。因書以爲相警之資云爾。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讀書說。贈高亨俊。 孔子曰學而不思則罔。思而不學則殆。夫學。須是學聖賢之事而已。若讀書而不能精思義理。則無以考其成法。而所謂心之知覺者。昧䵝無得。且徒思而不能格致事體。則無以得其道理。而所謂日用云爲者。臲卼不安。然則學不可不以誠求之。須要虛心平氣。澡雪物累。存養帝畀。敬對方冊。而先求字義。次求句義。又次求一章之義然後。理會得聖賢旨意要歸處。若一毫有躐等躁進之意。則弊精神。糜歲月。到白紛無所得。故幼而讀小學。服其敎導之方。及長而讀大學。定其規模之大。次讀論語。以固其根基。次讀孟子。以觀其發越。又讀中庸。以求本原極致處。此朱子敎人讀書要法也。爲後學者。當體此用力。循序積累然後。乃可見功也。蓋性只是理合下。無聖凡之殊。而但其氣質之拘。物欲之蔽。有以害之也。然則何以變化其氣質。當如思聖所謂已百已千。而學之愈篤。則可以換却濁駁而純粹。何以克去其己私。當如孟子所謂勿忘勿助。而循夫至公。則可以杜了蔽惑而明敏。是皆學而思思。而學之道也。求諸心而識其所以然。習諸事而措其所當然。則有得有據。而自免夫罔與殆之患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家兒讀書室尙志齋上樑文 講學不可無所。經之營之棟宇。自此維新。輪爾奐爾。志可尙矣。工亦勉焉。顧此詆犢之私。冀爾展驥之步。山頂啖薺。縱悶蔡氏之忍令+几。城南親燈。粗倣韓公之送讀。日封開天之讀。喫苦何年。嶠南湖中之行。就正有日。旣奔走於道路。可恬養其神精。玆卜社東數弓之原。乃得林下一畝之地。制穢草。掃朽壤。其勢炳靈。邀明月。挹淸風襟期瀟灑。源泉淸冽。旣取科盈不舍之流。岸松森羅。偏愛歲寒後凋之節。招工師而絜度。依山阿兮排鋪。方見鳩功。而奙土掄材。不煩龜從而測圭定位。不侈不儉。得規模之便宜。爰處爰居。喜埃壒之迢絶。扁楣亦當有揭。俛宇所以錫嘉。家富春之幽居。偶山名之同爾。志嚴陵之高尙。豈人事之異乎。不事王侯。蓋取諸蠱上九。迺友直諒。盍來乎益者三。名在玆而念玆。士從事於何事。篤學不仕。曾聞漆開之爲。樂道而。當聲伊尹之始。數椽蝸屋。安於不求。一枝鷦捿。知其所止。玆控短引。助擧脩梁。兒郞偉抛梁東。扶桑朝旭繞簾。紅窓前看得圖書畢。時或徜徉水石中。兒郞偉抛梁西。白雲坌入短簷齊。營營功利非吾事。敦尙淸高物外棲。兒郞偉抛梁南。金鰲晴影蘸寒潭。老人星彩明如許。眼界爽然見自諳。兒郞偉抛梁北。雪裏層巒增秀色。一樹庭梅氷玉寒。有時暗動春消息。兒郞偉抛梁上。太虛寥廓三光朗。千紛萬態皆須臾。立志何曾物與往。兒郞偉抛梁下。兩谷鳴波石際瀉。長流不息沂與通。却思風浴詠歸者。伏願上梁之後。基礎鞏固。軒窓淨明。鬼神撝呵。灾害遠遁。文學周洽。福祿自臻。喚惺惺之主翁。迎濟濟之多士。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玉山居士李公墓表 玉山居士。李公諱枝茂。字永一。生于哲宗丁巳二月十日。卒于隆熙壬子十二月十三日。享年五十六。同月二十二日。葬于新豐面柿木洞陣御峯壬原。實永曆二百六十七年也。胤子秉黙。奉其遺稿若家狀。來示不佞。旣又責以不朽之役。乃辭匪人。尙往來不置。亦難終辭。按。公自幼穎悟。甫六歲。見塾兒讀書。卽歸家請學。自是勤業。才藝日就。及長。文辭贍富。動止愼重。接朋友。待宗族。敎子弟。御僮僕各以其道。不紊不差。至於鄕黨。庠校樽俎之地。裁決疑晦。掃除弊瘼。風紀一立。人皆倚重。嘗築室舊居玉山。其扁號也。內而圖書。外而花竹。考槃自適每與知舊族戚。鳴琴行酒。合有暢敍。又於川上起亭。爲門子弟肄業。所遠近來學者。亦。衆時與䪨友出遊。所過名山。鉅瀆。石臺。水閣。或風或浴。盡壯觀極諷詠而歸。及遭外內艱。執喪致哀。情文備至。至諱辰。散致之節。供具之羞。必誠必愼。且於古人爲己之學。念念不諼。於是贄謁淵齋宋先生。又屢上書勉菴崔先生。其胤雲齋。適有過路。輒延入齋亭。數日講話。與之傾倒。又與松沙奇公。日新鄭公諸賢。往來答問。契遇款密。甲午東匪日熾。列郡風靡。戒子弟勿染。乃與知州趙公。協謀贊劃。有任防禦。募得民兵。斬獲甚多。時招討閔公。論擧湖南討賊之士。奏聞于朝。公其一也。乙未剃緇之變。聞有域內義聲往赴。竟不合而歸自杜靖。李氏系出公州。以國初恭肅公諱明德爲中祖。七世諱韡。進士。師事隱峰安文康公。孝友學問。爲士林所推重。號衋悔齋。曰東鳴。曰萬蒔。六世五世諱。俱進士。鳳岡石蓮其號也。曰旻齊。曰居垕。曰敬德。高曾祖諱。考諱文洙。號野隱。妣晉州金氏。進士漢益孫女。配濟州梁氏吉黙女。俱有婦德。有丈夫子二人。女子子二人。長秉黙次秉淵。女適昌寧曺秉國。順天朴福奎。孫以下不錄。嗚乎。天地設位。人之有生其間者。性雖一致。而其行不能無參差不齊也。第以凡常論之。動而出世。則流於動而鮮不爲功利紛華之是貪。靜而斂迹。則淪於靜而亦不肯激勵進修之是務。惟公不然。克勤于公。恐事不齊。克儉于私。慮身不修。此心休休。動靜無他。曾出而少試鄕曲。則事無大小。措畫得宜。至或郡國事。所撞觸而難處者。則衆皆愕眙。公乃從容裁定。是豈不賢且能。而能然乎。間嘗拜書。國中長德。以爲依仰。又納交域內諸賢。以資講磨。頊頊其儀。亹亹其行。人鮮逮及。如使朝著。甄拔如公者。隨才任職。布列中外。則國家顚覆。生民塗炭。豈有此極哉。嗚呼惜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감결(甘結) 초(抄) 고문서-첩관통보류-감결 정치/행정-명령-감결 [1886]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6년 新設學校節目의 반포를 알리는 甘結을 필사한 문서 1886년 新設學校節目의 반포를 알리는 甘結을 필사한 것이다. 이 문서는 內務府에서 하달된 관문에 의거하여 내린 감결을 謄書한 것으로서, 1886년 4월 19일 고종의 傳敎, 1886년 8월 16일에 이에 따른 내무부의 啓辭, 新設學校節目 14개 조목의 내용이다. 전교의 내용에 따르면 나라를 다스리는 일에는 어진 사람을 찾는 것이 급선무이기에 시골에 묻혀 있는 인재를 널리 찾아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인재를 만드는 것은 나무를 심어 재목이 될 수 있도록 가꾸는 것과도 같다고 하면서, 노는 것이 습성이 되어 쉽게 학문을 포기하는 세태를 교도하기 위해 강사(講舍)를 설립하고 인재를 뽑아 학업을 가르치게 하라고 하였다. 『고종실록』을 살펴보면 1886년 4월 19일 기사에 시골의 인재를 등용하고 강사를 설립하라는 전교를 내렸으며, 같은 해 6월 6일 기사에는 신설하는 학교의 절목을 계하(啓下)하면 서울과 지방에 반포하여 신칙하겠다는 내용의 내무부(內務府) 계(啓)를 확인할 수 있다. 新設學校節目은 14개의 항목으로 되어있다. 성균관 1~3항, 京學院 4~7항, 營學院, 官學院 8~11항, 사설학숙 12항, 선발 13항, 경과조치 14항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그 내용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성균관은 생원, 진사를 원점수에 따라 80명 이내에서 선발하여 1년 동안 의무적으로 거재하게 한 뒤에 月課, 季考, 歲試의 시험을 보여서, 세시에서 우수한 자의 방목을 국왕에게 올리도록 했다. 四學의 과정은 성균관 月課, 季考에 許赴하였다. 京學院은 입학기준은 15~20세 士ㆍ民 子弟로 無定額이며 30명씩 住院 10일마다 교대하고, 과정은 성균관과 같았으며 季考에는 교수 4인이 합석하고 歲試에는 赴泮合試한다. 각 도의 營學院은 입학기준은 15~20세 士ㆍ民 子弟로 定額이고, 3년 수학 후 私塾으로 돌아가며, 자비부담자는 無定額이고, 과정은 京學院과 같으며 歲試는 관찰사가 주관한다. 각 군현의 官學院은 입학기준은 15~20세 士ㆍ民 자제로 定額이고, 3년 수학 후 私塾으로 돌아가며, 자비부담자는 無定額이다. 과정은 京學院과 같으며 歲試는 수령이 주관한다. 마을의 私塾은 京鄕 村坊 洞里의 興勸學徒 실효자를 보고하여 收用한다. 기타 서울의 歲試는 모두 성균관에서 합하여 시행하고, 지방의 歲試 결과는 관찰사가 취합하여 성균관에 보고하고, 매년 훈장, 우등인을 서울에 보고하여 面試 후 성적에 따라 許赴全試한다. 甘結은 상급 관아에서 하급 관아에 내리는 문서를 가리킨다. 내용은 지시와 명령이 주가 되며, 물품의 출급·독촉이나 인원 차역, 죄인의 압송, 대민 고시 및 선무, 도적의 검속, 진휼정책의 방침과 시행에 대한 사항 등이다. 감결 중 대부분은 관찰사가 관하 읍에 내리는 것이다. 지방 행정상 같은 내용의 감결을 몇 개의 읍에 내리는 경우도 있고, 때로는 한 읍에 내리는 수도 있다. 또한, 암행어사도 임무 수행과 관련해 수령에게 내릴 수 있다. 그 때에는 관인(官印) 대신 마패(馬牌)를 감결의 몇 군데에 찍는다. 서식은 기두(起頭)에 '甘結某邑(감결모읍)' 또는 '甘結各邑(감결각읍)'이라 쓰고, 내용은 일정한 양식이 없이 지시, 명령하는 내용을 쓴다. 결사(結辭)도 지시, 명령하는 내용에 따라 약간씩 다르나 대개 명령의 거행 상태를 즉각 보고하라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발행한 시기는 연호를 사용하지 않고 간지(干支)로 표시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曺亨甫【圭晢】 別後思想。久愈靡懈。卽於書來。細認秉心堅確。做工眞實。不勝慰喜。凡爲學之道。固當以存心養性爲主。而於學問思辨。亦不可不盡其力。然當隨力做去。不當生躁進之心。而或至生病也。頫詢諸條。草草說去。恐未免錯會。不勝悚縮。媚奧媚竈。是當時俗語。王孫。因之而設問也。仁之一字專言。則仁義禮智。皆在其中。仁義禮智四字。偏言則各是一事。而有界限。仁者安仁。知者利仁。這三仁字。皆以專言者言之也。知者之知字。以偏言者言之也。君子去仁惡乎成名之名字。蓋是成君子之名也。士志於道者。道心之著見也。恥惡衣惡食者。人心之汨亂也。所謂天理之公。卒無以勝夫人欲之私者也。蓋天之生民也。以二五之氣流行。而成形質者。是所謂氣質也。心則知覺之在人。而具衆理應萬事者。是所謂心之全體也。然不窮理而盡之。則物欲之蔽。或生於氣質之濁駁。而不能知其心所具之理而全之也。朱子所謂。不能皆有以知其性之所有而全之者。此也。足食足兵。非仁政是不然也。仁蓋是兼四端。而無適不在者也。制田里薄賦斂。而使民樂飽。不奪農時而倉廩實。則足食之道。非仁政乎。比什伍時鍊習。而備國不虞。弧矢利威。而安社保民。則足兵之道。亦非仁政乎。所謂仁政。無所事爲。而徒善而已乎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汝衷 所喩理一分殊固然矣。然所以生萬物者理也。以之成萬物者氣也。合萬物之異形而反其同。則不可不謂之分在理一中。然非直以人物之分。謂有貴賤之殊於萬彙未形之前也。故朱子曰。論萬物之一原。則理同而氣異。又曰論氣不論性。無以見理義之同。論性不論氣。無以見生質之異。又曰人物。被形質局定了。是皆非必須有氣然後。有以分人物形質之異者乎。蓋論其稟受。則天命初豈有偏全哉。但以其氣有偏正。故物之形。有萬不齊而性亦各殊。觀於白椀黑椀。放淸水之各一般色。與夫一杓一釭。取江水之各隨器量之喩可驗矣。又質之以大學或問。則其曰人物之生。必得是理然後。有以爲健順仁義禮智之性。又曰彼賤而爲物者。梏於形氣之偏塞。而無以充其本體之全。蓋是太極之中。萬象森列。而人稟其全體。故能應接萬事萬物。物則爲形氣所拘。而不能通貫全體。故只通些子。此非人物偏全之分乎。大抵品彙生。生散殊錯糅。不可名狀。然其實不越乎理與氣合而已。但理無爲氣有爲。故命之者理也。承之者氣也。混融無間。而大和保合。各以類應。此命之所以流行而不已者也。然往來屈伸。氣之運也。淸濁偏正。氣之才也。此亦理之所以然而生物之所不能不然者也。蓋道體之全。無一物之不該。則不可謂儱侗無物。天之賦此理。未嘗不同。而人物之所稟受。各自不同。則不可謂臨時排定也。夫尊卑帥役之分。決不可不嚴。然擧理而遺氣。則造化之實迹莫見。言氣而闕理。則太極之統體亦昧。須是備擧倂稱然後。庶不失聖賢本旨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梁子燮 示喩。喪家不行舅姑禮。禮無明文。然以所謂舅姑禮之如父母醮女之儀觀之。則衰麻之舅姑。亦有以難行此禮。蓋義之所在。禮或有時而變也。至若字義之喩。情是性之動。志是心之所之意。是心之發而主張要恁地。誠者。在道爲實有之理。在人爲實然之心也。則於情於志於意。俱是闕一誠字不得。然若把大學誠意之意字。將欲以情志兩字互換看。則非只有損於尊經之義。志情字。亦不如意字之穩也。蓋誠意者。其工夫自格致上做來。而吾心之所知。洞見道理。無纖毫不盡處。則意之所以思量營爲者。無所不誠。而心可得以正矣。且賓主升降東西階左右之喩。特牲饋食禮註曰。凡鄕內以入爲左右。鄕外以出爲左右。士冠禮注又曰。出以東爲左。入以東爲右。以入爲左右。則門西爲左。門東爲右。鄕飮酒禮。賓入門左是也。以出爲左右。則門東爲左。門西爲右。士冠禮。主人迎賓。出門左西面是也。蓋所爲左右者。以出入人之左右言之。所謂東西階者。以賓主之位言之。出入時。雖有左右之相倒錯。階之東西固自若也。魏風葛屨章。宛然左避。小注孔氏云。不敢當主。故就客位者。以其人之入而言。故指左謂客位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農隱堂記 僕自甲辰春。始遯于富春山中。前此公山李氏。居玆土。已二三世矣。旣篤世好。趣味又契。日相從逐。於是得達之之賢。斯人也。居家孝友。向學甚勤。余以是愛之。一曰。問其親堂農隱記於余。余辭不獲。因念農隱之爲號。蓋曰隱居田間而躬耕之意也。古之君子。或出或處。出可以致君澤民。處可以杜門善身。各適其道而已。矧今日宇內商商。貨利波蕩。廉恥都喪。尤君子隱遯之時也。此農隱堂之所以飄然遠逝。終老隴畝。而惟義適從也歟。農不過瘠田數十畝。春夏耨。實而食之。不願人之膏粱。而雖或至簞瓢屢空。亦未嘗戚戚。而裕如也。且年迫衰暮。宜其倦勤嗟耋。而猶以筋力幹務。至於齊家。則必以法度。而勤於紡績。敎子則必以義方。而篤於經典。余始謂達之向學之勤。偶然自得於經義之間。因思之。亦多助發於過庭之際而致然。然則農隱堂裕後之計。尤豈不綽綽然有餘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春谷曺公墓表 曺生益燁。狀其先祖考春谷公行。以屬達煥曰。吾祖考。無年而早世。今就幽已數十星霜。而尙闕顯然銘墓。但族戚長老。與里社父老。咸稱其才器甚偉。而未及展施以圽。以是惜之。充然耳根。夙夜感泣。竊恐日久歲深。竝其平日實行。與長老誦說。俱泯然昧昧。將伐石以刻。願惠一言焉。顧不佞。本固陋狹劣。無所識知。安敢任人金石事。以是辭謝久矣。卒乃感其追遠歸厚之至誠。遂幡然而起。按狀。公諱仁基。字華成。號曰春谷。曺爲昌寧大姓。有諱著。勝國禮部尙書。諡莊襄。卽公遠祖也。代有冠冕相承。入我朝。有諱守謙。號遯菴。築富春亭。讀於斯。深藏不市。高尙其志。是公九世祖也。高祖諱始鐸。贈敎官。曾祖諱景文。祖諱翊彦。考諱榮佑。俱隱德。妣有前後聘。前曰天安全氏性一女。擧一男一女。男昶基。系其伯父後。曰全州崔氏。烟村先生后。昌燁女。擧一男二女。卽公也。公以純廟甲申生。生而儁異。鍾愛於父母。少長而才藝捷敏。動止安詳。嘗富春亭。經燹傾圮。祗守遺墟。雖一花林一槮松。人不敢毁傷。且其先世傍親。參議公顯之祠宇將建。公實主其事。以其財力不贍。嘗往來靈巖康津等邑宗人家。勸其出義。事雖就緖。而竟嬰疾不起。年纔二十七也。宗族哽塞。閭巷流涕。踰月而葬于富春里陷井嶝抱坤之原。蓋從其先兆也。配公山李氏。恭肅公明德后。文淑女。後公一年而生。性至孝。事舅姑如父母。撫孤兒甚愛。然必敎以義方。曾有親黨一人。欲入葬富春亭墟。以是懇乞。踵其往。至其富處。卽所指注血。其人亦義之而自止。守其君子遺業。一心烈烈。人咸稱女中君子。以天年終。後公三十六年也。穿公墓而合襄焉。有一男曰秉馹。秉馹。有三男一女。男長琪燁。次益燁。次吉燁。女適安載復。琪燁。有一男二女。益燁。有三男。吉燁有一男。竝幼。載復。有一男三女。亦幼。內外孫。摠若干人。嗚乎。公爲人淸夷恬曠。事親以孝。治家以法。每臨事處置。簡易條暢。自幼如老成人。其夫人李氏。亦以孀婦。奉偏姑抱弱子。持守門戶。遂成家法之美。尤令人感愴者存焉。玆綴辭如右。俾刻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偏全說。贈奇龍鎬。 或有問曰。吾子。謂以理言之。則無不全以氣言之。則不能無偏。信然乎。曰此非吾杜撰。只誦說朱子之言耳。曰然則朱子之言。亦有曰沖漠無眹。萬象森然已具。旣曰萬象已具。則玆非理亦有偏乎。何朱子之言。相反若是。曰非相反而乃一致也。蓋理雖無形。自是渾具天地萬物之象。而無所虧欠。故總而一名之曰太極。是則所謂太極之全體也。就此全體中。指其象類而曰理。旣有偏可乎。理本渾全專一。故爲品彙之根柢。然猶不能自爲。而必使二氣五行。化成萬物。而理從以賦者。各一其性。故論萬物之一原。則理無不全。觀萬物之異體。則性不能無偏。此所以理一中。有人物性之分也。若曰理不待氣而元自有偏。則不可也審矣。奇友見卿。讀書山亭。歲晩賦別。曾有此答問。故書而示之。聊備商確云。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三溪處士安公墓表 天冠之東。三水上。故有三溪處士。安公諱國臣字翊汝。其玄孫道淳。訪汝窮廬。講討甚勤。語言安詳。動止愼密。知其爲法家拂士。一日。以同門友白君景寅狀來。乃三溪公墓道表章之請也。顧余陋拙。豈能究闡幽微。信示久遠。果未屬筆。爲數朔。又詳具其行致而强之。終不能辭。安氏本順興人。晦軒先生裕后。再傳至文惠公元衡。受封竹城。子孫因籍竹山。又再傳至挺生。始仕我朝。官直提學。子諱乙謙。宰靈巖郡。因居焉。子諱汝舟。官直長。始家長興巾山里。至諱用欽。受學于金淸陰先生。官宣務郞。寔公六世祖。世有文蔭相傳。曾祖諱致一。有遯世意。自巾山移三水。祖諱宅光。考諱守億。俱不仕有行義。二妣。南平文氏德增女。道康趙氏東旭女。婦德幷純摯。公實趙氏出生。而姿質粹美。纔解語。能知孝友。及就傅。課日有程。以小學爲佩符。口不出鄙俚。心不萌忿戾。儉衣淡食。不喜華麗珍。甘未成童。已有老成規模。誠孝根天。嘗侍疾。三噬指灌口。禱天代命。旣長子史諸經。無不通貫。著爲詩賦表策。欲膺時用。然其文章手法。不用擧子。尺度必合。自家思量然後。乃下語。遠近膾炙相傳。視今人誦書業文。沾沾自喜。輕儇浮媠者。相去不啻燕越。已而與梁公奎永。往謁洪梅山先生。留月餘灑掃。得聞性理之說。至忘寢食。仍嘆曰。詞章句讀之士。便是儒門楊墨。學仁義而一差。其弊至於無父無君。豈不可懼哉。歸而焚稿廢擧業。常語人。曰唐太宗賺人之術。使萬世無眞儒也。又有詩曰。鹿門山下三溪里。中有吾廬草數間。多少人寰名利客。風帆去去不知還。蓬蓽蕭然。簞瓢屢空。處之泊如。影不出城市。足不到要津。一守繩墨。毫髮不差。近遠請業。日無虛門。嚴條約。勤提撕而導之。尤深於禮學常變。吉凶無少眩惑。嘗著書。名曰安氏家訓。見者比之小學要訣。前後喪致禮。朔望省墳。春秋悽愴。兄弟五人。枕被湛樂。日相對聚。出入共之。殆天性然也。所著述甚多。遇景則題。達意則書。付諸散稿。不爲淘刪傳後計。門生子弟。收葺爲若干編。藏之巾衍。嗚乎。以公孝友之姿。文章之才。蚤不事詞章空言。屈首乎古人爲己之學。則標準一世。垂範後學。亦何難之有哉。晩乃覺悟深懲。隋唐末弊亟。反聖賢遺敎。非天姿淳慤。其孰能之。時如道伯。能薦之朝廷。信用之。則將有以議復學校貢擧法。而三代之風。庶可見矣。其絀而莫之伸也。公生于正廟己亥九月乙酉。卒于憲廟庚子八月十八日。墓寶城海京洞。東麓乾向原。從先兆也。配南平文氏達觀女。多內助。有女士風。卒葬會寧坊聆川谷路上枕巽地。四女無男。以二房國卿子。明煥后焉。壽職僉樞。其婿。靈光丁昌甲。丁來述。淸風金基滿。靈光金鎰也。僉樞三男二女。男圭夏圭台圭湖。女金基洙馬鐘聲。曾玄甚蕃衍。不盡錄。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勉菴先生文 文達煥。病未奔走趨哭。而謹遣子載晟。以菲薄之奠。告訣于勉菴先生靈筵曰。嗚呼哀哉。小子無狀。獲罪于天。哭盡風樹之痛。又抱領原之悲。而惟先生依仰以爲命。又遭山頹樑壞。此生安歸。嗚呼哀哉。先生之道。與孔孟程朱同一揆。而但所遭之時。胡爲與孔孟程朱異也。孔朱之時。則世雖降國雖微。典章文物。禮樂刑政。猶能自我主張。而但不振刷。先生之時。則不然。賊臣黑夜販國。外夷白晝擅柄。毁形我生靈。被緇我生靈。踐踏我禮義。掩取我疆土。至於去乙巳十月極矣。於是先生。不計成敗利鈍。興亡死生。赫然奮發。倡動國內義旅。庶有恢復之望。而氣數所局。理亦難諶。洪州先敗。玉川不利。內而五賊煽動。外而韓李兩賊符同。率我兵丁。攻我義旅。憤痛何言。小子輩。陪從就俘。是夕風雷之作。天示疾威。而彼不覺悟。誠夷狄耳。禽獸耳。建容之囑倭把守。鎭昌之任倭押送。此可忍也。孰不可忍也。拘縶屢朔小。子舁病還山。先生涉危。浪入讎地。竟貽安仰之痛。此讎難復此。恥難雪。邦國其將疇賴而再造。斯民其將疇依而生活。道學其將疇阿而不墜。後學其將疇仰而依歸。嗚乎哀哉。先生前後疏箚。邪正之辨。尊攘之義。與春秋綱目。相爲表裏。而繼往開來之功。百世以俟聖人。而不惑者也。顧此小子。痿痺跛躄。未能奔走陪從於島行。而送姪兒載昌。侍側爲意。治任將行。遽發腫疔而逝。運丕數迫。悲慘何言。際伏聞先生患報轉至。伏泣病枕。罔知措躬。不出兩日。遽聞訃音。號天而訴。叩地而叫。日月無光。山川易位。嗚乎哀哉。小子病廢。旣不能執侍就養於絶島。冷屋風雪之中。又不能抑搔扶擧於疾病之時。又不能匍匐往哭於返櫬之日。此豈服勤至死之道哉。天地茫茫。小子曷歸。言之腷抑。思之淚血。嗚乎哀哉。尙饗。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嘉善大夫中樞府事兼五衛將文公墓表 公諱應鎭。字贊元。南平人也。我文遠有代序。名碩相望。三憂先生諱益漸。諡忠宣爲中祖。十世祖諱自修。號勉修齋。以德行見擢。歷典二邑。乍試而歸。興文學正鄕風。士林建祠俎豆之。諱潤修。義副尉。諱士元靖陵參奉。諱昌後。社稷參奉。俱以孝行應選。於公爲九世八世七世祖也。曾祖諱世昇。祖諱鳳雲。考諱福奎。俱隱德。前妣樂安吳氏泰禧女。妣驪興閔氏時來女。以正廟甲寅生公。賦性純質。體宇寬厚。幼失怙恃。未得致喪。及長以爲至恨。遂追服。盡哀致毁。無異初終。且家雖窘跲。不以爲憂。惟以義方敎子。而戒之曰。專務衣食。不知文學。則難乎爲人。蓋衣食。養口體。文學。固心志。口體小心志大。大小之分。緩急先後。係焉。日加勸督。至使學業成就。處宗族焉盡敦睦。居鄕黨焉主忠敬。壽至九旬。志不少衰。以年德行誼。聞于朝。授通政大夫。後贈是官。哲廟乙亥。卒。以禮月葬于丹陽面眞谷乾坐原。配貞夫人。長澤高氏夏鎭女。孝敬溫貞。婦德咸宜。合塋。生三男二女。男長永夏。次永愚。次永武。女朴相台。李茂赫。長房三男。業休鍾休台休。次房二男達休京休。季房四男淇休周休章休玉休。曾玄以下不盡記。嗚乎。公律身以勤儉。御家以溫和。發言處事。必當於理。待人接物。一主於誠。而燕謨攸貽。子孫振振。天必福善之驗。豈不信然哉。公曾孫中煥。狀來曰今將樹石以表阡隧。願族兄記其陰。余不敢牢辭。畧敍其事行。如右云。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學生文公墓表 公諱桂珪。字在玉。其第三子炯。狀公行。過予而泣告曰。炯惡時文弊。不敢爲此擧。以故。墓道無表。至使平日眞實履歷。竟泯泯焉。大是不孝。獲戾幽明。夫追慕記實。古君子亦有已行。則此可足法。蓋吾先府君。早貧失學。而性惟質慤。勤儉又堅確。自持於凡忮求邪僻之事。俚俗鄙倍之言。一不萌乎心。出乎口以至浮華奢靡。是非毁譽。無一接乎耳目。惟以力農勸學。爲家政而曰。富貴不可强求。惟讀書質義。以立門戶。乃人生第一事。以是敎小子。畧無毫忽差緩。山塾稍間。或日暮人罕。則必躬送至齋。或連日風雨。得未下齋。則必親齎飯而至。或諸兄使執家務。必禁而絶之。或小子怠惰放肆。則不少假借。必加嚴責。曰勤學勅行。以做好人。是人子大擔負。汝胡不黽勉。退亭公以後。家世零替。文獻無述。汝須勤謹。勿失靑氈可也。嘗侍側讀史。至陳平家貧好讀書章。因戒之曰。古人尙然。近世吾鄕。南進士熤亦然。汝勿以貧窶廢業也。閔公祐植。曾爲塾師而同閈。使之逐日往候。聞隣坊有日新鄭公學邃行高。使爲之異日就正計。有年少文行者。則必使之從遊。有老成可師者。則必使之往學。素位淸寒。百經艱難。而晩又疾病。猶不留意藥餌。至若文墨載籍。惟力所逮。莫不準具。一心勸學。老愈不衰。中歲移家別庄。以其遠兄弟。乃復還家舊居。聯床湛樂。友愛周洽。事伯氏如嚴父。進退惟命。未嘗失和也。甲辰正月二十一日。考終于家。以禮月葬于小淸洞坐原。文爲南平人者。自新羅武成公諱多省始。至麗季。有三憂堂先生諱益漸。是爲中祖。至諱存道號退亭。從學牛山安先生。壬燹擧義。卽公七世祖也。高祖諱潤德。曾祖諱聖鳳。祖諱昌伯。考諱永化。妣密陽孫氏。生考諱永黙。生妣河東鄭氏。以憲廟己酉九月二十四日生公。配長興魏氏漢祚女。有四男。長斗烈。繼伯父桂洙。次甲烈次炯次台烈。台烈。繼季父桂琪。斗烈一男在德。甲烈一男在謹。台烈二男竝幼。嗚乎。公躬執稼漁樵。以資經濟。而居家篤於孝友。敎子嚴於課讀。持身以勤儉。接人以忠厚。是皆出於天賦。而不能自已者也。其視今人。誦書業文。沾沾自喜。而輕儇浮媠。反無以異於市井之人者。奚翅相去遠矣哉。炯旣順志篤學。敬謹自操。在德幼開爽劬書。炯又敎之有方。將有進就不已。是豈人智力所可及哉。蓋繇公至誠積久。必有感應。而速於影響者也。予本昧乎文辭。又不慣爲諛墓。不敢爲此役。然今狀辭旣詳且實。無有纖毫容私。可以警夫世之誣人致餙者。而又使夫好文刻畵者。亦有愧焉。然則夫人有實行。而誦說之。雖芻蕘。皆可得以爲之。余何敢辭。遂敍次如右云。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류준석(柳濬錫) 등 품목(稟目) 고문서-첩관통보류-품목 정치/행정-보고-품목 化民 柳濬錫 等 11名 柳濬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化民 柳濬錫 등이 올린 稟目 草 化民 柳濬錫 等 11명이 연명으로 올리는 稟目의 초안이다. 품목의 내용을 살펴보면 작년에 향교 庫子가 보고한 내용 중에 下記 未捧条가 퍽 많다고 하며 鄕中에서 원통함을 호소하였는데 鄕中에서 처리할 길이 없으므로 형세가 부득이하여 그때 執任에게 조금씩 나누는 것이 마땅한 뜻이라는 公議가 나왔다고 하였다. 지금 庫子가 다시 보고한 것을 들으니 담당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靳許하는 사람도 있다고 하였다. 이 때문에 나뉘어 措處할 수 없다면 백성에게 이로움이 없을 것이라면서 이런 연유를 아뢰니 처분해 주기를 요청하였다. 이 문서는 수령에게 올리기 전에 작성한 초본으로 작성한 연월일, 수결, 수령의 처분(題音)이 쓰여있지 않다. 품목은 서원·향교에서 그 지방의 수령에게 올리는 문서양식의 하나이다. 대개 서원이나 향교의 유사(有司)·재임(齋任)·유생(儒生)들이 그들 서원·향교의 권리·특전을 보장받기 위하여 수령에게 보고하거나 진정하는 문서로서, 수령의 처분(題音)을 받게 된다. 서식은 기두(起頭, 序頭)에 '稟目(품목)'이라 쓰고 내용(事實)을 쓴 다음 결사(結辭)에 '敢稟(공품)'이라 쓰고, 연호는 쓰지 않고 간지(干支)로 표시하며, 연월일 밑에 품목을 올리는 서원 또는 향교의 임원·유생들을 연명, 수결(手決)을 하여 수령에게 올리게 된다. 수령이 품목을 접수하면 그 내용에 대한 처분을 품목의 왼편 하단 여백에 쓰고, 처분을 내린 글 위에 관인을 찍고 관원의 표시와 수결을 한 뒤 품목을 올린 서원·향교에 돌려준다. 내용이 대개 서원·향교의 권리·특전과 관련되는 것이므로, 조선 후기의 서원·향교의 동태와 유생·사림들의 동향을 살피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77년 최운식(崔雲植) 편지(便紙)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1977.10.18 崔雲植 1977.10.18 崔雲植 萬宗齋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7년 10월 18일에 최운식(崔雲植)이 만종재(萬宗齋)에 보낸 편지. 1977년 10월 18일에 최운식(崔雲植)이 만종재(萬宗齋)에 보낸 편지이다. 본인은 『어우야담(於于野談)』을 연구하는 중인데 도서관에서 빌려보기가 번거로우니 책의 판매처와 가격을 알려달라는 내용이다. 만종재에서 어우야담 책 간행을 진행하였다. 『어우야담』은 조선 중기에 류몽인(柳夢寅)이 편찬한 설화집이다. 총 5권 1책으로 당초 10여 권이었으나, 저자가 모반의 혐의로 형사(刑死)됨에 따라 많이 산질되었다. 1832년(순조 32) 『어우집(於于集)』을 발간하면서 종후손(從後孫) 금(琹)이 『어우야담』의 유고를 수집하여 간행하고자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 뒤에도 줄곧 필사본으로 전하여 왔는데, 필사의 과정에서 여러 종류의 초사본(抄寫本)이 나타났다. 1964년 그의 종후손 제한(濟漢)이 가전의 잔존본에 여러 이본을 수집, 보충하고 부문별로 나누어 5권 1책으로 간행하였다. 책머리에는 유몽인의 영정과 유묵(遺墨), 이어 유영선(柳永善)의 서문, 성여학(成汝學)의 1621년(광해군 13)에 작성한 구서문(舊序文)과 연보가 실려있다. 책 끝에 종후손 제한의 발문이 붙어있다. 류몽인은 1559년(명종 14)에 태어났으며 1623년(인조 1)에 졸하였다. 자(字)는 응문(應文)이고, 호(號)는 어우당(於于堂), 간재(艮齋), 묵호자(默好子)이다. 시호(諡號)는 의정(義貞)이다. 조선시대 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한 문신(文臣)이었다. 폐모론에 가담하지 않고 은거하였으나 1623년() 7월 현령 류응경(柳應泂)이 "류몽인이 광해군의 복위 음모를 꾸민다."고 무고해 국문을 받았다. 결국 역률(逆律)로 다스려져 아들 유약(柳瀹)과 함께 사형되었다. 이때 관작의 추탈은 물론 임진왜란의 공으로 봉해진 영양군(瀛陽君)의 봉호도 삭탈되었다. 정조 때 신원되고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류몽인을 기리며 전라도 유생들이 문청(文淸)이라는 사시(私諡: 개인의 시호를 국가에서가 아닌 사적인 방법으로 내림.)를 올리고 운곡사(雲谷祠)에 봉향하였다. 신원된 뒤에 나라에서도 의정(義貞)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운곡사를 공인하였다. 고산(高山)의 삼현영당(三賢影堂)에도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야담을 집대성한 『어우야담』과 시문집 『어우집』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宗人子惺【炯】 戀德懸懸。何時可已。卽惟庚炎歊赩。侍候萬重。棣床供歡。而案業。想接續不間斷矣。乙洙亦在傍勤做否。但夏日喫着。與春冬不同。或風浴。或講磨。或吟哦。或乘凉伊吾。只令此心常存而不失。亦不是爲己之道耶。想已見矣。鄙狀壞症萃集。必是符到消息。只可恭俟。而月前遽哭邱嫂。痛悼何已。第示喩。朱子所謂世間萬事云云。與夫或人問答條。今復細玩。則世間萬事云者。乃是榮辱利害。雜亂冗鬧。徒足以撓已喪志之事。非是已事之所當理會應接者也。故曰須臾變滅。皆不足置胸中。若夫窮理修身云者。則自一身之中。以至萬物之理。推類而窮之。使之盡心知性。則是乃切己之工。明善而知至。修身而理順。豈非平常蓄德廣業之事耶。故曰究竟法。或者之以是疑禪家氣味者果誤矣。余嘗驗之於身。每因世變層生。或至憂懼不寐。自誦此一段。則憂懼消釋。是其稍有收效處。而窮理修身。則一無近似。緣是箇月功未力。是則惶汗處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宗人子惺 所喩。心說合理氣。理氣合之分釋。可見其用工之精微。然竊嘗見張子曰。合虛與氣。有性之名。合性與知覺。有心之名。而朱子只釋之以有這氣。便有這理。隨在這裏。未嘗有致疑。此合字。以別其主張之意。且栗翁之言曰。合性與氣而爲主宰於一身者。謂之心。華翁之言曰。心者合理與氣而立名也。單指理一邊。則本心也。此皆有據。而朱子又曰先有知覺之理。理未知覺。氣聚成形。理與氣合。便能知覺。尤翁亦曰。理與氣合。而其虛靈者心也。亦皆有據。而此所以合理氣。理氣合之間。似不必認以爲指趣相殊。蓋合是離合之合。但隨其文勢而或上或下者也。不當如敬以直內。以敬直內之大相逕庭者。一例看也。末段云喩。大抵得之。然但濂翁圖說。無極二五之合凝。是指元初生物而言。與此心條理氣合之說。義雖相近而恐不無毫釐之別。蘆翁答問理與氣合。恐不免語病等說。是指明德而言。明德是理也。超然無有氣質之累者也。今將此兩先生所論。生物與明德者移之。以混同幷觀於泛言一心字之論。則恐不免紛擾散漫。而或有條貫之不可尋也。蓋人之生也。有是性則有是形。有是形則有是心。心之爲物實主於身。而於形氣神理。無所不該。然特指理而言。則曰本心。道心明德。天君志帥。本源。本體之類。是也。不審雅意如何。恐或不然。更究以示。是企。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