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山色有無中이라고 쓴 遺墨 山色有無中이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抱書立天地라고 쓴 遺墨 抱書立天地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宋運會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宋運會가 초서로 쓴 遺墨 宋運會가 초서로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宋運會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宋運會가 초서로 쓴 遺墨 宋運會가 초서로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福康이라고 쓴 遺墨 福康이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壽福이라고 쓴 遺墨 壽福이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권6 卷之六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권7 卷之七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권8 卷之八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66년 류영구(柳永求) 등 편지(便紙)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丙午年九月日 高興郡過驛面道川里 萬宗齋 發起人 永求 等 23名 丙午年九月日 [柳]永求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6년에 만종재(萬宗齋) 발기인(發起人) 류영구(柳永求) 등 23명이 유허비(遺墟碑) 제막식(除幕式)과 만종재 보수에 참여를 요구하며 보낸 편지 1966년 9월에 만종재(萬宗齋) 발기인(發起人) 류영구(柳永求) 등 23명이 유허비(遺墟碑) 제막식(除幕式)과 만종재 보수에 참여를 요구하며 보낸 편지이다. 편지에 따르면 류씨 가문의 대동보를 중수하고 남은 금액으로 선조인 영밀공(英密公) 류청신(柳淸臣)의 유허비를 고흥 양류동(楊柳洞) 입구에 건립하여 선조의 무고를 밝힐 수 있었으니 자손 모두 기뻐할 일이다. 그러나 유허비의 완공을 계기로 자손들이 모이고자 했으나 경제난으로 인하여 불가능했고, 철문 또한 오랜 세월이 지나도록 열지 못하니 유감이라고 했다. 또 시중도(侍中島)의 만종재(萬宗齋)는 가까이 사는 자손들이 돌봐왔으나 이번 풍우에 훼손되었다며 유허비 제막식과 만종재 보수에 함께하여 유종의 미를 거두게 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제막일시는 1966년 음력 10월 13일이며 장소는 고흥군 풍양면 양류동이다. 이 문서는 국한문 혼용문 인쇄본으로 복본 6장이 함께 남아있다. 류청신의 본관은 고흥(高興)이며 본래 이름은 비(庇)이다. 공민왕 때 좌정승을 지낸 유탁(柳濯)의 할아버지이다. 장흥부(長興府) 고이부곡(高伊部曲)에서 출생했으며, 선대는 대대로 그곳의 부곡리(部曲吏)였다. 몽골어를 잘해 여러 차례 원나라에 사신으로 내왕했고 그 공으로 충렬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원나라 황제로부터 청신이라는 이름을 받아 개명하였다. 그의 유허비가 있던 고흥 양류동은 현재 전라남도 고흥군 풍양면 한동리이다. 만종재는 류승무(柳升茂)를 배향하기 위해 1872년에 만든 제각(祭閣)이다. 주 출입문 역할을 하는 백세문(百世門), 요사채 역할의 영수재(永修齋)와 모성재(慕誠齋), 향사를 지내는 본당인 만종재가 있으며, 중수 후 세운 비가 6기 존재한다. 만종재는 분방한 기질을 민중에 투사한 류몽인의 『어우야담(於于野談)』이 소장 보관되어 있던 곳이기도 하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계미년 양림(梁霖) 등 상서(上書) 초(抄)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癸未四月日 梁霖 等 34名 大宗伯 癸未四月日 梁霖 等 大宗伯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23년 4월 梁霖 等이 六忠祠와 관련하여 大宗伯[禮曹判書]과 巡相合下에게 올린 上書 抄 1823년 4월 進士 梁霖 等 전라도 유생 34명이 大宗伯[禮曹判書]과 巡相合下에게 올린 上書를 抄해 놓은 문서이다. 문서에 필사된 상서 2건은 全羅道 興陽縣에 있는 六忠祠와 관련된 내용이다. 첫 번째 문서는 예조판서에게 올린 상서로 문서의 내용에 따르면 六忠祠는 단종조 忠臣 忠剛公 宋侃을 모시는 곳이다. 충간공은 도진무사(都鎭撫使)로 호남을 순시하던 중 단종이 영월로 쫓겨갔다는 소식을 듣고 즉시 영월에 가서 복명하고, 관직을 버리고 고향 여산으로 돌아가 두문불출하다가 興陽에 은거하였다. 스스로 호를 서재(西齋)라고 하였으며, 충의와 높은 절개가 해와 별같이 빛났다. 또 충간공의 후손 중 임진•병자의 난에 殉烈한 자들이 많아 모두 추증되는 은전을 입었다. 이에 흥양에 사우인 六忠祠를 세워 忠剛公과 그 자손 중 충절을 세운 자를 제사 지낸지가 이미 여러 해가 지났다. 비록 아직 恩額을 받지는 못하였으나 一世之公議와 百代之名節과 관계되므로 事體 또한 매우 정중하다며 특별히 채납(採納)하시어 本曹에서 각도 祠院錄에 載錄을 명하여 사방의 사인들이 모두 흥양의 송씨 가문 육충신의 사당이 있음을 알 수 있도록 해 주기를 요청하고 있다. 이에 예조에서는 육충사는 아직 宣額하는 欠典이 아니므로 祠院錄에 마땅히 들이라고 하는 제사를 내렸다. 두 번째 문서는 巡相에게 올린 상서이다. 이 문서는 예조의 처분을 받은 이후에 올린 것이다. 문서 말미에 자신들이 예조에 載錄의 뜻을 알려 이미 특별히 허락하는 제사를 받았다고 하면서 이에 本營에서 祠院錄에 載錄해 주기를 요청하였다. 이에 전라감영에서는 사원록에 들이라는 제사를 내렸다. 六忠祠는 현재 고흥군 대서면 화산리에 자리한 재동서원을 이른다. 재동서원은 여산 송씨 충강공 송간을 주벽으로 송대립, 송심, 송순례, 송희립, 송건과 김시습 등 15위를 향사하는 곳이다. 본래 고흥 운곡사에 봉안되어 있던 宋侃에게 1793년 내려지자 1796년 宣諡를 위하여 송간의 유거지인 동강면 마륜리 서재동에 사우를 짓고 재동사라 하였다. 1801년 송건, 송순례, 송희립을 추배하고 육충사라 하였다. 1833년 송상보, 송득운, 효자 송석융을 추배하고 世忠祠라 하였고, 1846년 매월당 김시습을 합설배향하고, 1848년에 세충사에서 西洞祠로 개칭하였다. 1868년에 서원 서우 철폐령에 따라 훼철되었다가 1956년 지금의 자리에 다시 지으면서 재동서원(齋洞書院)이라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宗人子惺 天理人欲。善惡之相反。不啻若朔南之背馳。天淵之懸隔。則乙洙之疑其惡。不可謂非天理之說者。固當矣。然自元初而論。則只有此理而已。氣亦從此理中生出來。而凡有聲色貌象。有萬不同者。皆天理之所賦也。就人身上論。則凡所視聽思慮動作。亦天理之使然也。然所行順天理則皆善也。逆天理則皆惡也。順之逆之。惟在乎人爲之如何。而善惡之所以判分。然性道本同。而但氣稟有正不正之殊。此所謂氣質之性。雖曰氣質之性。性只是天命之理。故有此惡不可謂非天理之說。然是豈直謂天理之本然哉。但於其間。自有賓主宗孽之辨。而不可以毫釐差耳。蓋善是天命所賦之至理。惡是人欲所生之邪穢也。故聖賢每於善惡之幾。必以天理人欲分言之。欲使學者。分別得公私是非眞妄善惡。而汲汲焉用功。其要。在於存遏好惡之間而已。然則惡不可謂非天理者。旣非初學所可講究。亦非有益於進修之道也。至若天理之過不及云云。是亦似矣。然天理本無聲臭方所之可言。則豈有過不及之可論乎。所謂過不及者。特氣之所爲耳。故智愚所稟各異。而所行亦有差謬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宗人子惺 俯諭。敬義之說。可想其用功深潛。而隨地頭不同。以上得矣。但敬時闕義。一味昏憒等語。恐不襯貼。朱子雖有敬有死。敬有活之論。然此特言其主一無適而遇事不濟之以義。非謂其昏憒也。蓋敬是扶策人底物事。人有昏惰時纔敬。則此心便惺惺。然但能回顧而守於此不能向前而施於彼。則凡其動容周旋之間。必無畜德廣業。日可見之迹。故敬義只是一事。若偏廢。則各有病痛。賢已知之。不須張皇。而至若或人問答敬義兩體兩用之喩。實不知其語意之何如也。程子曰存養於未發之前則可。又曰善觀者。却於已發之際觀之。朱子謂此持敬之功。通貫乎動靜之際云。則存養者。使此仁義之心。無所偏倚。而渾然在中之謂也。善觀者。使此端倪之動。無過不及。而粲然中節之謂也。然所謂養觀者。非敬則不能。故朱子又曰敬義夾持。涵養省察。無所不用其戒愼恐懼。又曰敬便有義。義便有敬。靜則察其敬與不敬。動則察其義與不義。據此。則敬是統體工夫。義是制宜物事。何必紛然爲兩體兩用之說。終有違於一貫之訓乎。愚見如此。詳究以示。如何。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宗人子惺 人物性云云。所喩得之。蓋論萬物之一原則理同。觀萬物之異體則氣異。而理亦隨以萬殊。性只是理。情只是運用處。心之知覺。所以具此理而行此情者也。情之發而主於理。則爲善。主於形則爲不善。此所以有人心道心之別也。心是身之主宰。性是心之道理。雖有分限而其實一物也。然則七情之發。豈可以偏屬心。偏屬性乎。但發而中節。則是道心之發也。不中節則是人心之發也。於其未發之中。見其感通之體。於其已發之和。見其寂然之用。此所以體用之一源。流行而不息者也。正心者。知至意誠而敬以直內之謂也。以其用功而言。不動心者。道明德立而無所疑懼之謂也。以其臨事而言。在是在玆之在。存是操存之存。存之則在在則是存。初無可分別。而但此心之在與不在。惟在乎人之存之與不存。故章句。特下存字。致意丁寧。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宗人子惺 所謂兢燮困言。可駭可懼。猥言仁義。而卒之驅而歸之功利。其反聖賢戕仁義。孰甚於此哉。當有儒家公議。今不暇辨。至若所謂繼孔子。而不可改者朱子也云者。尤可笑。古往今來。凡有血氣者。已不待渠言。而莫不知孔朱之爲大聖賢而尊慕之。今復假借言之何哉。言之而反其道亦何哉。朱子親筆書之曰。正誼不謀利。明道不計功。尊王黜覇。內諸夏外夷狄。是春秋大旨也云。則此義百世以俟而不惑者也。昔我勉翁先生。擧此義行此道。欲其寡過。猶恐不能。至於丙子斥和。丙午擧義尤宣著。雖尺童皆知。渠獨不聞不見耶。奈之何知尊孔朱。而至於學其道行其義底大君子。則詆毁之。如所謂元軾集序者乎。然則不尊其道。而只尊其名耶。若其又引子瞻所謂。非德之威。雖猛而人不畏。非德之明。雖察而人不服。而曰善哉其言。有見道要。若使子瞻眞見道要。則亦何做出打破敬字之說。終得罪於聖賢之門耶。然則兢燮之言仁義言孔朱。與子瞻之言德。千載一轍。而欲與之同歸耶。然子瞻之斥程子也。猶直言打破敬字。而未有如松蘿之說旣游且巧也。而如恕栗繼嚞輩之亦所未到也。夫游辭巧言。吾夫子之所惡。而朱子所謂小人之極。旣定於內。則文章事業之際。尤所謂粲然者亦此也。余知此輩之不足傷日月。而不欲言之。然今吾賢之辨論。似不得其實狀。故畧言之俯示。重翁所謂若眞知而言。則謂心卽理可。謂心卽氣可。謂心合理氣可。不知而言。則心卽理者。爲本心之歸。心卽氣者。爲主氣之歸。心合理氣者。帥役賓主無分也云者。非眞知心之全體。乃能如是明白乎。吾賢所辨。亦符合。而詳密甚善。但虛靈之專以氣言者不可曉。朱子論心。每提擧虛靈知覺神明。而又釋之曰神是理之乘氣而出入者。又曰理與氣合。便能知覺。又曰方寸之間。虛靈洞澈。又曰理內別虛靈。又合人心道心而言之曰。虛靈知覺一而已矣。而或生於形氣。或原於性命。是皆不離乎理與氣而言。然其主意命脈。未嘗不歸重於理也。未知如何。更究示之。是望。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宗人子惺 俯示。艮公所謂性師心弟之說。若甚可駭。若如此則心性判爲二物。而有似乎此那相形。烏乎可哉。程子曰心也性也一理也。自稟受而言。謂之性。自存諸人而言。謂之心。張子曰合虛與氣有性之名。合性與知覺有心之名。是皆心性雖有界分。而其實一理也。且朱夫子之言曰。心者性情之主。又曰性是心之道理。又曰心者。乃夫虛靈知覺之性。又曰心與理爲一者。不是理在面前。別爲一物。理便在心之中。是皆心具衆理而一而不二者也。謂艮公不讀是書則非。只人將不信。吾亦不信。然則胡爲杜撰自主。分心性屬之師弟。至有以無形之心性。有若兩物之相形耶。蓋緣心專以主氣看而致有此誤也。至若指斥華翁之言有曰。祖襲陸王。譏斥栗尤云者。其所謂誣大禹以湮洪水。毁孟子以言性惡者也。姑擧其一二言之。所謂非氣則不能發。非理則無所發。與夫七情不如四端之粹。四端不如七情之全。是皆栗翁語也。而華翁謂之不易之定論。所謂心有以氣言者。有以理言者。是乃尤翁語也。而華翁謂之論心。八字打開。此是譏斥之辭耶。又答金重菴之問曰。吾若對陸王二氏。則苦口說心卽氣也。此是祖襲之語耶。厮役亦將不信。況學者乎。心專以氣看之弊。乃至於此耶。因此垂問。畧貢愚說。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孟子。因齊王之言好勇而對。曰王請大之。如下文所云。文武之勇也。齊王。止是戰國之時君。不能行文武之事。人人皆覩。孟子反復言之。何也。 尹京喆 孟子。生於戰國之時。懼王道之墜失。悶生民之汨溺。汲汲於救世。歷聘列國。及見齊王。王以好勇之病。直告不隱。此足以爲善。故懲小勇勸大勇。以安天下。是孟子之所欲也。後於好貨好色好世俗之樂。亦一例抑揚言之。及知其道之不行然後。遂致仕。而猶三宿出畫。曰王庶幾改之。予曰望之。齊王之王不王。在改與不改耳。孟子言性善。則必稱堯舜。論征伐。則必言湯武。皆存天理遏人欲而已。時君不能。亦命也夫。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朱子策問。曰忠信。所以進德。而夫子之所以敎。與夫曾子之所以省其身。亦無不曰忠信云者。而夫子。又斥言必信。行必果者。爲小人。孟子亦謂言不必信。行不必果。二端異焉。然則學者將何所蹈而可。【止】今未考所對。而妄嘗理會。多有窒礙。敢問何如。不失聖人設敎之義。又合朱子設問之意也。 曺運承 此當以論孟集註之意求之。言必信行必果。硜硜然小人哉。抑亦可以爲次云者。則徒守信果而識量淺狹。昧於義理。不能制宜者也。然而置之士之末者。猶取其信果一節。此小人之信果也。大人言不必信。行不必果。惟義所在云者。則不必主乎信果。而惟義是主。則遇事酬物。無不合宜。而信果亦在其中。此大人之信果也。大抵忠信云者。則是箇眞實無妄底道理。而忠是信之本。信是忠之發。必主乎此然後。可以盡吾仁義禮智之性。而行乎君臣父子夫婦長幼朋友之間。無不實矣。此夫子之所以敎人。曾子之所以省身。良由是也。豈如硜硜者之不識義理。而徒守小信乎哉。故孟子亦有惟義所在之語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莞溪記 天冠之北。有莞爾峰。峰下有溪。溪水淸冷可愛。余同門友。金斯文贊炯。隱居行義於其中。如蕫邵南之於桐柏淮淝之間。牓其居室曰莞溪。而滅影此山。濯纓此水。只求天知不求人知。蓋碩人。考槃永矢之意也。然當此西水赤日之慘禍。宗社顚覆。人鬼混雜。忍何可言。夫愛君憂國。尊華攘夷。是人之秉彛。孰不欲講春秋之義。順天地之心。而恢復鷄林舊疆。澡雪馬島深讎。使之快於心。合於義也。然大廈非一木可撑。洪流非寸堤可防。所以隱忍含慟。獨善其身。而爲杜門自靖計者。亦豈丈夫初心也哉。昔吾紫陽夫子。築室於雲谷。而記之曰山釣水。養性讀書。彈琴鼓缶。以詠先王之風。亦足以樂而忘死。而誠未暇云者。雖托辭於嫁娶未畢。其實欲其致君澤民。而掃戎虜復中原。克明大義理於天下萬世之意也。然今大勢已傾。無復可爲。吾子抱道長往。朝耕夜讀。樵山漁水。孝且慈。如邵南而止。嗚呼。昌黎氏。謂無其儔。而經千幾百年。吾子與之儔。亦豈偶爾哉。若其泉石之窈窕。林薄之岑鬱。曾未之目焉。難以懸想臆度。而强爲之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藍洞僦舍記 赤馬夏晩。余病南冠。轎載而歸。宛轉床第已數稔。而但居室偏狹。朋友或見訪。其迎接亦不便適。以是苦勞。嘗試謂一社友曰。得一幽僻處。則可以安偃息。其友卽與村工。鑿書室東北。榮二其窓牗。以候晦明焉。不二日而成。余賀其勤。償其費。而入處焉。蓋室之廣袤不過斗大。然處地爽塏。可以捿止。松篁槿榴。自成藩籬。而惟見山雀時啄庭苔。巖雲坌入屋角。而都沒了狂紛之喧耳。塵事之縈身。可以符吾杜門斂迹之素志也。且晝焉夜焉。僉彦羣蒙。或讀小學。或講庸學語孟。隔窓以聽。無非天理之至純。人心之至正。聲入心爽。足以怡神養性。且往往質疑問難。亦不無蓬麻之托焉。架貯若干載籍。時又繙閱玩索。而至其肯綮切要處。未嘗不覽過成誦。然不能出聲。而但潛繹黙識。顧其病久。而力所未至也。人或來問曰。冬候比峭。得無甚寒。余曰霜凍雪凝。固天時也。非人可憂。而但六陰閉塞。九野凓冽。若吾儕之後凋。與松柏相似。則亦幸矣。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