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 연재송선생기념사업추진회(淵齋宋先生紀念事業推進會) 망기(望記)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사회-조직/운영-망기 戊午年三月五日 淵齋宋先生紀念事業推進會 柳大錫 戊午年三月五日 淵齋宋先生紀念事業推進會 柳大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8년 3월 5일에 연재송선생기념사업추진회(淵齋宋先生紀念事業推進會)에서 류대석(柳大錫)에게 보낸 망기(望記). 1978년 3월 5일에 연재송선생기념사업추진회(淵齋宋先生紀念事業推進會)에서 류대석(柳大錫)에게 보낸 망기(望記)이다. 류대석을 고흥군(高興郡) 유사(有司)로 임명하는 내용이다. 망기는 어느 한 직책에 합당한 인물을 천거할 때 사용하는 문서로 서두에 망(望) 혹은 천망(薦望)을 기입하였다. 망첩(望帖) 또는 망단자(望單子)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한 직책에 세 사람을 후보자로 열거하는 3 망이 원칙이었으나, 한 사람 혹은 여러 사람을 추천하기도 하였다. 송병선(宋秉璿)은 1836년(헌종 2)년에 태어났으며 1905년(고종 42) 음력 12월 30일에 졸하였다. 자(字)는 화옥(華玉)이고, 호(號)는 동방일사(東方一士), 연재(淵齋)이다. 시호는 문충(文忠)이고 본관은 은진(恩津: 지금의 충청남도 논산)이다. 대전시 회덕(懷德) 출생. 송시열(宋時烈)의 9세손이며, 송면수(宋勉洙)의 맏아들로, 참의 송달수(宋達洙)와 송근수(宋近洙)의 종질이며, 송병순(宋秉珣)의 형이다. 큰아버지인 송달수에게서 송병순과 함께 성리학과 예학을 배웠다. 조광조(趙光祖)·이황(李滉)·이이(李珥)·김장생(金長生)·송시열 등 대선비의 문집에서 좋은 글귀를 뽑아서, 『근사록(近思錄)』과 같은 범례를 좇아 책을 지어 『근사속록(近思續錄)』이라 하였다. 그밖의 저서로도 『연재집(淵齋集)』과 『근사속록(近思續錄)』, 『패동연원록(浿東淵源錄)』, 『무계만집(武溪謾集)』, 『동감강목(東鑑綱目)』 등 53권이 있다. 류대석은 1900년(광무 4) 8월 18일에 태어났으며 몰년은 알 수 없다. 초명(初名)은 기석(基錫)이다. 자(字)는 계언(桂彥)이고, 호(號)는 송은(松隱)이다. 부인은 박영진(朴璟鎭)의 딸인 진원박씨(珍原朴氏)이다. 유사는 유사 중 그 우두머리를 '도유사(都有司)'라 하고 경리를 맡은 유사를 '사화유사(司貨有司)', 연락을 맡은 유사를 '전명유사(傳命有司)', 문서작성을 맡은 유사를 '사서유사(司書有司)'라고 불렀다. 그러나 규모가 작은 경우에는 한 사람이 유사라는 이름으로 모든 일을 처리하였다. 장례·출간·건물 중수 등 단기간에 처리를 요하는 일시적인 유사는 그 예정된 일이 완료될 때까지 회의의 결정사항을 처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