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守라고 쓴 遺墨 守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1課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厥이라고 쓴 遺墨 厥이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明月東西溪라고 쓴 遺墨 明月東西溪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白雲前後嶺이라고 쓴 遺墨 白雲前後嶺이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山樓楓早落라고 쓴 遺墨 山樓楓早落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1課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德이라고 쓴 遺墨 德이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德이라고 쓴 遺墨 德이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78년 연재송선생기념사업추진회(淵齋宋先生紀念事業推進會) 망기(望記)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사회-조직/운영-망기 戊午年三月五日 淵齋宋先生紀念事業推進會 柳大錫 戊午年三月五日 淵齋宋先生紀念事業推進會 柳大錫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8년 3월 5일에 연재송선생기념사업추진회(淵齋宋先生紀念事業推進會)에서 류대석(柳大錫)에게 보낸 망기(望記). 1978년 3월 5일에 연재송선생기념사업추진회(淵齋宋先生紀念事業推進會)에서 류대석(柳大錫)에게 보낸 망기(望記)이다. 류대석을 고흥군(高興郡) 유사(有司)로 임명하는 내용이다. 망기는 어느 한 직책에 합당한 인물을 천거할 때 사용하는 문서로 서두에 망(望) 혹은 천망(薦望)을 기입하였다. 망첩(望帖) 또는 망단자(望單子)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한 직책에 세 사람을 후보자로 열거하는 3 망이 원칙이었으나, 한 사람 혹은 여러 사람을 추천하기도 하였다. 송병선(宋秉璿)은 1836년(헌종 2)년에 태어났으며 1905년(고종 42) 음력 12월 30일에 졸하였다. 자(字)는 화옥(華玉)이고, 호(號)는 동방일사(東方一士), 연재(淵齋)이다. 시호는 문충(文忠)이고 본관은 은진(恩津: 지금의 충청남도 논산)이다. 대전시 회덕(懷德) 출생. 송시열(宋時烈)의 9세손이며, 송면수(宋勉洙)의 맏아들로, 참의 송달수(宋達洙)와 송근수(宋近洙)의 종질이며, 송병순(宋秉珣)의 형이다. 큰아버지인 송달수에게서 송병순과 함께 성리학과 예학을 배웠다. 조광조(趙光祖)·이황(李滉)·이이(李珥)·김장생(金長生)·송시열 등 대선비의 문집에서 좋은 글귀를 뽑아서, 『근사록(近思錄)』과 같은 범례를 좇아 책을 지어 『근사속록(近思續錄)』이라 하였다. 그밖의 저서로도 『연재집(淵齋集)』과 『근사속록(近思續錄)』, 『패동연원록(浿東淵源錄)』, 『무계만집(武溪謾集)』, 『동감강목(東鑑綱目)』 등 53권이 있다. 류대석은 1900년(광무 4) 8월 18일에 태어났으며 몰년은 알 수 없다. 초명(初名)은 기석(基錫)이다. 자(字)는 계언(桂彥)이고, 호(號)는 송은(松隱)이다. 부인은 박영진(朴璟鎭)의 딸인 진원박씨(珍原朴氏)이다. 유사는 유사 중 그 우두머리를 '도유사(都有司)'라 하고 경리를 맡은 유사를 '사화유사(司貨有司)', 연락을 맡은 유사를 '전명유사(傳命有司)', 문서작성을 맡은 유사를 '사서유사(司書有司)'라고 불렀다. 그러나 규모가 작은 경우에는 한 사람이 유사라는 이름으로 모든 일을 처리하였다. 장례·출간·건물 중수 등 단기간에 처리를 요하는 일시적인 유사는 그 예정된 일이 완료될 때까지 회의의 결정사항을 처리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81년 고흥향교(高興鄕校) 망기(望記)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사회-조직/운영-망기 辛酉正月 日 高興鄕校 幼學 柳濟洪 辛酉正月 日 高興鄕校 柳濟洪 高興鄕校之印(둥근사각, 5.7×5.2)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81년 1월에 고흥향교(高興鄕校)에서 류제홍(柳濟洪)에게 보낸 망기(望記). 1981년 1월에 고흥향교(高興鄕校)에서 류제홍(柳濟洪)에게 보낸 망기(望記)이다. 류제홍을 석전제(釋奠祭) 집사(執事)로 임명하는 내용이다. 망기는 어느 한 직책에 합당한 인물을 천거할 때 사용하는 문서로 서두에 망(望) 혹은 천망(薦望)을 기입하였다. 망첩(望帖) 또는 망단자(望單子)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한 직책에 세 사람을 후보자로 열거하는 3 망이 원칙이었으나, 한 사람 혹은 여러 사람을 추천하기도 하였다. 고흥향교는 전라남도 고흥군 고흥읍에 있는 향교이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8호로 지정되었다. 1441년(세종 23)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配享)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고흥현 서문(西門) 밖에 창건되었다. 정유재란 때 병화로 소실되었다가 1695년 유생 강익무(姜翊武)·치무(致武) 형제가 향교의 재건을 상소하고 신규(申樛)·송만징(宋萬澄) 등이 발의하여 1700년 교궁(校宮)을 중건하였다. 광복 뒤 몇 차례의 보수를 거쳤으며 1955년 홍살문을 세웠다. 류제홍은 1926년 8월 4일에 태어났다. 자(字)는 송천(松泉)이고 다른 이름은 제구(濟九)이다. 부인은 송영기(宋永基)의 딸 남양송씨(南陽宋氏)이다. 석전제는 석채(釋菜), 상정제(上丁祭), 정제(丁祭)라고도 한다. 공자(孔子)를 모신 문묘(文廟)에서 선성(先聖)·선사(先師)에게 지내는 제사이다. 음력 2월과 8월의 상정일(上丁日)에 행해졌으며, 이로 인해 상정제(上丁祭)라고도 한다. 중국에서는 주대(周代)이래 순(舜)·우(禹)·탕(湯)·문왕(文王)등 여러 성인에게 석전을 올렸으며, 한(漢)나라 이후 유교(儒敎)를 숭상하면서 동자를 제사하는 의식으로 굳어졌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소지(所志) 초(草)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관에 소지를 올리기 전 미리 작성한 초록 미상시기에 관에 소지를 올리기 전에 미리 작성한 초록으로, 대대로 물려받은 땅에 세금이 있지 않아 이것을 다시 거둬들이려고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소지(所志) 초(草)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관에 소지를 올리기 전 미리 작성한 소지(所志)의 초(草) 두원면(豆原面) 내송리 후록에 있는 증 동몽교관(贈 童蒙敎官) 공의 묘에 8월 20일 밤에 투장한 투장주 신용구(申龍求)를 처벌해달라는 내용이다. 투장한 신용구는 관직을 산 사족이며 9월 18일 투장한 것에 이유를 힐문하여 묻고 치표(置表;증명서)를 받았으나 약속을 이행하지 않아 관에 고한다는 내용이 적혀있다. 여기서 적혀있는 동몽교관은 류형호(柳馨浩, 1796~1822)를 뜻하며 자는 향오(香五), 호는 가암(可菴)이다. 어릴 때부터 성현들의 이치를 깨달았으며 주역과 팔괘의 기운을 총론하여 30여설의 천지전설의 규문예범을 총람한 가암집(可菴集)이 남아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갑술년 사수(社首) 첩(帖)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甲戌十月初二日 社首 倉差 甲戌十月初二日 [1874] 社首 倉差 社首[押] ▣…▣ 3顆(7.0×7.0)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술년에 面社倉 社首가 倉差에게 내린 첩. 이 문서는 갑술년 10월 초2일에 사환창의 社首가 倉差에게 내린 下帖이다. 이 하첩의 작성시기는 갑술년으로만 기재되어 있어 정확한 연대를 알 수 없다. 다만 1866년 이후 사창제를 다시 실시하고 이를 사환제로 불렀던 것과 문서의 내용으로 볼 때 1874년으로 추정된다. 문서의 내용은 社還과 관련된 일로 啓의 사항을 社首가 倉差에게 다시 통보하고 있다. 錢은 전례에 의거하여 분배하고 各里에 일일이 통지하며, 分排錢은 땅에 미루어 받고, 靑竹은 금번 초8일에 일제히 와서 바치도록 통지하며, 還赦는 각 마을마다 1石씩 開倉日에 미쳐 開納하게 하고 色吏와 石子가 관령에 의거하여 받으라는 지시를 내렸다. 문서의 말미에는 社首의 着押이 있고, 본문에 印이 3顆가 찍혀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경오년 약대(若大) 등 고목(告目) 고문서-첩관통보류-고목 개인-생활-고목 庚午二月初八日 殿直 若大 等 2名 柳生員 庚午二月初八日 若大 柳生員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오년에 전직(殿直) 약대(若大) 등이 유생원(柳生員)에게 향교 임원 부표 상황을 알리는 고목(告目). 경오년 2월 초8일에 전직(殿直) 약대(若大)와 고직(庫直) 광옥(光玉)이 호산(虎山)에 사는 유생원(柳生員)에게 향교 임원 부표 상황을 알리기 위해 보낸 고목(告目)이다. 이 고목은 향교 임원인 장의(掌議)와 색장(色掌)의 부표 상황을 알린 것으로 내용을 보면 당장댁(堂長宅) 서방(書房)님이 향교로 행차하시어 생원님께 색장을 부표(付標)하고, 장의(掌議)는 안동(鴈洞)의 순천 정생원(丁生員), 마륜(馬輪) 사촌(社村)의 신생원(申生員)에게 각각 부표하였으며, 나머지 색장 1원(員)은 남양(南陽) 신정(新亭)의 송생원(宋生員)에게 부표하였음을 알리고 있다. 고목은 관아에 속한 서리 및 지방관청의 향리가 상급자에게 공적인 일을 알리거나 문안을 할 때 간략히 작성하여 올리는 문서이다.○ 원문텍스트텍스트 告目 右伏告事段堂長宅書房主行次 校宮敎是生員主前色掌 付標敎是遣掌議一員鴈洞順天丁生員付標敎是遣掌議 一員馬輪社村申生員付標敎是遣色掌一員南陽新亭 宋生員付標敎是緣由詮次告課爲白臥乎事 庚午二月初八日 殿直若大 庫直光玉 虎山 柳生員主前 鴈洞宅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農軒記 先王之世。民有四焉。而士農居先。何也。曰非士則無以明倫。而天理將晦盲矣。非農則無以致稼穡。而民生將凍餒矣。然則二者廢一。而未有能家之爲。國之爲者也。就二者論之。士雖最先。若歲歉荒。則又不可不先農而後敎也。此唐虞之所以使稷樹五穀而後。使契敎以人倫者也。治國固然。理家亦然。鳳陽有號農軒。朴君仲八者。素貧。行貧而不憚勞力。耕菑畬稻粱。實而食之。歲或有豐歉。則壅飱饘粥。隨寓而應。處之常裕如然。知農不過養口體。而非講道。則無以明天理修人道。故敎子讀書。俾不一息放過。一念差忽。今炳昭之來。目貌耳聲。可知其爲法拂。而尤可驗。夫泉芝有源根矣。夫通古今而無成壞者理也。隨形氣而有始終者心也。心得是理於天。而善始善終者也。保有是心。不爲邪世所亂者。蓋鮮其人。而惟農軒之躬課子。以士農爲政於一家者。可謂盡其心。而亦可見素位之行也夫。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湛樂亭記 余自南冠。病臥山中。托迹蘭溪白雲。而與世隔絶。不相聞知。蓋有年矣。惟若干友生。相不棄置。或相往來。張君昌鉉。卽其一也。一日訪余弊廬。荐以書謁。曰吾大父諱成烈。從大父諱管烈號。曰晩翠。曰晩悟也。早喪怙恃。兄弟相依。各盡友恭。而曰吾之身體髮膚。同受父母。少失和氣。是背親。惟宜兄宜弟。乃可以盡天倫。以是相勉。自少至老。雖一毫未嘗乖剌行。必鴻鴈有序。難必鶺鴒相應。綽綽而裕。怡怡而樂。晩又協力。搆亭于其先媲楸下。朝晡拜墓。歸卽棲息于此。招子若孫。講誦不怠。是其原委。願有一言。而闡揚之。余夙聞其懿行美德。而未嘗不稱賞。今詳來紙。又加嚮往。然余素乏詞。今又病昏甚。何足以副其萬一耶。嗚呼。衛尉盡歡。雖無大官之供具。玉山至樂。屢煩眞人之咨訪。然則朝廷優禮。尙不暇論。而但蒼顔白髮。徜徉乎泉石間。暫不相離。盡其翕好深愛者。可以警勵當世。而雖百世。聞風以興起。亦可也。矧其子孫振繩。務相雍睦。講學焉。序倫焉。必於斯亭。而衣冠濟濟。昭穆秩秩。猗歟盛哉。襲其典刑。而不墜也夫。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石松李公墓表 公諱斗馨。字汝實。自號曰石松。公山人。恭肅公諱明德。受業牧隱。學邃才良。事我太祖。有功業。是爲中祖。名碩相承。至鞾成均生員。師事安牛山。當丙子虜警。從先生奮義。於公五世祖。高祖諱東榮。曾祖諱萬龍。祖諱鵬齊。考諱處訥。俱隱德。妣綾城具氏。擧三男一女。公其第二房。前妣光山李氏也。公生于正宗壬子。幼而氣魄雋異。才識穎悟。不喜與羣兒遊戱。十二三歲。受讀經傳。深究蘊義。先生長者。期以遠大。十五失怙。二十失兄。三十七喪耦。二十年間。奇禍荐臻。家業剝落。由此而工夫。畧有間斷。然心志旣篤。存養自固。常以心無邪思妄念。耳不聽謠聲。目不視亂色。手足之無妄動。爲平素箴警。以故。隣里效則之。鄕黨稱譽之。嘗戒諸子曰。吾家靑氈。只守儉約而已。爾輩毋或怠忽。以致敗壞也云。圽于乙丑十二月七日。享年七十四。葬于山赤洞。生員公兆下。卯坐之原。配永平文氏義鎭女。先公二年而生。先公三十三年而終。初葬寒泉坊墨房洞。後穿公墓而合窆。擧四男。曰文述曰文一曰文轍曰文伯。文述二男。長允茂次英。文一二男。長根茂次鳳茂。文轍二男。長正茂次學茂。文伯一男。甲茂。允茂二男。長秉福次秉玉。秉玉系甲茂后。英四男。長秉五。次秉模次秉直次秉千。根茂一男二女。男秉烈。女長適鄭淳洪次適文煥。正茂三男二女。男長秉彛次秉心次秉敎。秉心。出學茂后。女長適朴致洪。次適鄭淳達。噫。天胡豐公之賦而嗇公之命也。死喪之威。艱虞之會。竟未究志業而充大之者爲可惜。然壽近八耋而考終。脚下子姓。又繼繼振振。亦不可不謂之餉。公以綿遠之福而將未艾於無窮也。公曾孫秉五。狀公遺跡。請余以不朽之托。余本固陋淟涊。安敢膺是役也。然其在相知。亦難終辭。敢爲之敍次如右云。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松西處士徐公墓誌銘 松西處士徐公。諱儆舊。名學洙。字益賢。松西其號也。利川人。高麗末。有諱鱗。爲永平監務。因降鄕。入我朝。有諱暈。都丞旨。生諱顥。參判。生諱孝。理署令。生諱順東。號安安。贈參判。於公爲遠祖。高祖諱聖權。贈嘉善大夫。曾祖諱宅祚。贈左丞旨。祖諱世哲。號謙窩。不仕。考諱珏。號拙軒。文行著世。妣密陽孫氏碩權女。閨範備摯。純廟甲申。生公于南平鐵川里第。生而嶷然。才氣捷敏。又有記性。受學于家庭。課日有程。夙宵勤劬。無少放忽。一主於誠。父母甚愛之。戊午丁外艱。哀毁踰制。且極力求山。適夜夢到一處。有精舍爽豁。父母外內對坐。和氣融溢。乃與堪輿客。相議安葬。後丁內艱因合附。人皆稱吉岡。而尤誦其誠孝攸感。平生家計。工於文章。識知周洽。時文六體。各盡其規。場屋有聲。屢中鄕解。時乎不與。連屈會圍。輒誦范公。靑雲難力致之句。遂廢功令文。捿息林樊。日以獎進生徒爲事。於凡五經五書及百家語。文義了然。授人無滯。隨才導訹。河鼴充量。時或山樓夜月。江堤春風。輒携多少賓朋。觴詠暢敍。俾盡幽賞之趣。平居謙牧。澹然自持。不以毁譽得喪動情。且夫講論答問之外。未嘗出一語。爲閒酬酢。所與遊。皆知名之士。身不近放浪之人。足不到權貴之門。安貧固窮。處之夷然。到白首如一日。嘗戒子姪曰。處事接物。必當於理。行己御家。勤且儉而已。所可盡心者。惟是學問一事。又曰爲善天必報之以福。爲惡天必報之以禍。禍福皆自取也。平生言行類如此。甲申八月十四日考終。葬于南平德谷坊馬洞案山枕丁原。配河東鄭氏其父興得。貞淑有範。多內助焉。後公一年而圽。綾州虎巖面牛峙後麓。舞鶴嶝向辛原。卽其藏也。有一男一女。男啓進。女適豐山洪承憲。啓進二男。學龜學均。學龜三男。元煥亨煥利煥。學均三男。仁煥義煥禮煥。嗚呼。古之學校。選擧法廢之久矣。自隋唐來取士。專以文詞。至宋程朱時。欲復不得。我國。猶踵襲其弊。大小科制。專尙時文。然有司多不公。其能於科文。而不得售如公者。蓋亦多矣。早使朝著。克復學校舊制。以公之才之行。豈終老林下哉。惜乎。公之孫學龜。以同門友梁公在海。狀公遺事。而來請余銘窾。屢辭不獲。遂爲之銘曰。貴兮富兮。彼何人斯。才兮德兮。公實有之。貴而不德。窮而有才。惟是二者。孰長孰短。我其銘石。以諗來人。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落花春載酒라고 쓴 遺墨 落花春載酒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遺墨 遺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화(書畵)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修人事待天命이라고 쓴 遺墨 修人事待天命이라고 쓴 遺墨.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