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題醉梅愛竹堂【堂是二間。以醉梅愛竹分稱。在咸平梅谷。尹氏諸族。聚讀于此。主人尹武炳。】 茆屋西東白日明。綱常賴有誦絃聲。操能介石兼三益。運極濁河待一淸。愛爾閒庭君子樹。任他古舍美人迎。托於梅竹門深杜。物我同情俱不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尹亨三 曩也文恒便。惠墨讀之。怳若烏石不遐。海桑之說。聞雖熟而見未曾數前㥘塵。無乃是耶。年來安土重遷。寔出於庸愚拙計。而終犯聖人擇不處仁之戒。咎實在我。目今數三家。家眷各分四散。中心火熱。亂離中事。本如是耶。又未知其地理之如何。人和之如何。是所關慮處也然吉凶禍福榮枯盛衰終不可怨天尤人。而只可反己。亦可歸之於命而已。仰惟履玆。味道啓處。棣樂鄭重。弟經燹餘魂。尙難收斂。悶悶。庭菊數本。幸見棄於人而猶存。可與共晩年趣味。而一本分送。聊符宿年頫敎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尹亨三 轉眄之頃。歲將窮矣。追念嚮枉。感感無比。伏惟道養有相。棣度增莊。噫。此叔季。萬丈醜塵。揚于宇宙之間。而獨有九節。崔嵬揷雲。不使一點汚穢。往來其間。人謂山高洞邃致然。余曰否否以。其碩人邁軸。而做得此泰平好氣像也。爲之仰賀萬千。弟狀。破牕頹壁。上雨旁風。日受其損。豈眞屋子能然。自顧迂疎。學業日荒世。念日攻。致此蕭散。每中夜起坐。耿耿不寐。無以定懷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白子行【景寅】 承拜崇函。擎讀欣感。自念愚下之質。猥不度量。出入大人君子之門。而浩穰博大。不敢涯涘。然非謂其欲學方領大袖也。及夫國破樑摧。深讎極恥。無地可雪。而隱忍伏山。甘與草木同腐。未前妄竊有意於古人爲己之學。而探討服行。爲究竟法。然所以朴陋荒淺。加之病朽衰耄。冥然一土木偶耳。雖在知舊。以爲若將浼焉。而不引袂旋走者。蓋鮮矣。令座以盛年壯氣。發軔進塗。旣有聞矣。而乃謙屈以禮。畀之手書。則儻誤聽於游談之末。而然耶。矧又獎借失當。不啻若木偶華袞。惶汗極矣。而又懼夫令座。所以取友輔仁之不審。而將貽笑於旁人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崔善長【元植】 往年珍函。奚啻欣感。仰詢侍奉餘學文自力進進不已耶。莫以世亂自沮。而愈讀已讀。愈究未究。勇往直前。以舜何予何。爲立志如何。往古來今。有不勉學而能立揚者哉。誼同一室。百世難渝。玆忘舍已芸人之誚。敢煩紙面。愧懼也已。達病朽已久。眼前收拾。百不逮人。外何云喩。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張子維 俯詢謹領。葬後則祖先之祭必不廢。而喪人。當爲祭主。但無祝單獻。不受胙可也。朱子喪中。以墨衰行薦于廟。又謂當使人鋪排酒食之物。而主祭者。去拜而已。栗翁謂使服輕者行之。此當考據參酌。若其末段。終喪以下云云。無是理。不必致疑。如何。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張子維 示諭。閉邪存誠。是學者第一義。大抵誠字。以道言之。則是實有之理。以人言之。則是實然之心。而其維持主宰。不外乎一敬字。敬則便扶策得此心起而萬理俱在。凡所視聽言動。一從此理上做去。則存養自固。而外邪無由而入矣。然不眞知公私善惡之辨而精一之。則所謂存誠者。未免爲虛僞。須愼思明辨。乃可以下手矣。如何。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族姪丞浩 沈病索居。雖汎汎知面。未嘗不有時想象。矧爾族戚間。情尤密邇者乎。問字忽至。足以慰懷。而又辭意淸雅。其所平日喫着。烏可誣也。大抵學問之道。在己而不在人。則不可頃刻間斷。日取聖賢言語。體認玩索。勇於克己。則所謂鄙萌云者。自然退聽。而不得以奪吾心之本然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族孫允明【允植】 夫才質之美。世不易得。雖得之。其不爲貨利波蕩所汨溺。而能屈首於眞實平淡之域者。蓋鮮其人矣。今詳來書。不廢簡冊。想其志不篤。不能如是也。可爲欣賀。轉眄之頃。歲旣易矣。爲問湯患。近或少減。而侍事安衛耶。族拙宿疴。已知其就幽後可去。無足煩言。而但家憂侵凌。是則苦悶。楮末云云。所讀之書。無非成己成物之事。卽此而求之。必有自得底道理。而若其責效之淺深。要不出用力之勤慢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三從孫亨明【濟亮】 大抵思傳。憂道之作也。朱子旣著章句。又從而序之。以明人心道心。精一執中之義。反復辨論。而曰似有以得其要領者。是豈非爲學要領耶。若曰是書也。下學處少。上達處多。而恐有初學凌躐之患。則向所讀小大學及語孟。是皆下學處。而要不出明此心之妙也。況集註也。章句也。發明微辭奧旨。旣備且詳。若捨此而別求要領。則恐生支蔓矣。雖先輩之言。或有未契朱子意者。姑置之。只將朱子語熟看得透。則爲學門路自得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張禹範【基洪】 枉賁在春。而惠書又以冬來。奚取於老朽。而若是之繾綣耶。良荷厚意。而況遣辭縷縷。無非聖賢敎訓中做出來。尤可驗用功勤嚴。爲之奉賀。謹審雪寒。起居益臻莊重。實副願聞。達病與衰甚。神精飄忽。事事昏惑。只愧軀殼之苟存耳。先師影宇。雖云經紀。力量短拙。告成無期。旣悶且惶。向所敎學南之額。未詳其取義。或可俯示耶。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從姪善一【載轍】 每從病枕。算來族戚知舊之落落如晨星。而可與語者又絶少。以是常歉然。今見來示。尤復欣豁。然而書尾寓意。有似乎逐貧送窮者然。此似不然。士固是窮者也。隨其見在而行之。不可外慕。子路之負米邵南之朝。自有其人。則范公之麥舟。豈可念到乎。古語云。與人者常驕人。受於人者常畏人。人雖不驕。我豈不畏乎。與其有所受而畏之。不若無所受而心常淸虛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갑진년 정재경(鄭在京) 수표(手標) 고문서-증빙류-수표 경제-회계/금융-수표 甲辰四月十四日 鄭在京 甲辰四月十四日 鄭在京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진년 鄭在京이 작성해 준 手標. 갑진년 4월 1일에 光州 收錢有司인 鄭在京이 작성해 준 標이다. 문서의 내용을 보면 광주 수전유사인 정재경이 錦山 壇享事와 관련하여 興陽 虎山의 류씨 문중에 納錢할 100냥을 갑진년 4월 14일에 거둬서 주겠다는 약속을 하고 있다. 수표(手標)는 돈이나 물건 따위를 대차, 기탁, 약속할 때에 이를 증명해 주는 문서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16년 류경준(柳敬浚)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종교/풍속-관혼상제-혼서 丙辰十二月二十一日 高興 柳敬浚 丙辰十二月二十一日 柳敬浚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6년 12월 21일에 柳敬浚이 長孫 柳基錫의 신부인 박생원댁에 폐백과 함께 보낸 혼서. 1916년 12월 21일에 柳敬浚이 長孫 柳基錫의 신부인 박생원댁에 폐백과 함께 보낸 혼서이다. 류대석의 부인은 珍原朴氏로 아버지는 朴璟鎭이고 할아버지는 朴重彦이며, 1901년에 태어났다. 편지의 내용은 따님을 長孫 基錫의 아내로 허락해 주셔서 감사하며, 옛 어른들의 예절에 따라 납폐(納幣)의 의례를 행한다는 것을 알리고 있다. 연결문서로 피봉(皮封) 1점이 있다. 혼례는 朱子家禮 등을 참고하여 시행하였는데, 議婚, 納采, 納幣, 大禮, 于歸로 구분한다. 의혼은 중매자가 양가를 왕래하며 혼사를 의논하는 단계로, 신랑 측에서 청혼서를 보내면 신부 측에서는 허혼서를 보내며 청혼에 응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납채는 신랑 측에서 신부 측에 四柱單子를 보내는 것이고, 이에 신부 측에서는 혼인날을 정해서 남자 측에 擇日單子를 보내는데 이를 涓吉이라 한다. 납폐는 신랑 혼주가 신부 집에 폐백을 보내는 것을 말한다. 대례는 혼인 예식을 말하며, 奠鴈禮, 交拜禮 등으로 진행된다. 우귀는 조선만의 풍습이며, 신부가 신랑을 따라 시댁으로 가서 며느리로서 치르는 예식이다. 류경준(柳敬浚)은 자가 乃欽, 본관이 고흥이다. 1855년에 태어나 1935년에 사망하였다. 배우자는 礪山宋氏이다. 묘는 고흥군 虎山 東山 丙坐이다. 말을 간결하게 하였고 堅直하며 동요하지 않았으며 상중에 있을 때 執制는 오히려 엄중하였다. 류대석의 본관은 高興, 초명은 基錫, 字는 桂彦, 號는 松隱이고, 부인은 珍原朴氏 朴璟鎭의 딸이다. 1900년에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柳敬浚(1855~1935), 아버지는 柳重憲(1873~1952)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41년 송학섭(宋學燮)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종교/풍속-관혼상제-혼서 辛巳正月二十一日 礪山人宋學燮 辛巳正月二十一日 宋學燮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1년 1월 21일에 송학섭(宋學燮)이 보낸 혼서(婚書). 1941년 1월 21일에 송학섭(宋學燮)이 보낸 혼서(婚書)와 함께 별지(別紙)가 붙어있다. 새해 더욱 잘 보내라는 말과 함께 사주단자를 보낸다고 하였다. 혼사를 치를 연길일(涓吉日)을 정하여 감히 편지를 보낸다고 하였다. 편지를 살펴 확인해달라는 내용이다. 류중헌(柳重憲)의 차남인 류완석(柳浣錫)의 장남 류제천(柳濟川)의 혼서이다. 류중헌은 1873년(고종 10) 10월 5일에 태어났으며 1952년 9월 9일에 졸하였다. 자(字)는 사범(士範)이고 호(號)는 야산(野山)이다. 석농(石農) 오진영(吳震泳)과 학문을 교류하였다. 묘는 호산(虎山) 호서(虎西) 불암동(佛岩洞)에 있다. 부인은 송위희(宋胃僖)의 딸 남양송씨(南陽宋氏)이다. 1872년(고종 9)에 태어났으며 1947년 1월 13일에 졸하였다. 류완석은 본명은 의석(誼錫)이다. 1902년 8월 6일에 태어났으며 졸한 날짜는 알 수 없다. 자(字)는 정부(正夫)이고, 호(號)는 낙헌(樂軒)이다. 부인은 송창현(宋昶炫)의 딸인 여산송씨(礪山宋氏)이다. 류제천은 1923년 7월 15일에 태어났다. 자(字)는 여즙(汝楫)이다. 부인은 송학섭의 딸인 여산송씨이다. 별지에는 연길일을 1941년 3월 16일로 정하자는 내용이 적혀있다. 혼서의 피봉에 두원중대(豆原中垈)에서 보낸 것으로 보아 여산송씨가문(礪山宋氏家門)에서 보냈을 것이라 추정된다. 혼서는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납채할 때 보내는 문서이다. 예서(禮書)·예장(禮狀)이라고도 하며, 장지(壯紙)를 간지(簡紙) 모양으로 접어서 썼다. 넓은 의미의 혼서에는 사주단자(四柱單子)와 혼인택일에 관한 서장(書狀)까지 포함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富春亭遺墟碑 此。處士遯菴曺公諱守謙字明吉所築。富春亭遺墟也。夫士之或出或處。各有所由。迹雖異而心未嘗不同。是以出可以致君澤民。處可以正風勵俗。然則其所以鏟光晦迹。亦豈徒爾哉。蓋世之貪慕富貴。冒進功利者。往往有枉道逢迎。邪辟由徑。而崎嶇反側。卒致禍患者多矣。所以子陵。高臥不屈。而激頑立懶。助成東漢風俗之美。人才之盛。顧不大有力於世敎哉。今遯菴。生於千幾百年之後。德崇望嵬。脗然無間。眞所謂其道果同。雖異世。亦且神交者也。使東方士子之出處者。俱法遯菴。而心迹相符。則豈有今日敗亡哉。憤庸憤痛。嗚乎。歲月寢久。亭旣傾圮。墟亦荒茀。其裔孫。昌燁益燁龍鎭。鳩工伐石。圖所以警樵牧。屬予記之。辭之不獲。敢此畧敍其大致云爾。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褒忠祠遺墟碑 湖南搢紳章甫之魁偉傑特爲世表範者。從古何限。而至若壬燹諸公。衛國死綏。尤凜凜烈烈。始錦山不利。叔祖敬菴公諱弘獻。收散亡餘卒。推日休堂崔公諱慶會爲盟主。屢戰屢捷。獲醜甚多。轉以晉州。爲嶺湖咽喉。入守力戰。城圮而陷。崔公口占一絶詩曰。矗石樓中三壯士。一盃笑指長江水。長江之水流滔滔。波不竭兮魂不死。因投江。敬菴公同抱而死。卽萬曆癸巳六月二十九日也。事聞上震悼。贈崔公左贊成諡忠毅。贈敬菴公司憲府持平。建祠綾州。賜額褒忠。前此乙卯。月軒曺公諱顯。奉命達梁島夷入寇。公堅城血戰。罵不絶口而死。贈兵曹參議。後以士論。配侑是祠。三公竝享。春秋苾芬。及至叔季。國政不振。祠宇見掇。神人有憾。紀綱罔扶。余弟奎煥。曾謁勉翁。語及院墟荒茀。勉翁慨然久之。因命使章甫。設壇崇慕。蓋有年矣。今又將伐石厝之。請余記其事。余尤感愴。不敢以不敏辭。抆淚畧書始末。徵文者。余晩友曺圭晢。蕫役者。其父益燁。及吾族子載益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輔仁契講戒 一。凡同講之人。必須正衣冠端容貌。各誦所誦一段。更須逐句講義。一。讀書。必循序致一。積累漸進。不可以躐等躁進。一。將聖賢言語。反躬體驗。以眞實見得。眞實行得。爲要。一。同講之人。相遇必相拜揖。以自卑尊人爲法。一。在家則早起盥櫛。整齊冠服。拜省父母。【有祖父母。則當先謁。】親不在。拜謁于祠板。就書堂。則事師長如禮。一。大抵此學。以收心養性。存理明倫爲本。性之目有五。仁義禮智信是已。倫之目有五。父子君臣夫婦長幼朋友是已。講此而明之。行此而實之。理無不得。德無不進。其敢暴棄乎哉。一。立志。以富貴貧賤威武。不能淫移屈爲準則。修身以孝悌忠信篤敬廉恥禮讓爲確的。臨事。則當以分別義利公私善惡爲先務。接物。則當以己所不欲勿施於人。行有不得反求諸己爲要法。一。士當。以尊華攘夷。抑陰扶陽爲心法。春秋綱目之義。不可造次不講。一。尤菴先生。春秋心法。華西先生。心性定論。勉菴先生。義理宗旨。當服膺而不失也。一。爲人底道理。詳在所講書中。凡我同講之人。盍相勉旃而同歸于善。一。有酒。則當依藍田呂氏禮俗相交條而酬酌焉。列其條例於左方。別設卓子於兩楹間。置大盃於其上。主人降席。立於卓東西向。上客亦降席。立於卓西東向。主人取盃親洗。上客辭。主人置盃卓子上。親執酒斟之。以器授執事者。遂執盃以獻上客。上客受之。復置卓子上。主人西向再拜。上客東向再拜興。取酒東向跪。祭遂飮。以盃授贊者遂拜。主人答拜。若少者以下。爲客飮畢。而拜。則主人跪受如常。上客酢主人如前儀。主人乃獻衆賓如前儀。唯獻酒不拜。【若衆賓中。有齒爵者。則特獻如上客之儀。不酢。】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通告嶺南文 夫善善惡惡。天地之常經。衛正斥邪。春秋之大義也。如使惡而攻善。邪而害正。熒惑一世。則天理人紀。自此俱熄矣。詎非可懼之甚者哉。竊惟勉菴先生。崛起於東方羣哲之後。而道學嫡傳。義理宗主。上爲國家之蓍龜。下爲士林之山斗。雖婦孺輿臺。皆知今日保全一線生脈者。實賴先生扶植之力。而莫不欽仰之尊親之。若有一種妖孽。吹覓於靑天白日之下。欲肆桀跖之嚆矢。則其爲名敎之罪人。而有法之必誅也明矣。仄聞貴省。李相敦輩。以么麽厲類。包藏凶險。敢肆瘈狗之噬。鬼蜮之射。而一紙凶書。狂叫闖發。雖歷擧古之戕賢誣正者。亦未必如是無忌憚也。嗚呼。先生道義。固不足以一時毁譽。有所增減。而但聽聞所及神竦魄動。令人不覺百骸俱戰。夫亂必討。詖淫能拒。是聖賢已訓也苟有秉彛者。孰不扼腕激膽。倡爲聲討之擧乎。況貴省。素以禮義文明。著於我東。而其於是非淑慝之辨。扶善退惡之擧。在所當先。而無一人立幟聲討。有若容薰蕕冰炭於一器而不汚。其於春秋之義何。玆敢齊聲馳告。惟願僉君子。卽行聲討。以爲世道萬一之計。幸甚。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권용현(權龍鉉) 야산류공묘갈명병서(野山柳公墓碣銘幷序) 고문서-시문류-행장 개인-전기-행장 花山 權龍鉉 權龍鉉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권용현(權龍鉉)이 작성한 야산류공묘갈명병서(野山柳公墓碣銘幷序). 권용현(權龍鉉)이 작성한 야산류공묘갈명과(野山柳公墓碣銘) 짧은 서(序)이다. 야산 류공은 류중헌(柳重憲)을 뜻한다. 고흥류씨의 선조는 고흥부원군(高興府院君)이었던 영밀공(英密公) 류청신(柳淸臣)이고, 그 이후는 충정공(忠正公) 류탁(柳濯)으로 이어져 내려온다. 류중헌의 고조인 창명공(滄溟公)은 선조였던 영밀공의 글을 모아 책으로 만들어 발간하였다. 류중헌은 1873년(고종 10) 10월 5일에 태어났으며 1952년 9월 9일에 졸하였다. 자(字)는 사범(士範)이고 호(號)는 야산(野山)이다. 석농(石農) 오진영(吳震泳)과 학문을 교류하였다. 묘는 호산(虎山) 호서(虎西) 불암동(佛岩洞)에 있다. 부인은 송위희(宋胃僖)의 딸 남양송씨(南陽宋氏)이다. 1872년(고종 9)에 태어났으며 1947년 1월 13일에 졸하였다. 묘갈명을 살펴보면 류중헌의 자식은 대석(大錫), 완석(浣錫) 2남과 3녀가 있다고 한다. 권용현은 1899년(광무 3)에 태어났으며 1988년에 졸하였다. 자(字)는 문현(文見)이고, 호(號)는 추연(秋淵)이다.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스스로 화산(花山)이라는 호칭을 호처럼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합천군 초계면 유하리에서 태어났다. 만송공(晩松公) 권재직(權載直)과 초계정씨(草溪鄭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태동서사(泰東書舍)를 지었으며 『가례증해(家禮增解)』와 『상례비요(喪禮備要)』등의 책에 실린 여러 학설들을 연구하고 적절한 내용을 기록하여 『상례쇄록(喪禮鎖錄)』이라는 책을 엮었다. 영남 사림파의 학풍을 따르지 않고 줄곧 기호학을 추종했다. 여기에는 율곡을 정점으로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에 이어 이항노, 기정진(奇正鎭), 전우, 송병준(1826~1905)이 속해 있었다. 율곡의 학맥을 이은 우암의 9대손인 연제 송병준의 제자인 각제 권상현으로부터 글을 배웠었다.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