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朝宣略將軍虎賁衛護軍。贈純忠補祚功臣正憲大夫兵曺判書咸平君。諱從遂副護軍。贈嘉善大夫兵曺參判。諱宗智。孝褒除萬戶不就。諱任保功將軍。諱惟詮尙衣院別座。諱止完義禁府都事。號七頭亭。甲子倡義。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薄雲堆堆如破綿子長天窄窄如窘縑幅令人俯仰幾欲塞胸摧腸余行且私語於心曰蜀道雖難莫此爲甚甚矣我伯兄之欺人也何取於斯而每稱禪雲之奇絶也扶笻信步行可十餘里漸看山中開局髣髴若古人所稱武陵桃源者然忽有數間小庵如舴艋着在平壑又仰看一小庵如燕巢寄在千仞岡上問其名則曰上下兜率庵在山上者爲上兜率在山下者爲下兜率乃怡然喜不自勝忙步雀躍直入下兜率與諸衲子敍禮畢仍命造進麥麵各喫一碗點心一齊卸免冠裳置之庵中拘束下體如嚴家餓隷踏出峽逕攀緣石磴飄飄如履虹橋嫋嫋若躡雲梯將不知履躡幾千層竟上上兜率拊膺定喘朗吟李白詩之一夫當關萬夫莫開曰古之劍閣棧道亦如此也否庵之周圍僅可爲十數尺而鑿巖架壑構得一間房一間廚房中有一老釋尨眉鶴骨年紀甚高叩問前跡則寥寥不應殆若病聾人矣廚中有一縷淸溜自巖竇漏洩若毛孔發汗瀉入窰上瓦缸一晝夜所渟滀可供數人粮水云仰看絶壁間有斧鑿痕步自廚後前提後挈魚貫而登巖之名卽七松亭也廣可坐百餘人高不知幾萬仞箕股一覜向者下兜率如蝸牛角諸闍棃如螻蟻翅臨風長嘯差强人意然而眩暈欲發難可久留還尋所經歷處冉冉如從雲霧中出來回入下庵試更擡頭一仰相顧失笑曰謫仙下降着得所脫衣裳離出庵門復搜一區磵路洞天正與俄時相似纔回數曲仰看萬丈層巖戍削如壁最上頭有數寸雙鐵柱橫揷雲端中椒畵一大佛像佛像腰胸間端方穿一小石戶而封閉甚堅緻雖飛狖走鼯不能過也或云雙鐵柱者上古時神僧結庵處而一自神僧歸化西天只留一庵而歲久年沈庵亦不存只今有鐵索而風磨雨洗所餘者數寸而已石戶者卽秘書所藏而今古相傳無人開閉曾有一刺使過此下聞此言 造飛雲梯攀援而登開戶示之果有一石函函中有一卷讖書將欲携取則忽然風雨大作雷轟電閃若將有非常之擧因爲倉皇失措還置函中封閉如故而卷舒之際只見第一章特書某年月日觀察使某開此門見此書云所書大佛像卽秘藏讖文之檀越也云云或者之說誠甚恍惚不可準信而大抵海東之國往往多此等怪奇亦安知如此奇絶處全無如此奇絶事乎更旋數曲望見峽之東有石窟團圓幽深可據數十人峽之西有一小庵庵之前有一巖大如岑樓巖有大穴前後洞透望之穹窿如虹霓門遂步上小庵子登陟不甚高險而庵亦平低只是一間屋子地方大如掌後簷黏着層壁前宇幾與有穴巖相接扣扄周瞻寂無一顆僧但見佛塑重重列坐外他更無別景致盖此庵以有穴巖擅名巖之穴爲庵之前門高廣俱可容軒駟出入入此庵者必經此門試住其下跂足矯手雖八九尺身不能摩挲焉巖之上又平坦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此室是思慕祖先之地。而兼爲諸子孫肄業之方。視諸鄕黨庠塾。其所重。不亦有間乎。人生所以讀書者。爲何事。先世所以期望於子孫者。爲何事。戒燕玩無益之遊。去纂組無用之習。嚴恭寅畏。常若對越祖考。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豈不知朝鮮禮義之俗乎。遂投巖下而死。鄭氏金氏俱在傍近。又從而投死。夢蘭抱尸痛哭。因觸石而死。時僉正公自西北路。轉戰南下。隸李忠武幕。露梁之戰與再從叔二人。同時殉節。外史氏曰。天寶之亂。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疏本於體府而亦不克達于上矣公自以歸骨故國復見君親志願已遂行乎患難之事有未易一二爲俗人言也遂以罪累自處廢伏田里唯與昆弟躬稼養老安命任分忘其窮約以終身焉辛丑李相國德馨開府嶺南檄召公要與計事事係應倭曲折公不得不赴旣到適倭書至幕府委公草答公乃爲作禮部絶倭書辭義嚴截實破賊膽矣其書曰信使畓至誠款勤備良用感歎上年回報亦已謹悉但國家之待貴島可謂至矣而貴島之負國家吁亦甚矣何者祖宗二百年來與貴國世篤隣好視貴島有同內服使价之來授館如歸府庫之賜未嘗靳費及足下之身超授二品重秩榮龐備至陪隸携僕盡沾官祿貴陞中一草木一肖翹孰非國家之所涵育哉而往在己丑年中足下差人來曰關白新立乞遣使尋盟朝廷惟足下是信遂遣二三重臣遠涉鯨海息壤在彼口血未乾而皇華之轡夕返壬辰之師朝至釜山之破足下爲先鋒京城一路足下爲嚮導旣入京師又誘行長遠攻平壤三京灰爐七道丘墟孤恩背德一至於此退屯南徼更爲倡言曰天朝若許冊封朝鮮若通和好則留住倭兵一時撤回云聖天子廓乾坤之量垂雨露之仁蕩滌瘢痕許日本自新冊使楊沈奉詔越海我國使臣又從而跟隨足下敎誘諸倭南邊室屋佯示撤毁偵探舟師幸其無備冊封之使朝還丁酉之師又渡焚掠三路力屈而退足下屯據南海行長近駐順天甘言依舊蠇毒齊發屬國之道當若是乎以怨報德亦已勤矣戊戌撤還之後又不懲艾潛發輕船出沒海面巨濟等處邊民屢次擄去探問邊備虛實天兵有無而後乃許還歸使天兵果回而邊備果虛則足下更欲何事欲釋怨而先設詐左右之爲足下計亦已左矣設使國家不送通信使天朝不送冊封使則貴國之謀毀我國又何加於壬辰丁酉也關白之稱兵我國固非貴島所得阻搪而殘禍我國之事亦未必盡出於貴島此則誠然矣但前後之言盡歸欺謾將來之事又何足信足下試思之果無是事耶古今天下強弱何常匈奴冒頓有控弦四十萬恃士馬之強乘中國之弱圍高帝白登七日而未及百年單于冠帶朝渭上突厥頡利據沙漠數千里棄香火之情乘新造之唐入渭水便橋者再而不過十年頡利係頸就下吏漢祖唐宗能屈於一時而得伸於萬世冒頓頡利取快於目前而禍起於旋踵前史之所載歷歷可見天地剖判疆域區別吾與爾非相呑之國一時之憑陵殺戮又何足以自多也聖天子軫念小邦赫怒貴國許勝兵三十萬限三十年屯戍經理司留駐京師四都督分居湖嶺禮樂征伐盡出天朝講和與否固非我家所得擅便也而況貴國之焚掠我國幾至七年孤子寡妻遍滿國中爲人子者皆曰吾與日本有不共戴天之讎爲人兄弟者皆曰吾與日本有不反刃之讎爲人父者皆曰吾子死於日本爲人夫者皆曰吾妻陷於日本豈忍與日本和親萬口同聲衆怒難犯家藏兵甲人自鍊習有國家者只順民心民心若此則亦末如之何也已雖然聖人之待人與其將來不追旣往王者之交隣許其善意不責其舊貴國若能誠心願和貴島若能革面歸服則國家當捐薄物細故盡棄舊惡前釁釜山通路可如前日也若夫通信使之遣非得聖天子分付不可也鄭夢周之行在麗代入我朝二百餘年惟申叔舟一行而兩國無釁自己丑至丙申未及十年而通信使再往而兵禍再結則通信使非惟不當遣蓋亦不須遣也橘智正等玆卽回送耳云壬寅朝廷叙公爲承議郞大邱敎授公已無當世念不應諸公之辟而只爲收錄係是恩命黽勉之任旋復還歸丙午回答使呂祐吉等入日本日本人輒問姜郞中今做何官因盛穪公忠節不愧古人云使還俱載東槎錄以奏之於是士林恰然傳誦愈信公之素守不變於死生能行乎夷狄而媢嫉者猶惎之不已公嘗以酒家惡狗爲題課試學子諸所作多不中意公乃背學子正草書一篇丁未間有不逞袖示權柄曰乃譏斥當路也大被疑唱幾做奇禍公則夷然不以爲動其詩曰康衢丈人市門居一生沽酒爲生涯縈風酒旗十丈高珠液嘈嘈濃紫霞門前有狗惡如虎赤口毒舌開谽谺跫音纔到便嘊喍竪毛怒目當門遮靑絲玉壺不敢到紫貂金龜誰更賖高陽酒徒跡如掃窮巷冷落無來車芳醪千斛化爲酸無復前時旨且嘉東隣西舍及時售十萬靑錢堆滿家門前徒長仲蔚蒿月下靑帘空影斜辛勤豢養爲禦暴底事肆暴如斯耶傷心豈獨酒家狗更有國猘磨霜牙靑雲岐路吠聲多白日競肉何喧譁才賢不直一文錢九虎天關多夜叉山南水北少相猜大君之門不可久托些皎皎白駒老空谷騏驥低頭愁渥洼我欲寢皮食其肉嵬眼宇宙長咨嗟戊申李相廷龜判西銓沙溪金先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字道贊號鵲岫軒新平人老松希璟後以聰明果敢之資篤於仁純孝悌之行儀範于家推及鄕黨晩歲追從於立齋宋相公之門見許甚重見蔭】梁基鍾 【字舜擧號兢庵南原人龍城君朱雲後 子性度寬弘廉公有威知有大體不拘小節敦尙孝友疾斥奸枉鄕隣欽仰有所矜式以上見丙子誌】朴宣圭 【字錫步號三復軒高靈人文孝公長遠後爲先遭遷曷不孝云學問宏博德器厚重受業者衆多有成就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이 건물은 장흥위씨 문중의 사우인 하산사(霞山祠)의 강당으로 함께 활용되고 있는 건물로 조선후기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건물은 정면 6칸, 측면 2칸으로 구성되었고, 대문은 3칸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묘소의 단장은 묘소가 퇴락한 상태에서 식목(植)木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선산 인근 산을 조선총독부에 빼앗길 위험에 처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나무를 심어 산림을 조성하기 위함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조선 중기의 학자인 안방준(安邦俊, 1573~1654)의 문집으로 1773년에 간행된 초간본, 1864년에 보성 대계서원(大溪書院)에서 간행된 중간본, 1969년에 대전 이문사에서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명문은 주로 매매 등의 거래 내역을 작성하여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발급한 조선시대의 계약서를 말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此之重而謾使埋沒於草野則豈曰國有耳目紀綱乎去年八月秋嶺南士林通狀自星州到該府故府之多士亦上書于本官則題音内曾有所聞而書又適至信知其嘉尚當轉報營門向事云而適因相國閤下廵到時亦齊聲上書則題音内忠勲之裔有此卓異之行尤極嘉尚當廣采公議以爲周章事亦敎是乎等以生等道内士論聯名齊聲于承流宣化之下爲去乎另加參酌使此草野遺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조선 시대에는 실직(實職)이 2품 이상인 종친(宗親)과 문무관(文武官)의 경우 그의 부(父), 조(祖), 증조(曾祖) 등 3대(代)에 걸쳐 사후(死後) 관직을 주었고 이를 추증(追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조선 시대에는 2품 문무관의 처는 종부직(從夫職)따라 정부인으로 봉작(封爵)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조선 시대에는 실직(實職)이 2품 이상인 종친(宗親)과 문무관(文武官)의 경우 그의 부(父), 조(祖), 증조(曾祖) 등 3대(代)에 걸쳐 사후(死後) 관직을 주었고 이를 추증(追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조선 시대에는 실직(實職)이 2품 이상인 종친(宗親)과 문무관(文武官)의 경우 그의 부(父), 조(祖), 증조(曾祖) 등 3대(代)에 걸쳐 사후(死後) 관직을 주었고 이를 추증(追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조선 시대에는 실직(實職)이 2품 이상인 종친(宗親)과 문무관(文武官)의 경우 그의 부(父), 조(祖), 증조(曾祖)등 3대(代)에 걸쳐 사후(死後) 관직을 주었고 이를 추증(追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시대 양반들은 금전이 수반되는 거래를 신분을 격하시키는 것이라 판단하여 아랫사람에게 맡겨서 시행하도록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시대 토지매매명문은 토지를 매매할 때 작성한 문기로 토지를 매매할 때에는 이전에 토지를 매매할 때 작성했던 문서인 本文記(또는 舊文記) 모두와 금번 매매 시 작성한 新文記를 함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조선 후기 지방에서 실시되는 백일장은 관찰사와 수령 등 관 주도로 이루어지거나, 향교나 서원의 지방 유림들이 중심이 되어 실시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경내에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설화문학의 대가였던 유몽인에게 광해군이 내린 교서인 '유몽인 위성공신교서(衛聖功臣敎書, 보물 제1304호)'가 보관되어 있다.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